[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고려 의종의 왕후, rd1=장경왕후(고려))] [include(틀:역대 조선 왕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조선 중종의 제1계비[br]{{{+1 장경왕후 | 章敬王后}}}'''}}}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희릉조선.jpg|width=100%]]}}} || ||<-2> {{{#ffd400 {{{-2 희릉 전경}}} }}} || ||<|2> '''출생''' ||[[1491년]] [[8월 19일]]^^([[음력]] [[7월 6일]])^^ || ||[[조선]] [[한성부]] [[북창동|호현방 사저]][br](現 [[서울특별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 [[북창동]] 일대) || ||<|2> '''사망''' ||[[1515년]] [[3월 26일]]^^([[음력]] [[3월 2일]])^^[br]{{{-2 (향년 23세)}}} || ||[[조선]] [[한성부]] [[경복궁]] [[경복궁 자선당|동궁 별전]][br](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서울)|사직로]] 161) || || '''능묘''' ||[[서삼릉#s-2.1|희릉]](禧陵) || ||<|4> '''재위기간''' ||'''{{{#ffd400 조선 숙의}}}''' || ||[[1506년]] ~ [[1507년]] [[9월 20일]] || ||'''{{{#ffd400 조선 왕비}}}''' || ||[[1507년]] [[9월 20일]] ~ [[1515년]] [[3월 26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파평 윤씨]] || || '''부모''' ||부친 파원부원군 윤여필[* [[효령대군]]의 증손자.][* [[효령대군]] → 영천군 → 윤보의 처 이씨 → 윤여필] (坡原府院君 尹汝弼, {{{-3 1466 ~ 1555}}}) 모친 순천부부인 [[순천 박씨]][* 박중선의 딸로 [[박원종]]의 누이이자 [[월산대군]]의 정실인 [[승평부대부인]] 박씨의 여동생이다.] (順天府夫人 順天 朴氏, {{{-3 ? ~ 1498}}}) || || '''형제자매''' ||[[윤임|1남]] 2녀 중 차녀[* 장녀는 [[월산대군]]의 아들인 덕풍군의 아내이다.] || || '''배우자''' ||[[중종(조선)|중종]] || || '''자녀''' ||[[인종(조선)|1남]] [[효혜공주|1녀]] || || '''종교''' ||[[유교]] {{{-2 ([[성리학]])}}} || || '''봉작''' ||숙의(淑儀) || || '''전호''' ||영경전(永慶殿) || || '''휘호''' ||숙신명혜선소의숙[br](淑愼明惠宣昭懿淑) || || '''시호''' ||'''장경왕후(章敬王后)'''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제11대 임금 [[중종(조선)|중종]]의 1번째 [[계비]]. [[인종(조선)|인종]]의 친어머니이며 [[성종(조선)|성종]]과 [[정현왕후]]의 며느리이다. == 생애 == [[본관]]은 [[파평 윤씨|파평]]. 파원부원군 윤여필의 딸이다. 어린 시절 큰이모인 [[월산대군]]의 아내 [[승평부대부인]] 박씨의 집에서 자랐고 남편 [[중종(조선)|중종]]이 즉위한 해에 내명부 종2품 숙의(淑儀)로 책봉되어 중종의 [[후궁]]이 되었다. 중종의 첫 왕비인 [[단경왕후|신씨]]는 하필 본인의 아버지인 [[신수근]]이 폐주 [[연산군]]의 처남이었던 터라 [[고령 신씨|친정]] 전체가 [[역적]]이 되었기 때문에 [[중종반정|반정]] 세력의 요구에 따라 7일만에 폐출되었다. 이후 비어진 [[왕비|국모]]의 자리에 숙의 윤씨가 [[왕비]]로 간택되는데 장경왕후의 친정은 대대로 [[왕비]]를 배출할 만큼 당대 최고 명문가였던 [[파평 윤씨]] 가문이고[* 중종의 모후인 [[정현왕후|자순대비]]와 같은 집안이다.] 결정적으로 외삼촌이 [[중종반정]]의 1등 공신인 [[박원종]]이었으며 [[월산대군]]에게는 처조카가 되니 정황상 장경왕후가 [[중종(조선)|중종]]의 [[후궁]]들 중 다음 [[왕비]]가 될 가능성이 가장 높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왕비|계비]]가 된 이후 [[1511년]](중종 6년)에는 중종의 맏딸인 [[효혜공주]][* 효혜공주가 [[김안로]]의 아들 김희와 혼인하면서 [[사돈]] 관계가 된다.]를 낳았고 [[1515년]](중종 10년)에는 적자인 [[인종(조선)|원자]]를 낳았으나 산후병으로 엿새 만에 25세 [[나이]]로 숨을 거두었다. >이튿날 새벽 병세가 매우 중해지자 일어나 앉아 손수 글을 써서 상께 아뢰기를 '어제 첩의 마음이 혼미하여 잊고 깨닫지 못하였는데 생각해보니 지난해 여름 꿈에 한 사람이 말하기를, 이 [[인종(조선)|아이]]를 낳으면 이름을 '억명(億命)'이라 하라 하므로 써서 벽상에 붙였었습니다.' 하였다. >---- >《조선왕조실록》 중종 10년([[1515년|1515]]) 3월 7일 4번째 기사 죽기 전에 당시 원자였던 [[인종(조선)|인종]]의 이름을 억명으로 지어달라고 말했다고 한다. 일설에는 이렇게 지어야 오래 산다고 하였는데 나중에 [[인종(조선)|인종]]은 [[피휘]]하기 위해서 '호(峼)'로 이름을 고친다. 장경왕후가 죽은 후 왕비로 책봉된 [[문정왕후|중종의 셋째 왕비]]는 장경왕후에게 삼종질(9촌 조카)이 된다. 능은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희릉]](禧陵)'''[* 이 능은 사연이 참 많은데 처음에 묻힐 때 [[무덤]]을 조성하던 과정에 그 자리에 돌이 20수레나 나왔다고 하여서 몇 자 아래에 묻히게 되었다. 자그마치 20년 뒤에 [[김안로]]가 언급해서 천장하고 그 때 있던 사람들 벌을 주는데 말이 "왜 [[왕비|국모]]를 그딴 곳에 묻냐"는 것이지, 사실은 [[정광필]]을 벌주기 위함이었다. 또 나중에 [[중종(조선)|중종]]이 죽으면서 같이 묻혔는데 [[문정왕후]]가 [[대왕대비]] 시절 [[중종(조선)|중종]]의 곁에 묻히고 싶어서 묘소를 옮겼지만 [[문정왕후]] 사후 [[중종(조선)|중종]]이 또 묘소가 현재의 [[서울특별시|서울]] [[강남구]] 지역인 [[선정릉]] 구역으로 옮겨지면서 중종의 세 [[왕후]] 중 어느 쪽과도 먼 곳에 묻히게 되었다.]이다. == 기타 == * '대윤(大尹)'과 '소윤(小尹)'을 나눌 때 대윤의 우두머리가 되는 [[윤임]]이 장경왕후의 친오빠이다. 이 때문에 [[을사사화]] 당시 [[윤임]]을 비롯한 장경왕후의 친정 [[가족]]들은 문정왕후와 소윤 세력에게 정치적으로 몰려 대거 [[숙청]]당했다. 그나마 장경왕후의 친아버지 윤여필은 나이가 많아서 잠시 [[용인시|용인]]에 유배를 갔다가 [[문정왕후]]가 '윤여필은 장경왕후의 지친(아버지)이므로 특별히 방면한다'라고 말하며 풀어주었다. * 어째 죽고 난 뒤에도 편치 못했다. 첫번째는 본인이 죽고도 20년이 지난 [[1537년]](중종 32년)에 벌어졌는데 [[김안로]] 세력은 장경왕후 사후에 능을 조성했을 때 돌이 나왔다며 국모를 매장하는데 좋지 못한 자리를 썼다고 주장했다. 때문에 천장(이장)이 결정되었는데 몇달 뒤 [[김안로]]가 몰락해서 실제로 옮겨지진 못한 듯, 두번째는 [[명종(조선)|명종]] 시기인데 [[중종(조선)|중종]]이 죽은 후 중종은 장경왕후 곁에 묻혔는데 [[문정왕후]]가 어째선지 [[중종(조선)|중종]]의 능을 멋대로 옮겨버렸다. * 남편인 [[중종(조선)|중종]]과 공통 조상을 3명이나 같이 둔 먼 친척지간인데 [[정희왕후]]의 아버지 윤번을 공통 조상으로 보면 서로 8촌지간[* 중종과 장경왕후 모두 윤번의 현손들이다. [[중종(조선)|중종]]은 윤번의 막내딸 [[정희왕후]]의 증손이고 장경왕후는 윤번의 차남 윤사윤의 증손이다.]이고 [[조선]] 3대 왕 [[태종(조선)|태종]]을 공통 조상으로 보면 10촌지간[* 중종과 장경왕후 모두 [[태종(조선)|태종]]의 5대손들이다. [[중종(조선)|중종]]은 태종의 3남 [[세종(조선)|세종]]의 현손이고 장경왕후는 태종의 차남 [[효령대군]]의 현손이다.], [[소헌왕후]]의 아버지 [[심온]]을 공통 조상으로 보면 9촌지간[* 중종은 심온의 5대손이고 장경왕후는 심온의 현손이다. [[중종(조선)|중종]]은 [[심온]]의 장녀 [[소헌왕후]]의 현손이고 장경왕후는 [[심온]]의 막내딸 심씨 부인의 증손이다.]이다. 그리고 [[성종(조선)|시아버지]]가 [[월산대군|이모부]]의 남동생이기도 하다. * 조선의 왕비들중 오래 생존했다면 단경왕후 못지않게 불행한 삷을 살았을 가능성이 큰데 아들인 인종은 명군의 자질을 타고났지만 재위9개월만에 승하했으며 오빠인 윤임은 을사사화에 연루되어 친정이 풍비박산이 났으며 조카들인 윤흥신,윤흥제 형제는 겨우 목숨을 건졌지만 1592년 벌어진 임진왜란 다대포진성 전투에서 윤흥신,윤흥제 형제가 전사하는등 아들,오빠,조카들이 모두 죽고말았다. == 가계 == * '''친정([[파평 윤씨]])''' * 아버지 : 파원부원군(坡原府院君) 윤여필(尹汝弼) * 어머니 : 순천부부인 [[순천 박씨|박씨]](順天府夫人 朴氏) * '''오빠 : [[윤임]](尹任)'''[* [[조선]] [[중종]]의 외척, 장경왕후를 위시한 '''대윤'''파의 거물급 정치인이다.] * 올케언니 : 정경부인 이씨(貞敬夫人 李氏) * 언니 : 파평현부인 [[파평 윤씨|윤씨]](坡平縣夫人 尹氏) * '''형부 : 덕풍군(德豊君) 이이(李恞)'''[* [[세조(조선)|세조]]의 손자인 [[월산대군]]의 서자이다. 항렬상으로 보면 남편 [[중종(조선)|중종]]과는 4촌 관계가 된다.] * '''시가([[조선/왕실|전주 이씨]])''' * '''시조부 : ^^(추존)^^[[의경세자|덕종]](德宗) 이숭/이장(李崇/李暲)''' * '''시조모 : ^^(추존)^^[[인수대비|소혜왕후]] [[청주 한씨|한씨]](昭惠王后 韓氏)''' * '''시아버지 : [[성종(조선)|성종]](成宗) 이혈(李娎)''' * '''시어머니 : [[정현왕후]] [[파평 윤씨|윤씨]](貞顯王后 尹氏)''' * '''배우자 / 자녀''' * '''남편 : [[중종(조선)|중종]](中宗) 이역(李懌)''' * 장녀 : [[효혜공주]](孝惠公主) * 사위 : 연성위(延城尉) 김희(金禧)[* 당대의 권신인 [[김안로]]의 아들이다.] * 외손녀 : 김선옥(金善玉) * '''장남 : [[인종(조선)|인종]](仁宗) 이호(李峼)''' * 며느리 : [[인성왕후]] [[반남 박씨|박씨]](仁聖王后 朴氏) == 대중매체에서 == * 1996년 [[KBS]] 드라마 <[[조광조(드라마)|조광조]]>에서는 배우 [[박주미]]가 연기했다. 처녀 시절 경빈 박씨, 희빈 홍씨 등과 같이 입궁한 후궁 중 한명으로 나오는데 이상하게도 경빈과 희빈이 첩지를 받았을 때도 혼자 첩지를 오랫동안 받지 못하는 등 처녀 신분으로 궁에 머무르고 있다 뒤늦게 후궁에 책봉된다.[* 아무래도 정난공신 [[박원종]]의 외조카이다보니 지나치게 권력이 커진 [[박원종]]에 대한 견제 목적으로 오랫동안 후궁 첩지를 내리지 않은 걸로 추정된다.] 기본적으로 성품이 매우 어질며 주로 희빈 홍씨의 말동무가 되어주는 걸로 묘사된다. 이 때문에 산고로 왕비가 되고나서 인종을 출산하다 사망할 때 희빈 홍씨가 매우 슬퍼해주기까지 한다. * 2001년 [[SBS]] 드라마 <[[여인천하]]>에서는 배우 오아랑이 연기했다. [[경빈 박씨(중종)|경빈 박씨]]에게 비상 섞인 잣죽을 받는 등 [[중종(조선)|중종]]의 총애를 받던 [[후궁]]들의 견제를 받다가 [[효혜공주]]와 [[인종(조선)|원자]]를 낳고 승하한다. 26회에서 [[경빈 박씨(중종)|경빈]]이 유산하던 날 밤에 경빈의 꿈에 나타나 과거 [[인종(조선)|원자]]를 잉태했던 당시 자신에게 했던 일들을 잊었냐며 복중의 태아를 데려가겠다 한다. 58회에서는 [[정난정]]이 암자에서 [[문정왕후]] 소생의 [[명종(조선)|아들]]이 태어나서 [[조선/왕사|대통]]을 잇기를 빌자 꾸짖는 환상으로 등장했다. 그 꿈이 신경쓰였던 [[정난정]]은 다음 날 곧바로 하산했고 얼마 후 [[인종(조선)|원자]]가 [[왕세자|세자]]로 책봉(70회)된다. [[문정왕후]] 소생의 아들 [[명종(조선)|경원대군]]이 태어나고 [[명종(조선)|명종]]이 된 건 한참 뒤(135회)의 일이다. [[파일:attachment/사본_-record00001.mpg_00004.jpg|width=300]] * 2005년 [[MBC]] 애니메이션 <[[장금이의 꿈]]>에서는 성우 [[윤소라]]가 연기했다. *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에서는 9년 동안 중궁에 있으면서 스스로는 엄격하면서 아랫사람에게 후덕해 칭송이 많았다고 했다. * 2017년 [[KBS]] 드라마 <[[7일의 왕비]]>에서는 배우 [[고보결]]이 연기했다. 윤명혜라는 인물로 등장하는데 이름은 아마 시호에서 따온 듯.[* 완전한 장경왕후는 아니고 살짝 가공이 된 인물이다.] 장경왕후가 된 모습은 등장하지 않으며 오히려 마지막에는 스스로 [[왕비|중전]]의 자리에서 한 발 물러서는 모습으로 마무리되었다. * [[네이버 웹소설]]에서 연재되는 [[유오디아]] 작가의 <[[조선공주실록]]>에서는 윤여진이라는 이름으로 등장. 다만 중종이 진성공주로 여성화되어 등장하므로 왕후로 등극하지는 않고 진성공주의 이복남동생인 영산군과 혼인했다. * [[신비아파트 특별판: 조선퇴마실록]]의 등장인물 왕비의 모티브로 추정된다. 다만 산후병으로 죽은 실제 역사와 달리, 여기서는 반란을 일으킨 [[조선각귀]]로부터 남편을 보호하려다 죽었다. == 참고 문서 == * [[문정왕후]] * [[승평부대부인]] * [[윤임]] * [[인종(조선)|인종]] * [[인종실록]] * [[을사사화]] * [[정현왕후]] * [[중종(조선)|중종]] * [[중종실록]] * [[효혜공주]] * [[서삼릉|희릉]] [[분류:조선의 왕비]][[분류:파평 윤씨]][[분류:1491년 출생]][[분류:1515년 사망]][[분류:중구(서울) 출신 인물]][[분류:출산 중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