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자백}}}''' (2022)[br]''Confessi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 [[파일:86216_1000.jpg|width=100%]]}}} || || '''장르''' ||[[범죄물|범죄]], [[스릴러]], [[미스터리]], [[서스펜스]], [[느와르]], [[피카레스크]] || || '''감독 | 각본''' ||윤종석 || || '''제작''' ||김지홍, 원동연 || || '''원작''' ||오리올 파울로의 영화 《[[인비저블 게스트]]》 || || '''기획''' ||원동연 || || '''제작''' ||김성진 || || '''각색''' ||남다정 || || '''촬영''' ||김성진 || || '''조명''' ||심경만 || || '''미술''' ||신보라, 윤나라 || || '''편집''' ||조한울, 허선미 || || '''의상''' ||조태희, 조상경 || || '''음악''' ||[[Mowg|모그]] || || '''음향''' ||이승엽 || || '''무술감독''' ||모상범, 이병진(동물액션) || || '''특수효과''' ||하승남, 이용섭 || || '''출연''' ||[[소지섭]], [[김윤진]], [[나나(배우)|나나]], [[최광일]] 외 || || '''제작사''' ||리얼라이즈 픽쳐스 || ||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롯데엔터테인먼트|[[파일:롯데엔터테인먼트 로고.png|width=70]]]] || || '''스트리밍''' || || || '''촬영 기간''' ||[[2019년]] [[12월 16일]] ~ [[2020년]] [[2월 29일]] || || '''개봉일''' ||([[https://www.fiff.ch/en|FIFF]]) [[2022년]] [[3월 20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10월 26일]][br][[파일:태국 국기.svg|width=20]] [[2022년]] [[11월 10일]] || || '''화면비''' || || || '''상영 타입''' || || || '''상영 시간''' ||105분 (1시간 45분) || || '''제작비''' ||약 79억원[* 손익분기점 약 140만명.] || || '''스트리밍'''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60]]]][* [[2023년]] [[2월 7일]] 공개.]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727,588명[*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 || '''[[영상물 등급 제도|{{{#ffffff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5세 관람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000000,#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밀실 살인 사건의 용의자로 지목된 유망한 사업가 '유민호'와 그의 무죄를 입증하려는 승률 100% 변호사 '양신애'가 숨겨진 사건의 조각을 맞춰나가면서 벌어지는 이야기 [[인비저블 게스트]]의 한국판 버전. 당초 [[2020년]] [[11월]]에 개봉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시국과 더불어 높게 나온 모니터 시사 점수로 인해 [[2022년]] [[10월 26일]]로 2년 가까이 개봉이 미뤄졌다.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자백 영화 (2020).jpg|width=100%]]}}} || || '''{{{#ffffff 기본 이미지}}}'''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xiwOvxKGYMA)]}}}|| || '''{{{#fff 티저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M-OsBtkztpQ)]}}}|| || '''{{{#fff 메인 예고편}}}''' || == 시놉시스 == * 출처: [[https://www.kobis.or.kr/kobis/mobile/main/main.do|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제대로 함정에 빠졌다! 불륜 사실을 폭로하겠다는 협박을 받고 향한 호텔에서 의문의 습격을 당한 유민호(소지섭). 정신을 차려보니 함께 있던 김세희(나나)는 죽어있고, 범인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하루아침에 성공한 사업가에서 밀실 살인 사건의 유일한 용의자로 누명을 쓴 유민호는 무죄를 입증하기 위해 승률 100%의 변호사 양신애(김윤진)를 찾는다. 눈 내리는 깊은 산속의 별장에서 마주한 두 사람, 양신애는 완벽한 진술을 위해 처음부터 사건을 재구성해야 한다고 말하고, 사건의 조각들이 맞춰지며 유민호가 감추고 있던 또 다른 사건이 모습을 드러내게 되는데… 두 개의 사건, 두 개의 시신 숨겨진 진실이 밝혀진다. == 출연진 == * 유민호 역 - [[소지섭]] D&T시큐리티 대표. 밀실 살인 사건의 용의자로 지목되면서 인생 최대의 위기에 봉착한다. {{{#!folding [ 스포일러 ] '''해당 영화의 [[진 최종 보스]]이자, 밀실 살인 사건의 진범.''' 김세희를 죽인 범인이자 동시에 한선재를 사고로 죽이고 시체유기와 증거인멸까지 하였다. }}} * 양신애 역 - [[김윤진]] 유민호의 변호사. 유죄도 무죄로 탈바꿈시키는 승률 100%의 타이틀을 지키기 위해 집요하게 진실에 파고드는 인물이다. {{{#!folding [ 스포일러 ] 사실 그녀의 정체는 변호사 양신애가 아닌 한영석의 아내이자, '''죽은 한선재의 엄마'''였던 이희정이었다.}}} * 김세희 역 - [[나나(배우)|나나]] 유민호의 내연녀. 밀실 살인 사건의 피해자이자 그 사건의 키를 쥔 인물이다. * 한영석 역 - [[최광일]] 정비사. 유민호의 숨은 진실을 파헤치면서 그를 죄어오는 인물이다. {{{#!folding [ 스포일러 ] 한선재의 아버지이자 이희정의 남편. 처음 유민호의 진술과 양신애(이희정)의 말로는 한영석이 자신의 아들을 뺑소니 사고로 죽인 민호와 세희에게 복수하기 위해 세희를 죽였다고 나오지만, 사실은 영석이 죽이지 않았고 작중 내내 민호와 희정의 얘기를 차 안에서 도청하며 몰래 듣고 있었다. 희정이 극초반부 때 민호를 만나러 차 타고 가는 길에 그도 뒤따라 갔던 것.}}} * 장태수 역 - [[홍서준]] D&T시큐리티 변호사. 민호의 변호사. * 프론트 직원 역 - [[박미현]] 호텔 프론트 직원. * 한선재 역 - [[서영주]] 뺑소니사고 피해자. * 이지연 역 - [[황선희]] 유민호의 아내. * 강 형사 역 - [[한갑수]] 강원홍천남부경찰서 형사. * 김 형사 역 - [[김용호]] 강원홍천남부경찰서 형사. {{{#!folding [ 스포일러 ] * 양신애 역 - [[박현숙(배우)|박현숙]] (특별출연)[* [[네이버 영화]]에도 대놓고 스포로 특별출연에 이렇게 적혀있다. 게다가 [[김윤진]]이 맡은 배역 이름도 '이희정 역'이라고 떡하니 적혀있을 정도로 스포를 고려하지 못한 모습을 보인다.]}}} == 줄거리 == 원작이 [[인비저블 게스트]]이기에 인비저블 게스트 페이지에 가서 줄거리를 읽을 수 있다. 다만, 큰 틀은 그대로 따르나 소소하게는 변경되는 부분도 있을 듯하다. [[\https://www.msn.com/ko-kr/news/other/%EB%8C%80%EC%B2%B4-%EB%88%84%EA%B0%80-%EB%B2%94%EC%9D%B8%EC%9D%BC%EA%B9%8C-%EB%B0%80%EC%8B%A4-%EC%82%B4%EC%9D%B8-%EC%9D%98-%EC%A7%84%EC%8B%A4%EC%B0%BE%EA%B8%B0/ar-AA135NrH?ocid=msedgntp&cvid=44c9e7cfbca9490a8fcefbfc0bccff69|기사]] 실제로 원작 줄거리와는 조금씩 다르나 진범, 사건의 진실 등의 설정은 같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영화 코드>, critic=<메타스코어 점수>, user=<유저스코어 점수>)]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영화 코드>, tomato=<토마토미터 퍼센티지>, popcorn=<오디언스 스코어 퍼센티지>)] [include(틀:평가/IMDb, code=tt13182834, user=6.6)]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confession-2022-2, user=3.4)]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영화 코드>, presse=<전문가 평점>, spectateurs=<관람객 평점>)]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야후! 키모, code=<영화 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왓챠, code=<영화 코드>, user=3.2)]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영화 코드>, light=<지수>)]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영화 코드>, expert=<전문가 평점>, audience=<관람객 평점>,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영화 코드>, expert=<전문가 평점>,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CGV, code=<영화 코드>, egg=95)] [include(틀:평가/롯데시네마, code=<영화 코드>, user=9.3)] [include(틀:평가/메가박스, code=<영화 코드>, user=8.7)] [include(틀:평가/MRQE, code=<영화 코드>, critic=<크리틱 평점>, user=<유저 평점>)]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스코어>)] [include(틀:평가/TMDB, code=<영화 코드>, user=<점수>)]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영화 코드>, user=<점수>)] [include(틀:평가/RogerEbert.com, code=<영화 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MyDramaList, code=<영화 코드>, user=<별점>)] === 평론가 평 === > '''눈 오는 산속 별장, 고전 추리소설에서 느끼던 묘미를 고스란히''' >---- > 김수영 ([[씨네21]]) | ★★★☆ > '''오래 기억될 영화는 아니지만, 보는 동안은 푹 빠져드는''' >---- > 허남웅 ([[씨네21]]) | ★★★ > '''너무 꾸미려다 그 사이로 벌어진 틈들''' >---- > [[이용철(평론가)|이용철]] ([[씨네21]]) | ★★★ > '''쉼없이 뒤집어지는 플롯에도 이상하게 밋밋하다.''' >---- > [[이동진]] ([[왓챠]]) | ★★☆ == 흥행 == ||<-5>
{{{#ffffff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2년 42주차 ||<|2> → || '''2022년 43주차''' ||<|2> → || 2022년 44주차 || || [[블랙 아담(영화)|블랙 아담]] || {{{#ffffff '''자백'''}}} || 자백 || || 2022년 43주차 ||<|2> → || '''2022년 44주차''' ||<|2> → || 2022년 45주차 || || 자백 || {{{#ffffff '''자백'''}}} || [[블랙 팬서: 와칸다 포에버]] || ||<-5> [[http://www.kobis.or.kr/kobis/business/stat/boxs/findWeeklyBoxOfficeList.do|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 개봉 전 || || -명 || -명 || 미집계 || -원 || -원 || ||<|7> 1주차 ||2022-10-26. 1일차(수) || 43,659명 ||<|7> 311,766명 || 2위 || 352,334,650원 ||<|7> 3,046,047,956원 || ||2022-10-27. 2일차(목) || 28,429명 || '''1위''' || 271,927,708원 || ||2022-10-28. 3일차(금) || 36,787명 || '''1위''' || 373,279,471원 || ||2022-10-29. 4일차(토) || 69,215명 || '''1위''' || 716,239,265원 || ||2022-10-30. 5일차(일) || 66,441명 || '''1위''' || 686,632,263원 || ||2022-10-31. 6일차(월) || 31,510명 || '''1위''' || 295,654,457원 || ||2022-11-01. 7일차(화) || 27,239명 || '''1위''' || 261,686,850원 || ||<|7> 2주차 ||2022-11-02. 8일차(수) || 26,456명 ||<|7> 263,563명 || '''1위''' || 256,690,131원 ||<|7> 2,679,329,954원 || ||2022-11-03. 9일차(목) || 25,510명 || '''1위''' || 247,947,018원 || ||2022-11-04. 10일차(금) || 35,340명 || '''1위''' || 362,234,081원 || ||2022-11-05. 11일차(토) || 73,312명 || '''1위''' || 758,622,797원 || ||2022-11-06. 12일차(일) || 63,552명 || '''1위''' || 664,279,722원 || ||2022-11-07. 13일차(월) || 20,339명 || '''1위''' || 201,859,742원 || ||2022-11-08. 14일차(화) || 18,986명 || '''1위''' || 187,185,063원 || ||<|7> 3주차 ||2022-11-09. 15일차(수) || 12,412명 ||<|7> 126,101명 || 2위 || 119,795,828원 ||<|7> 1,279,650,943원 || ||2022-11-10. 16일차(목) || 11,673명 || 2위 || 114,665,085원 || ||2022-11-11. 17일차(금) || 16,903명 || 2위 || 172,099,752원 || ||2022-11-12. 18일차(토) || 33,190명 || 2위 || 344,401,248원 || ||2022-11-13. 19일차(일) || 31,189명 || 2위 || 324,298,104원 || ||2022-11-14. 20일차(월) || 10,689명 || 2위 || 105,413,487원 || ||2022-11-15. 21일차(화) || 10,045명 || 2위 || 98,977,439원 || ||<|7> 4주차 ||2022-11-16. 22일차(수) || 5,864명 ||<|7> -명 || 5위 || 45,943,791원 ||<|7> -원 || ||2022-11-17. 23일차(목) || 3,480명 || 5위 || 33,372,094원 || ||2022-11-18. 24일차(금) || 4,357명 || 6위 || 44,491,214원 || ||2022-11-19. 25일차(토) || 6,680명 || 7위 || 68,989,787원 || ||2022-11-20. 26일차(일) || 5,585명 || 7위 || 57,731,204원 || ||2022-11-21. 27일차(월) || -명 || -위 || -원 || ||2022-11-22. 28일차(화) || -명 || -위 || -원 || || '''합계''' ||<-6> '''누적 관객수 727,588명, 누적 매출액 7,257,447,443원'''[* ~ 2022/11/20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를 적용해 주세요. ## 날짜는 개봉 일정에 맞게 변경해 주세요 1주차 첫날에 [[블랙 아담(영화)|블랙 아담]]을 제치고 2위를 기록했으며, 이후 같은 날에 개봉한 [[리멤버(영화)|리멤버]]를 제치고 '''1위'''를 기록했었다. 2주 연속 박스오피스 1위를 했지만 흥행성적은 그렇게 좋지는 않다. 3주차부터 [[블랙 팬서: 와칸다 포에버]]에 밀려 2위로 내려앉았다. == 기타 == * 오리올 파울로의 영화는 2018년 더 바디(El Cuerpo)를 리메이크한 [[사라진 밤]]에 이어 이 작품이 두번째로 한국에서 리메이크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2022년)] [각주] [[분류:2022년 영화]][[분류:한국의 스릴러 영화]][[분류:한국의 범죄 영화]][[분류:한국의 미스터리 영화]][[분류:한국의 느와르 영화]][[분류:서스펜스 영화]][[분류:피카레스크#blur]][[분류:해외 영화 원작 영화]][[분류:나무위키 영화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