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7F7F7 0%, #FFFFFF 20%, #FFFFFF 80%, #F7F7F7);" '''{{{#000 제8대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장}}}[br]{{{+1 로게 백작}}}[br]Jacques Jean Marie Rogge, Count Rogg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Jacques_Rogge.jpg|width=100%]]}}} || ||<|2> '''출생''' ||[[1942년]] [[5월 2일]] || ||[[벨기에-북프랑스 군정청]] [[오스트플란데런]] [[겐트]] || || '''사망''' ||[[2021년]] [[8월 29일]] (향년 79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벨기에)] || ||<|2> '''재임 기간''' ||제8대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장 || ||[[2001년]] [[7월 16일]] ~ [[2013년]] [[9월 10일]] || || '''주 종목''' ||[[요트]] || || '''직업''' ||[[정형외과]] [[의사]] || [목차] [clearfix] == 개요 == [[벨기에]] 출신의 제8대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장]], IOC의 명예 위원장을 지냈다. 별칭은 미스터 클린(Mr.Clean) == 생애 == [[1942년]] [[5월 2일]], 벨기에 [[겐트]]에서 태어났다. 원래 직업은 [[정형외과]] [[의사]]로 [[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 [[1972 뮌헨 올림픽]], [[1976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요트]] 선수로 참가했던 경력이 있다. [[1991년]]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이 됐다. [[1992년]]에는 당시 벨기에의 국왕인 [[보두앵(벨기에)|보두앵 1세]]으로부터 [[기사(역사)|기사]](Knight) 작위를 받았고 [[2002년]] 벨기에 국왕으로부터 [[백작]](Count) 작위를 받았다. 20년 동안 재직한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의 뒤를 이어 [[2001년]] IOC 위원장 선거에서 [[김운용]] [[대한체육회]] 회장을 누르고 당선됐다.[* 벨기에 출신으로는 59년 만이다. 그리고 김운용 부위원장은 이후 [[1996 애틀랜타 올림픽]]과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당시 [[미국]] 측에서 [[뇌물]]을 받은 혐의가 불거지는 등 정치 보복을 겪었다.] [[2013년]] [[9월 10일]]까지 IOC 위원장으로 재직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3수]]를 지켜봤던 인물이다. 그래서 [[2003년]]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s-1|2010년 올림픽 개최지 선정]]에서의 평창의 선전과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이 결정될 때 깜짝 놀라는 장면이 회자되기도 했다. IOC 위원장 퇴임 후에는 죽을 때까지 IOC 명예 위원장 직함을 갖고 있었다. [[2021년]] [[8월 29일]], 향년 79세로 사망했다. [[분류:1942년 출생]][[분류:2021년 사망]][[분류:겐트 출신 인물]][[분류:유럽의 의사]][[분류:벨기에의 요트 선수]][[분류:벨기에의 올림픽 참가 선수]][[분류: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 참가 선수]][[분류:1972 뮌헨 올림픽 참가 선수]][[분류:1976 몬트리올 올림픽 참가 선수]][[분류:벨기에의 백작]][[분류: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