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국회부의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80009 0%, #580009 20%, #580009 80%, #580009)" '''{{{#CFA547 역임한 지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군사혁명위원)] ---- [include(틀:정무제1장관)] ---- [include(틀:농림축산식품부장관)] ---- [include(틀:민주공화당 총재 및 당의장)] ---- [include(틀:군정 내각의 국무위원)] ---- [include(틀:역대 대한민국헌정회 회장)]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80009 0%, #580009 20%, #580009 80%, #580009)" '''[[대한민국 국회부의장|{{{#CFA547 대한민국 제6-8대 국회부의장}}}]][br]{{{#CFA547 {{{+1 장경순}}}[br]張坰淳 | Chang Kyung-so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age/358/2014/03/04/003359659_01_140.jpg|width=100%]]}}} || ||<|2> '''출생''' ||[[1922년]] [[3월 23일]]|| ||[[전라북도]] [[김제시|김제군]] 만경면 화포리[br](現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화포리)|| || '''사망''' ||[[2022년]] [[7월 18일]] {{{-1 오전 6시 21분}}} '''(향년 100세)''' || || '''본관''' ||[[인동 장씨]] 상장군계|| || '''호''' ||단원(丹原), 하원(霞原) || ||<|14> '''재임기간''' ||제18대 농림부 장관|| ||[[1961년]] [[5월 20일]] ~ [[1963년]] [[6월 24일]]|| ||제6대 전반기 국회부의장|| ||[[1963년]] [[12월 17일]] ~ [[1965년]] [[12월 16일]]|| ||제6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1965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 ||제7대 전반기 국회부의장|| ||[[1967년]] [[7월 10일]] ~ [[1969년]] [[7월 9일]]|| ||제7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1969년]] [[7월 10일]] ~ [[1971년]] [[6월 30일]]|| ||제8대 국회부의장|| ||[[1971년]] [[7월 26일]] ~ [[1972년]] [[10월 17일]]|| ||제3대 제1무임소 장관|| ||[[1976년]] [[12월 6일]] ~ [[1978년]] [[12월 21일]]||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문정원[* 2021년 3월 별세.] || || '''자녀''' ||슬하 2남 5녀[* 100세까지 장수한 탓에 아들들과 딸 1명을 먼저 잃었다.] || || '''학력''' ||만경보통학교 {{{-2 (졸업)}}}[br][[배재학당|배재고등보통학교]] {{{-2 (졸업)}}}[br][[토요대학]] {{{-2 (척식산업학 / 학사)}}}[br][[국방대학교]] {{{-2 (행정학사 / 3기)}}} || || '''종교''' ||[[개신교]] || || '''의원 선수''' ||'''5''' || || '''의원 대수''' ||[[제6대 국회의원|'''6''']], [[제7대 국회의원|'''7''']], [[제8대 국회의원|'''8''']], [[제9대 국회의원|'''9''']], [[제10대 국회의원|'''10''']] || || '''경력''' ||제18대 농림부 장관[br]민주공화당 사무총장[br]제6~8대 국회의원 (전북 김제군)[br]제6~8대 국회부의장[br]제9~10대 국회의원(전북 정읍군·김제군)[br]제3대 제1무임소 장관[br]대한민국헌정회 원로회의 의장 || ||<-2> '''군사 경력''' || || '''임관''' ||[[육군사관학교]] {{{-2 (특7기)}}} || ||<|2> '''복무''' ||대한민국 육군 || ||1945년 ~ 1963년 || || '''최종 계급''' ||중장 {{{-2 (대한민국 육군)}}} || || '''참전''' ||[[6.25 전쟁]]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 == 생애 == === 일제강점기 === 1922년 [[전라북도]] [[김제시|김제군]] 만경면 화포리에서 부농의 아들로 태어났다. [[배재학당|배재고등보통학교]], [[일본]] 도요 대학 척식산업학과를 졸업하였다. [[일제강점기]] 말기에는 [[학병]]으로 끌려갔는데 [[중국]] [[상하이]]에서 [[8.15 광복]]을 경험하였다. === 군인 시절 === 귀국하여 [[광복군]]에 소위 계급으로 투신하였다. 귀국 후에는 잠시 전북중학교, 전북고등학교 [[교사]]로 근무하다가 [[육군사관학교]] 7기 특별반으로 [[대한민국 육군]]에 몸담았다. 이후 [[6.25 전쟁]] 시기 방첩기관 CIC특무대에 속해 [[보도연맹 학살사건]]에 깊숙히 개입했다. 1961년 [[5.16 군사정변]] 직후 현역 장성 신분으로 [[농림축산식품부장관|농림부 장관]]을 역임하였으며 1963년 육군 [[중장]]으로 예편하였다. === 정치 활동 === 1963년에 민주공화당에 입당하여 사무총장에 임명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전라북도 김제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정당]] [[조한백]]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같은 해 부터 10월 유신 때까지 8년 동안 역대 최장수 국회부의장을 역임하였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민주공화당 중앙위원회 의장에 임명되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전라북도 김제군-[[정읍시|정읍군]] 선거구[* 여기에 대해서는 민주공화당 내에서 부안군 출신 국회의원이면서 무임소장관을 역임한 [[이병옥]]의 존재로 인하여 김제군-부안군, 정읍군-고창군으로 하지 않았다는 [[게리맨더링]]이라는 비판이 있다.]에 출마하여 친여 [[무소속]] [[김택하]]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76년부터 1978년까지 제1무임소장관을 역임하였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신민당(1967년)|신민당]] [[김원기(1937)|김원기]]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 말년 === 1980년 [[5.17 내란]] 이후 [[민주정의당]] 합류를 제의받았으나 거부하고 정계를 은퇴하였다. 이후 1996년 [[자유민주연합]]에 입당하다가 1997년에 탈당하고 2012년 [[새누리당]]에 입당했다. 그러나 [[자유한국당]]으로 바뀐 이후 다시 탈당했다. 2020년 [[자유통일당]]의 상임고문직에 영입되기도 했었다. 강경 보수단체에서 활동하기도 했으나 이후에는 나이 때문인지 별다른 활동은 하지 않고 [[자유공화당]]으로 합당된 이후 탈당하였다. 2022년 7월 18일 오전 6시 21분 노환으로 [[죽음|사망]]했다. 향년 100세. [[https://www.yna.co.kr/view/AKR20220617111700505|#]]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1963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김제군) ||<|5> [include(틀:민주공화당)] || '''48,795 (66.5%)''' ||<|3> '''당선 (1위)''' || '''초선''' || || 1967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김제군) || '''65,952 (69.67%)''' || '''재선''' || || 1971 ||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김제군) || '''48,140 (57.81%)''' || '''3선''' || || 1973 || [[제9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정읍군, 김제군) || '''38,096 (22.83%)''' || '''당선 (2위)'''[* 무소속 김택하 후보와 동반 당선] || '''4선''' || || 1978 ||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정읍군, 김제군) || '''51,632 (28.02%)''' || '''당선 (1위)'''[* [[신민당(1967년)]] [[김원기]] 후보와 동반 당선] || '''5선''' || || {{{#ffc224 '''역대 선거 벽보'''}}}[* 제6대 국회의원 선거벽보는 확인 되지 않고 있다. 이는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선거벽보 보존의 필요성을 못 느껴 선거벽보를 보존하지 않은 것이 그 원인으로,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을 비롯한 1950년대 부터 정치를 시작한 원로 정치인들의 선거벽보 상당수를 확인할 수 없게 되었다.]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장경순7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장경순8대.jpg|width=100%]]}}} || || [[제7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제7대 국회의원 선거}}}]] {{{#000000,#e5e5e5 (전북 11선거구[* 김제군])}}} || [[제8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제8대 국회의원 선거}}}]] {{{#000000,#e5e5e5 (전북 12선거구[* 김제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장경순9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장경순10대.jpg|width=100%]]}}} || || [[제9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제9대 국회의원 선거}}}]] {{{#000000,#e5e5e5 (전북 5선거구[* 정읍군, 김제군])}}} || [[제10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000000,#e5e5e5 (전북 5선거구[* 정읍군, 김제군]}}} ||}}}}}}}}} || 모든 선거를 통틀어 한번도 낙선한 적이 없다. 현재는 호남지역이 민주당계 정당의 텃밭지역이 된지 오래지만 이 당시만 해도 농촌 지역은 보수 여당을 밀어주는 분위기가 강했기 때문이다. == 소속 정당 == || '''소속''' || '''기간''' || '''비고''' || || [include(틀:한국독립당(1940년))] || 1945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1945 - 1963 || 정계 입문 || || [include(틀:민주공화당)] || 1963 - 1980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1980 - 1996 || 정당 해산[br]정계 은퇴[* [[민주정의당]] 합류 거부]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1996 - 1997 || 입당[* [[https://m.hankookilbo.com/News/Read/199701040072271535|#]]] || || [include(틀:무소속)] || 1997 - 2012 || 탈당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2 - 2017 || 입당[* [[제18대 대통령 선거|18대 대선]] 당시 [[박근혜]] [[새누리당]] 대통령 후보 지지 선언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04885731|#]]]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2017 || 당명 변경 || || [include(틀:무소속)] || 2017 - 2020 || 탈당 || || [include(틀:자유통일당)] || 2020 || 영입 || || [include(틀:자유공화당)] || 2020 || 합당[* [[우리공화당(2019년)|우리공화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20 - 2022 || 탈당[br]작고 || == 기타 == * [[문화방송]] [[제3공화국(드라마)|드라마 제3공화국]]에서는 배우 [[최동준]]이 그를 연기하였다.[* 젊은 시절에는 안경을 끼고 다녔기 때문에 안경을 낀 모습으로 등장한다.] 드라마 5화에서 당시 중령이었던 [[김형욱]]한테 예의가 없다고 손찌검 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장경순은 당시 준장이었다.] 상황 배경은 약간 다르지만 본인 회고록에도 쓰여져 있다. * 본인의 회고록에 따르면 일본 유학 시절 친구였던 [[김영남(독립운동가)|김영남]]이 탈출하였을 때 자신을 두고 먼저 탈출한 것을 서운해 하였으며, 해방 전 [[상하이]]에서 근무할 당시 임시정부 경위대장 [[윤경빈]]의 형이자 광복군 비밀요원이던 [[윤광빈]]에게 [[광복군]] 입대를 요청하였다고 한다. 회고록에 친구였던 김영남의 탈출기와 생애를 상세히 기록했으며, 독립운동에 참여하지 못한데 대한 아쉬움을 남기기도 하였다. * 김영남 외에도 광복군 출신 독립운동가인 [[강홍모]]와도 친분이 있었다. 김창룡 암살사건 당시 강홍모의 부인이 장경순을 찾아가 도움을 청했고, 강홍모 가족들의 생계에 도움을 주었다. [[닉슨 독트린]] 당시 미군의 이삿짐 반출입 업체인 한미상운을 운영하던 강홍모에게 독립유공자로서 미군철수로 인한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미군의 이삿짐 반출 횟수를 알려달라고 부탁하였고, 강홍모는 장경순에게 당시 7,000 여 명의 미군이 빠져나갔음을 알려주었다. 장경순은 야당 국회부의장인 [[윤제술]]에게 이 사실을 알리고 미 의회의 지도자들을 설득해 미군 철수를 막았다. * 일제강점기 시절에 [[학도병]]에 끌려갔을 때 [[국부군]]은 툭하면 부잣집을 약탈하고 다녔는데 [[팔로군]]은 약탈을 하지 않았었다는 [[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nNewsNumb=201606100045|인터뷰]]를 한적이 있다. 극우 - 강경 보수 계열 인물치고는 의외이지만, 현장을 직접 본 사람이고, 국부군의 문제점은 워낙 유명했다. [[국공내전]] 문서 참고. * 유도 유단자다. 배재고보 2학년 재학 중이던 16세에 유도에 입문했으며 [[2004년]]에 10단에 등극하였다. [[http://mobile.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040903000112|관련 기사]] * 유도하고 얽힌 이야기가 또 있는데, 국회 부의장 시절인 1966년 [[국회 오물 투척 사건]] 때 [[김두한]]이 당시 사회를 보던 [[이상철(1893)|이상철]] 부의장에게, '''"당신 이거 한번 부서지는 거 보려고 그래요?"''' 라면서 협박하였고, "그 따위로 당신 하면 좋지 않아! 노인이니까[* 이상철 부의장은 [[1893년]]생으로 이 사건 당시 이미 73세의 노인이었다. 당시의 평균 수명을 감안하면 다음날 돌연사해도 이상하지 않을 나이였다.] 그냥 두지, '''장 부의장같이 유도깨나 쓰면 날릴 테야!"'''라고 장경순을 언급했을만큼 유도실력은 당시에도 꽤 유명했다. * 역대 [[대한민국 국회부의장]] 중에서 가장 장수했다. 만으로도 100세. == 서훈 내역 == * 을지무공훈장 수훈 * 충무무공훈장 (3회) 수훈 * 화랑무공훈장 (3회) 수훈 * 보국훈장 통일장 수훈 * 창조근정훈장 수훈 * 독일 대십자 훈장 수훈 * 바티칸대훈장 수훈 == 저서 == * 『나는 아직도 멈출 수 없다』 - 2007년에 저술한 회고록 == 둘러보기 == [include(틀:제6대 국회의원/전라북도)] [include(틀:제7대 국회의원/전라북도)] [include(틀:제8대 국회의원/전라북도)] [include(틀:제9대 국회의원/전라북도)] [include(틀:제10대 국회의원/전라북도)]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장경순, version=8, paragraph=2)] [[분류:1922년 출생]][[분류:2022년 사망]][[분류:상장군계 인동 장씨]][[분류:군인 출신 정치인]][[분류:한국광복군/군인]][[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김제시 출신 인물]][[분류:민주공화당 총재 및 당의장]][[분류:대한민국 국회부의장]][[분류:군사혁명위원]][[분류:제6대 국회의원]][[분류:제7대 국회의원]][[분류:제8대 국회의원]][[분류:제9대 국회의원]][[분류:제10대 국회의원]][[분류:민주공화당(1963년) 국회의원]][[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 신자]][[분류:대한민국의 특임장관]][[분류:농림부 장관]][[분류:박정희 정부/인사]][[분류:배재고등학교 출신]][[분류:토요대학 출신]][[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분류:야인시대/등장인물]][[분류:6.25 전쟁/군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