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고려 왕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고려 의종의 제1왕후[br]{{{+1 장경왕후 | 莊敬王后}}}'''}}} || || '''출생''' ||연대 미상 || ||<|2> '''사망''' ||[[1157년]] 이후 || ||[[고려]] [[개성시|개경 개성부]] 흥덕궁[br](現 [[경기도]] [[개성시]]) || || '''능묘''' ||[[희릉]](禧陵) || ||<|4> '''재위기간''' ||'''{{{#f9d537 고려 태자비}}}''' || ||[[1143년]] (윤)[[4월 18일]] ~ [[1146년]] [[2월 28일]] || ||'''{{{#670000 고려 제1왕후}}}''' || ||[[1143년]] [[2월 28일]] ~ ?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부계 [[개성 왕씨]][br]모계 [[강릉 김씨|명주 김씨]] || || '''부친''' ||부친 [[강릉공|강릉공 왕온]][br]모친 [[강릉 김씨|명주 김씨]] || || '''형제자매''' ||{{{#!folding 2남 4녀 중 장녀 [ 펼치기 · 접기 ] [[장경왕후(고려)|장경왕후]] 김씨 [[대령후]]비(大寧侯妃) 김씨[* [[인종(고려)|인종]]의 차남 [[대령후|대령후 왕경]]의 부인] [[광정태후]] 김씨[* [[인종(고려)|인종]]의 3남 [[명종(고려)|명종]]의 왕후] [[선정태후]] 김씨[* [[인종(고려)|인종]]의 5남 [[신종(고려)|신종]]의 왕후] [[공화후|공화후 왕영]](王瑛) 왕작(王鷟)}}} || || '''배우자''' ||[[의종(고려)|의종]] || || '''자녀''' ||{{{#!folding 1남 3녀 [ 펼치기 · 접기 ] 장남 - [[효령태자]](孝靈太子, {{{-3 1149 ~ 1153}}}) 장녀 - [[경덕궁주]](敬德宮主) 차녀 - [[안정궁주]](安貞宮主) 3녀 - [[화순궁주]](和順宮主)}}} || || '''작호''' ||태자비(太子妃)[br]흥덕궁주 왕비(興德宮主 王妃) || || '''관저''' ||흥덕궁(興德宮) || || '''시호''' ||혜자'''장경왕후'''(惠資'''莊敬王后''') || || '''별호''' ||경순왕후(景順王后)[* 고려사 기준][br]경순왕후(敬順王后)[* [[http://db.history.go.kr/KOREA/item/compareViewer.do;jsessionid=7C29D3C0DE11D2A95EC9591416D7CA0E?levelId=muds_005r_0010_0140|책문]] 기준. 남동생 [[공화후|왕영]]묘지명에서도 한 글자가 결락된 채 등장한다.]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의종(고려)|의종]]의 제1비. 시호는 의종 장효대왕과 莊 자 돌림이다. == 생애 == 남편 의종과는 태자 시절 혼인해 왕후가 되었다. 의종과 장경왕후의 사이는 좋았던 것으로 보인다. 자식을 넷이나 두었으며 태자가 태손을 낳아 할머니까지 되었으니 [[태자비]] → [[왕후]] → [[태후]] → [[태황태후]] 순으로 정석적인 탄탄대로를 탈 수도 있었으나, 남편의 실정으로 몰락하면서 자신의 아들이 왕위에 오르지 못 해 세 자매(의종비 장경왕후, [[명종(고려)|명종]]비 [[광정태후]], [[신종(고려)|신종]]비 [[선정태후]]) 중 유일하게 태후의 시호를 받지 못했다. 게다가 의종이 폐위될 당시 의종과 태자 부부, 태손에 대한 기록은 있어도 왕후에 대한 기록은 없는 것으로 보아 이미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정확한 사망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아들인 [[효령태자]]가 1149년 4월에 태어났으므로 적어도 그 이후에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고려사]] 지 국상조에서 경순왕후(景順王后[* 고려사 기준]/敬順王后[* [[http://db.history.go.kr/KOREA/item/compareViewer.do;jsessionid=7C29D3C0DE11D2A95EC9591416D7CA0E?levelId=muds_005r_0010_0140|책문]] 기준. 남동생 [[공화후|왕영]]묘지명에서도 한 글자가 결락된 채 등장한다.])라는 명칭으로 등장한다. 시동생인 명종이 사망하자, 국왕의 예로 장례를 치뤄야 하지만 [[최충헌]]의 반대로 국왕이 아닌 '경순왕후'의 예에 맞춰서 장례를 지냈다.[* 최충헌은 [[중방|중방 세력]]의 잔재였던 이전 무신 집권자들이 세운 명종을 싫어했다. 이에 결국 명종을 폐위하고 신종을 자신의 꼭두각시 [[천자]]로 만들어 세웠다. 이 과정에서 명종의 정통성을 낮추기 위해 장례를 왕이 아닌 왕비의 격으로 낮춘 것이다.] == 가족관계 == 장경왕후의 증조부는 [[문종(고려)|문종 왕휘]], 조부는 [[조선국 양헌왕|조선국 양헌왕 왕도]], 아버지는 [[강릉공|강릉공 왕온]] 이다. 어머니는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안경공(安敬公) 김고(金沽, ?~1123)와 [[인천 이씨|인주 이씨]]의 딸 [[강릉 김씨|명주 김씨]]이다. 외할머니인 인주 이씨의 가계는 정확히 알수 없지만 친할머니 인주 이씨와 가까운 인척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여동생으로는 [[광정태후]], [[선정태후]]가 있다. 의종, 명종, 신종 삼형제가 강릉공 왕온의 딸인 장경왕후, 광정태후, 선정태후 세 자매와 혼인한 것이다. 강릉공 왕온의 둘째 딸도 인종의 차남 [[왕경|대령후]]와 혼인했고 아들인 [[공화후|공화후 왕영]]은 [[인종(고려)|인종]]의 딸 [[승경궁주]]와 혼인했다. 고려 왕실 특유의 근친혼이 잘 드러나는 부분이다. [[의종(고려)|의종]]과의 슬하에 아들로 [[효령태자|효령태자 왕기]], 딸로 [[경덕궁주]], [[안정궁주]], [[화순궁주]]를 두었다. [[분류:고려의 왕비]][[분류:강릉 김씨]][[분류:몰년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