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광역행정구역)] [include(틀:자강도의 시군)] ||<-4> [include(틀:국기, 국명=북한, 출력= )] '''[[북한|{{{#000000,#dddddd 북한}}}]]의 [[도(행정구역)|{{{#000000,#dddddd 도}}}]]'''[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1 자강도}}}'''[br]慈江道[br]{{{-1 Jagang Province}}}}}}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자강도, 너비=100%, 높이=100%)]}}} || ||<-2> '''도소재지''' ||<-2> [[강계시]] || ||<-2> '''하위 행정구역''' ||<-2> 3[[일반시|시]] 16군 || ||<-2> '''면적''' ||<-2> 17,248km² || ||<-2> '''인구''' ||<-2> 1,352,180명 || ||<-2> '''인구밀도''' ||<-2> 78명/㎢ || ||<-2> '''당위원회 책임비서''' || [include(틀:조선로동당)] || [[강봉훈]] || ||<-2> '''인민위원장''' || [include(틀:조선로동당)] || 김영춘 || ||<-2> [[지역번호|{{{#ffffff '''지역번호'''}}}]] ||<-2> '''067''' || ||<-2> [[ISO 3166-2|{{{#ffffff '''ISO 3166-2'''}}}]] ||<-2> '''KP-04'''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의 [[도(행정구역)|도]]. 자강도의 도소재지는 [[강계시]]이며 2008년 기준 인구는 135만 2180명이다. 대한민국은 공식적으로 북한의 행정구역 체계를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교과서 등의 국가발행물에서는 [[량강도]]와 마찬가지로 표시되지 않는다. 교과서의 경우 "북한의 행정 구역" 등 이름으로 별도로 다루는 경우 지도상에 [[량강도]]와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자강도의 이름은 고려, 조선 때처럼 대표도시인 [[자성군|자성]]과 [[강계시|강계]]에서 한 글자씩 이름을 따왔다. 그런데 자성이 강계 다음으로 큰 도시는 아니다. [[희천시]], [[만포시]]가 자성보다 인구가 많다. [[경기도]]를 제외한 7도는 전부 해당 도내에 있는 대표 도시 두 곳의 앞 글자를 딴 것이다. [[전라도]]는 [[전주시|전주]]와 [[나주시|나주]], [[충청도]]는 [[충주시|충주]]와 [[청주시|청주]], [[평안도]]는 [[평양]]과 [[안주시|안주]], [[함경도]]는 [[함흥시|함흥]]과 [[경성군|경성]], [[강원도]]는 [[강릉시|강릉]]과 [[원주시|원주]], [[황해도]]는 [[황주군|황주]]와 [[해주시|해주]], [[경상도]]는 [[경주시|경주]]와 [[상주시|상주]]의 앞 글자를 땄다. 그리고 이 대표 도시는 이름이 붙은 조선시대 기준이기 때문에 현대 대한민국 기준으로는 그렇게 크지 않은 도시인 경우도 많다. == 역사 == 1949년 1월: 북한은 [[평안북도]] [[강계군]], [[희천군]], [[초산군]], [[위원군]], [[자성군]], [[후창군]] 등 평안북도 동부 6개 군과 [[함경남도]] [[장진군]] 동문면을 분리하여 자강도를 신설, 도소재지를 강계군 강계면에 두었다. 이때 자강도를 신설하면서 강계군 만포면, 고산면, 시중면, 외귀면, 이서면의 강계군 북부 5면[* 광복 당시 강계면과 만포면은 [[면(행정구역)|면]]이 아니라 [[읍(행정구역)|읍]]인 강계읍, 만포읍이었지만 1946년 읍이 폐지되어 북한의 모든 읍이 일괄적으로 면으로 격하된 상태였다. 이후 읍은 1952년 [[군면리 대폐합]]으로 다수 부활했지만 이번에는 면이 폐지되어 현재 북한에는 읍만 남게 되었다.]을 분리해 [[만포군]]을 신설하였고, 강계군 전천면, 성간면, 간북면, 화경면, 입관면, 용림면 등 강계군 남부 6개 면을 분리해 [[전천군]]을 신설해 강계군을 셋으로 나눴다. 또한 자강도로 분리한 장진군 동문면을 강계군에 편입하였다(총 8군). 1949년 12월: 도소재지인 강계군 강계면이 [[강계시]]로 승격하였고, 잔여 지역은 [[장강군]]으로 개칭하였다(총 1시 8군). 1952년 12월: [[군면리 대폐합]]으로 [[동신군]], [[송원군]], [[고풍군]], [[룡림군]], [[성간군]], [[시중군]], [[중강군]], [[화평군]]이 신설되었으며 장강군 동문면은 함경남도 [[랑림군]]으로 넘어갔다(총 1시 16군) 1954년 10월: [[량강도]]가 신설되면서 후창군이 량강도로 이관되었으며, 평안북도 [[우시군]]과 함경남도 랑림군을 편입하였다(총 1시 17군). 1967년 10월: 만포군이 [[만포시]]로 승격하였다(총 2시 16군). 1967년 11월: 희천군이 [[희천시]]로 승격하였다(총 3시 15군). 2023년 2월: 평안북도 [[향산군]]을 편입하였다(총 3시 16군). == 역대 책임비서/인민위원장 == === 책임비서 === * [[강석숭]](1969) * [[강성산]](1969) * [[리봉길]] * [[리동춘(1933)|리동춘]] * [[연형묵]](1992~2005) * [[박도춘]](2005~2010) * [[주영식]](2010~2012) * [[류영섭]](2012~2013) * [[김춘섭]](2013~2015) * [[김재룡]](2015~2019): 2016년부터는 당위원장으로 재임. * [[강봉훈]](2019~현임): 2021년부터는 책임비서로 재임. === 인민위원장 === * [[박창식(고려인)|박창식]](1955 ~ ?) * 리봉길(1967~?) * 리봉길(1973~?) * 한영봉 * [[박승일(북한)|박승일]](1983~1984) * 김종호(1984~?) * 리봉길(~1992) * 연형묵(1992~1998) * 김종호(1998~2001) * 최기룡(2001~2011) * [[김덕훈]](2011~2014) * 리형근(2014~현임) == 자연 == 면적의 90%가 산지인데다 대륙성 [[냉대기후]] 지역답게 겨울에 몹시 춥고 일교차와 연교차가 심하다. 한국에서 추운 곳으로 알려진 [[중강진]]이 [[중강군]]([[광복]] 당시에는 [[자성군]]의 일부)에 있으며, [[6.25 전쟁]] 당시 [[한국군|국군]]이 유담리를 넘어 진격하려고 했던 동문거리가 바로 [[낭림군]](광복 당시는 [[함경남도]] [[장진군]]의 일부)이다. 이에 대해서는 [[장진호 전투]]를 참고. == 도 신설 의도 추측 == [[량강도]]/자강도 신설과 [[황해도]]의 [[황해남도|남]]·[[황해북도|북도]] 분할은 분단 당시 북한이 6도, 남한이 9도로 총선거 때 의석이 부족할 것을 우려했다는 설이 잘 알려져 있다. 북한의 경우 [[삼팔선]] 이북의 [[경기도]] 지역을 [[황해도]]와 [[강원도]]로 분할 편입해서 6도이고 남한의 경우 [[삼팔선]] 이남 [[황해도]] 지역을 [[경기도]]로 편입시켰으나 동시에 [[제주도(대한민국)|제주도]]를 신설해서 현재도 여전히 9도이다. 이건 어디까지나 추측일 뿐이다. 북한에서 치러진 선거는 남한에서와는 달리 공산주의식 찬반선거였으므로, 북한에서 남한과 같은 방식의 총선거를 할 의향이 있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래도 어떤 방식으로 남한과 통일임시정부 같은 조직이 만들어졌을 때 도의 갯수가 같아야 불리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을 가능성은 있다. 이후 북한에서 도급의 행정구역인 직할시/특별시의 승격과 강등을 수없이 반복하는 것을 보면 큰 행정구역들을 쪼개서 주민통제를 철저히 하려는 의도가 아니었나 싶기도 하다. == 인문환경 == 주요 도시는 [[강계시]], [[만포시]], [[희천시]] 등. [[북한]]에서는 굉장히 춥고 척박한 곳으로 여겨지지만, 한편으론 물 좋고 [[미인]] 많은 곳으로도 유명하다. 도의 최대 도시인 [[강계시]]가 수려한 경관, 좋은 물, 미인, 살기 좋은 곳으로 유명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강계시]]는 [[6.25 전쟁]] 당시 북한이 한창 밀릴 때 [[임시수도]]로 기능하기도 했다. 나름대로 교통편도 좋은 곳인데, [[혜산만포청년선]]을 청년돌격대를 동원해서 뚫어버렸다던가([[만포선]]은 이미 [[일제강점기]]에 진즉 뚫렸다), [[평양묘향산간 고속도로|평양 - 희천간 고속도로]]가 뚫렸다. 덧붙이자면 북한은 [[평양신의주간 고속도로]]도 아직 개통되어 있지 않다. 〈영 파이오니어 투어스〉라는 여행사에서 [[만포시]] 1일 관광 상품을 2019년 5월 내놓은 것이 첫 자강도 관광 상품이었으나, 다른 도는 이미 관광 상품이 존재하였다. [[https://www.yna.co.kr/view/AKR20190515171700504|#]] 이는 코로나19 유행 이후로 잠정적으로 중단된 것으로 보인다. [[신은미]]가 평안북도를 거쳐 육로로 [[희천시]]를 방문한 사진을 올린 적은 있다. 신은미 문서를 보면 알 수 있듯 정치 성향 논란이 좀 있으나 아예 외부인이 희천의 사진을 올린 경우는 이것 뿐이다. [[김일성]] 관련 유적들이 많은 곳이다. === 경제 === 지역이 지역인지라 [[벼]]보다 [[옥수수]]와 [[콩]]을 많이 재배한다고 한다. 벼는 주로 낮은 평야지대에서 재배한다고 한다. 그 외에 감자, 밀, 보리 등도 재배한다고 한다. 평지는 없지만 곡식 외에 [[과일]]을 많이 재배한다. 그래서 북한의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과수원이 많다고 한다. 주로 재배하는 과일은 [[배(과일)|배]]와 [[포도]]이다. 또한 자강도에서 재배하는 배와 포도로는 [[과일주]]과 [[리큐르]]를 제조한다. 자강도 [[강계시]]에 있는 강계포도술공장이 북한의 유명한 [[과일주]] 생산 공장이다. 인풍술과 백로술이 대표적인 제품들이다. 다만 주민이 가장 많이 종사하는 분야는 군수분야로 추정된다. 위와 같은 주장은 북한의 문헌을 정리한 것으로 보이는데, 군사기밀을 북한에서 공개적인 자료에 쓸 수 없기에 쓰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 무역일꾼 등을 조사한 곽인옥 교수에 따르면 물류 유통도 [[만포시|만포]]라는 국경도시를 통해서 자체적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북한의 지역과는 유통이 잘 안된다고 추정하였다. [[http://www.e-conom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823|#]] === 군사적 가치 === 군사적 요충지로 여겨진다. 한국 전쟁 당시 북한의 임시 수도가 바로 자강도의 [[강계시]]였기 때문에 자강도 전체가 유사시 후방 역할로 군수 공업이 크게 발달해 있다. 김씨 일가 입장에서는 나중에 전쟁이 터졌을 때 평양까지 밀리고 나면 최후의 항전을 할 곳이 바로 자강도인 셈. 이로 인해 대를 이어 군수공업에 종사하라는 통제가 극심하여 시장경제의 발달이 이웃한 도에 비해 미흡하다고 알려져 있다. 환경오염도 심하다는 주장도 있다. 또한 군수공업 종사자가 도민의 과반이라는 주장도 있다.[[https://www.dailynk.com/%EC%9E%90%EA%B0%95%EB%8F%84-%EA%B8%B0%ED%98%95%EC%95%84-%EC%B6%9C%EC%83%9D%EC%9D%B4-%EB%9E%91%EB%A6%BC%ED%98%B8%EC%88%98-%EC%98%A4%EC%97%BC-%EB%95%8C%EB%AC%B8-%EC%A3%BC%EB%AF%BC%EB%93%A4-%EB%B6%88/|#]] 2020년 북한의 도 중 식량 사정이 가장 안 좋은 곳으로 알려지기도 했다.[[https://www.dailynk.com/20201023-4/|#]] [[전천군]]에 병기 공장인 [[전천 2.8 기계공장]]이 있다. [[화성-15]]가 발사된 곳. 또한 이곳 [[용림군]](룡림군)에는 북한의 지하 [[미사일]]기지가 있고,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는 위치 중 하나다. 2017년 7월 8일 23시 45분 경에 이곳에서 규모 2.8 진동이 잡혔다. 자연 [[지진]]일 수도 있지만 미사일 폭발 사고일 수도 있다. [[극초음속 미사일 2형]]도 자강도 일대에서 연달아 발사되었다. 산악지형이라 터널 뚫기가 용이하고, 남한과의 거리도 상대적으로 멀어 여러모로 유리하다. 중국과 인접해 있어 미군의 폭격도 부담스러운 상황. 까딱하면 중국이기 때문에 공군 폭격이든 탄도미사일 발사든, 중국을 자극하기 쉽다. 거기에 북한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12군단|제12군단]]을 창설한 곳이기도 하다. === 폐쇄성 === 폐쇄적인 국가로 유명한 북한 내에서도 유별나게 폐쇄적인 곳이라고 한다. 가히 '''북한 안의 [[알바니아 인민 사회주의 공화국|알바니아]]'''[* [[엔베르 호자]] 시기 [[알바니아]]는 오늘날의 북한도 개방적으로 보이게 만들 정도로 극단적인 폐쇄 정책을 펼쳤다. 국가에 제대로 된 항공사도 두지 않고 '''[[올림픽]] 참가도 지속적으로 거부할 정도'''였으니...]라 봐도 과언이 아닌 수준. 이동의 자유가 제한된 북한 내에서도 [[비밀도시|가장 이동이 제한된 곳이라고 꼽히기도 한다]]. 특권 계층인 [[평양]] 시민들 역시 이곳을 오가려면 허가증이 필요할 정도. 출입제한구역이 곳곳에 있다고 알려져 있다. 군수시설, 군수공업 종사자가 많은 것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이런 이유로 타지에서는 이곳의 [[서북 방언|사투리]]를 심하다고 여긴다. 이 지역의 사투리에 대한 언급을 참고하면, 이동 제한과 폐쇄성으로 인해 다른 평안도 지역에 비해 본연의 평안도 방언이 변화를 적게 겪은 상태로 남아있는 것으로 짐작된다. 특히 자강도는 거주하는 지역 밖에 있는 다른 '''군'''으로 이동하려고 해도 [[려행증]]을 따로 발급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사실 [[김일성]] 시기에는 자강도 외 다른 지역들도 다른 군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려행증을 발급받아야 가능했지만, [[김정일]] 시기 [[고난의 행군]]의 여파로 살기 위해 식량을 찾으러 다은 지역으로 가는 사람들이 많아지며 다른 도로 이동할 때에 려행증을 발급받아야 하는 것으로 완화되었다.] 또 자강도는 북한 체제의 선전을 곧이 곧대로 믿는 경우가 [[함경북도]] 같은 곳에 비해 많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점에 대해서 다른 북한 지역 주민들도 의아하게 보는 나머지 '''자갈도'''라는 별명으로 부른다고 한다. ''''혁명의 수도'라 불리우는 [[평양시]] 시민들조차 자강도 주민들의 비정상적인 충성심에 경악할 정도라고 한다.''' 이웃한 량강도 탈북민도 이 지역에 대해 군수 공업 발달 등 단편적인 정보만 아는 경우가 많다. 다른 북한의 지방 도시는 [[유튜브]]에 [[고려투어]]의 영상이나 외국인이 촬영한 영상이 올라와 있을 정도로 외국인 관광객에게도 [[해주]], [[원산]], [[사리원]] 등 한 번 정도는 보여준다. 그런 지역과 달리 자강도는 [[묘향산]] 일대를 제외하고는 개방이 되어있지 않다. [[탈북]]이라는 측면에서는 옆쪽의 [[량강도]]에 밀리고, [[중국]]과의 [[무역]]이라는 점에서는 역시 옆집인 [[평안북도]]에 밀린다. 상대적으로 [[무관심]]한 지역. 국내 [[탈북민]] 중에서 자강도 출신이 인구가 더 적은 량강도의 20분의 1이 채 안될 정도이다. 자강도 출신은 2020년 3월 총 238명으로 집계된다. 즉, 국경과 인접한 곳을 제외하면 북한에서 가장 폐쇄적인 곳이라고도 할 수 있다. [[갈렙선교회]]의 [[유튜브]] 동영상에 '[[강계시]]', '[[만포시]]'와 같은 지명이 언급되는 것으로 보아 이곳을 촬영하는 듯하다. 정유나에 의하면 자강도가 외국은 물론 북한 내의 다른 지역과도 교류가 적을 정도로 외부와 철저히 고립돼 있다는 지리적 특성도 있고 북한의 군수공장이 많아 우상화도 더 잘 먹힌다고 한다. 군수사업 특성상 배급이 잘되기도 하고, 보안과 관련된 조치가 심해 일반적인 북한의 지역에 비하면 외부 문물이 제대로 들어오지 못하여 주민들이 깨기 어렵게 하는 요소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이 지역은 탈북민이 적은 것이라고 분석했다. 게다가 압록강이 두만강보다 훨씬 탈북하기도 어렵고, 군수공장마다 초소 경비가 삼엄해서 더욱 탈북하기 어렵다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z5nzM1wRFQk|출처]] 그런데 한편으론 국경지대의 [[만포시]], [[자성군]], [[중강군]], [[화평군]] 일대는 밀수를 중국과 해본 적도 있는 것으로 보이고[[https://www.dailynk.com/%EC%9E%90%EA%B0%95%EB%8F%84-%EC%9E%90%EC%84%B1-%EB%A7%8C%ED%8F%AC%EB%8F%84-3%EC%9D%BC%EB%B6%80%ED%84%B0-%EB%B4%89%EC%87%84%ED%83%88%EB%B6%81%C2%B7%EB%B0%80%EC%88%98-%EC%82%AC%EA%B1%B4/|#]][[https://www.dailynk.com/20230524-3/|#]], 도 소재지 [[강계시]]를 찍은 영상에서는 시내 거리에서 연인끼리 손을 잡는 외부 풍습을 따라하는 영상도 발견된 것으로 보면 이 지역에는 좀 깬 사람들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제는 시대가 바뀌어 자강도 사람들조차 북한 당국에 불만을 품는다는 증언이 나왔다. 2023년 7월 21일 [[데일리NK]]가 보도한 바에 따르면 자강도 사람들은 [[강계시]] 밖에 종합약국을 설치한다는 북한의 조치에 대해 "병원이 있어도 온전히 우리나라 이름으로 된 약 하나도 제대로 못 사 먹는데(무상치료를 해준다는 병원에 가도 약이 없어 중국에서 밀수입해서 장마당에서 파는 약을 사먹어야 한다는 뜻이다) 약국을 건설한들 무슨 소용이겠냐"라고 불만을 품고 있다는 증언이 나왔다. [[https://www.dailynk.com/20230721-2/|#]] 자강도 사람들조차 북한의 현실에 대한 나름대로의 불만을 품고 있을 정도니 다른 지역 사람들이 북한 체제를 어떻게 생각할지는 안 봐도 뻔하다. === 자강도 정신 === >자강도는 고난의 행군시기 나에게 정든 고장입니다. >---- >[[김정일]]의 교시 자강도는 [[고난의 행군]]시기 적극적으로 대처하기도 해서 북한 정권이 '''자강도 정신''' 내지는 '''강계 혁명정신'''이라고 치켜세우며 다른 지역이 본받아야 할 본으로 내세우고 있다. 고난의 행군 시기 자강도는 10여개의 중소형 수력발전소들을 건설해 공장들의 전력난을 해결했고, 당의 도움없이도 각종 시설물들을 자체적으로 건설했다. 또한, [[이탄]]을 응용한 각종 대체식품들을 주민들에게 공급해 기아에 대처했다. 북방민족들이 이탄을 섞어만든 음식을 먹었던것에서 착안해서 보급했던것이다. 물론 전력난때문에 가공이 원할히 진행되지는 않았고, 항문이 막혀 죽은 사람들도 많았다. 자강도의 이러한 대처방식은 김정일도 감동시켰다고 한다. 이를 잘 드러내는 작품이 [[2001년]]에 개봉한 북한 영화 <<자강도 사람들>>이다. == 출신 인물 == 외교관 출신 탈북민 [[고영환]]은 [[강계시]] 출신, [[이만갑]] 출연진이기도 한 [[정유나(방송인)|정유나]]가 이 도 [[전천군]] 출신이다. [[북한군 노크 귀순 사건|2012년 노크 귀순]]의 주인공인 임바울 [[목사]]도 이 도 출신이라고 한다. == 광복 직후 /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 [[파일:1467303393.jpg|height=300]] [[파일:3000.gif|height=350]] ▼좌측이 [[광복]] 직후, 우측이 2023년 2월 편입된 향산군을 제외하면 현 [[북한]]에서 사용하는 행정구역. 표에서 기록하는 행정단위의 이동은 면 단위 이하는 기록하지 않는다. 면적의 단위는 ㎢이며 소수점 이하는 반올림하였다. ||<-9> [[평안북도]] 및 자강도의 행정구역 변화 || ||<-4> 구 행정구역 ||<-5> 신 행정구역 || || 도 || 번호 || 시 / 군 || 면적 || 도 || 번호 || 시 / 군 || 면적 || 참고 || || [[평안북도]] || A || '''[[신의주시]]''' || ||<|2> 평안북도 ||<|2> A ||<|2> '''신의주시''' ||<|2> 166 || [* 구 행정구역의 면적이 10.6㎢로 제시되는 경우가 있는데, 명백한 오류. 구 행정구역과 신 행정구역에서 변화된 것이라고는 [[의주군]]에서 위화면([[이성계]]가 [[위화도 회군|회군]]했다는 바로 그 [[위화도]])이 넘어온 것과 용천군에서 삼교천 일대 유역 일부가 넘어온 게 전부이기 때문.] || ||<|5> 평안북도 ||<|5> B ||<|5> [[의주군]] ||<|5> '''1,677''' || [* 서쪽 끝의 위화면이 이동.] || ||<|4> 평안북도 || B || 의주군 || 420 || || || C || 피현군 || 439 || [* 위원면, 고관면의 절반, 비현면, 월화면이 이동] || || D || [[삭주군]] || || [* 가산면, 광평면, 옥상면이 이동. 현재의 삭주군 면적 대부분은 의주군에서 온 것이며 원래 삭주군이였던 지역은 1/3 정도만 남아 있는 상태.] || || E || [[천마군]] || 763 || [* 고령삭면이 이동] || ||<|4> 평안북도 ||<|4> C ||<|4> 용천군 ||<|4> 570 ||<|4> 평안북도 || C || [[피현군]] || 439 || [* 동북부 동상면이 이동] || || F || 룡천군 || 270 || || || G || [[신도군]] || 108 || [* [[비단섬]] 일대의 섬만 따로 떼어서 만든 군.] || ||<|2> H ||<|2> 염주군 ||<|2> 330 || [* 군 남단의 내중면, 외하면, 외상면, 부라면이 이동] || ||<|3> 평안북도 ||<|3> D ||<|3> [[철산군]] ||<|3> 456 ||<|3> 평안북도 || [* 군 북부의 서림면이 이동] || || I || 철산군 || 364 || || ||<|2> J ||<|2> [[동림군]] ||<|2> 437 || [* 군 북부의 점면이 이동] || ||<|2> 평안북도 ||<|2> E ||<|2> [[선천군]] ||<|2> 673 ||<|2> 평안북도 || [* 군 서부의 심천면, 용연면이 이동] || || K || 선천군 || 450 || || ||<|3> 평안북도 ||<|3> F ||<|3> [[정주군]] ||<|3> 828 ||<|3> 평안북도 || L || [[곽산군]] || 310 || [* 군 서부의 안흥면, 옥천면, 관주면, 임포면이 이동] || || M || '''[[정주시]]''' || 473 || || ||<|2> N ||<|2> 운전군 ||<|2> 360 || [* 군 동부의 고덕면, 마산면, 대전면이 이동] || ||<|2> 평안북도 ||<|2> G ||<|2> [[박천군]] ||<|2> 589 ||<|2> 평안북도 || [* 군 서부의 용계면의 절반, 청룡면의 절반, 가산면, 양가면, 서면이 이동] || || O || 박천군 || 288 || || ||<|3> 평안북도 ||<|3> H ||<|3> [[영변군]] ||<|3> '''1,709''' ||<|2> 평안북도 || P || 녕변군 || 504 || || || Q || [[구장군]] || 584 || [* 군 동부 남신현면, 고성면의 절반, 오리면의 절반, 용산면, 백령면이 이동] || || 자강도 || R || [[향산군]] || 483 || [* 군 동북부 남송면의 2/3, 태평면, 북신현면이 이동][* 2023년 2월 자강도로 편입] || || 평안북도 || I || [[운산군]] || 820 || 평안북도 || S || 운산군 || || [* 정확한 면적은 불명이지만 행정구역의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860~870㎢ 정도일 것으로 추정된다. 잠시 금광이 있던 지역을 북진군으로 분리한 적이 있다.] || || 평안북도 || J || [[태천군]] || 684 || 평안북도 || T || 태천군 || 730 || || ||<|2> 평안북도 ||<|2> K ||<|2> [[구성시|구성군]] ||<|2> '''1,242''' ||<|2> 평안북도 || E || [[천마군]] || 763 || [* 군 서부의 관서면, 천마면, 사기면이 이동] || || U || '''구성시''' || 653 || || ||<|2> 평안북도 ||<|2> L ||<|2> [[삭주군]] ||<|2> '''1,153''' ||<|2> 평안북도 || D || 삭주군 || || || || W || [[대관군]] || 837 || [* 군 남부의 수동면, 양산면, 외남면, 남서면이 이동] || ||<|2> 평안북도 ||<|2> M ||<|2> [[창성군]] ||<|2> '''1,323''' ||<|2> 평안북도 || V || 창성군 || 620 || || || Y || 동창군 || 665 || [* 군 남부의 청산면, 대창면, 동창면이 이동] || ||<|7> 평안북도 ||<|7> N ||<|7> [[강계시|강계군]] ||<|7> {{{#ff0000 '''5,404'''}}} ||<|7> 자강도 || 1 || '''강계시''' || 264 || || || 2 || '''[[만포시]]''' || 672 || [* 군 북서부의 고산면, 만포읍, 문옥면, 이서면과 외귀면의 1/3이 이동] || || 3 || 시중군 || 602 || [* 군 북서부의 외귀면 남부 2/3, 시중면, 곡하면, 어뢰면이 이동] || || 4 || [[장강군]] || 727 || [* 군 서부의 공북면, 종남면, 종서면이 이동] || || 5 || [[성간군]] || 949 || [* 군 중부의 성간면, 간북면이 이동] || || 6 || [[전천군]] || '''1,001''' || [* 군 남서부의 전천면, 화경면과 입관면의 서부 1/5이 이동] || || 7 || [[룡림군]] || '''1,195''' || [* 군 남동부의 용림면과 입관면의 대부분이 이동] || ||<|2> 평안북도 ||<|2> O ||<|2> [[희천군]] ||<|2> {{{#0000ff '''2,366'''}}} ||<|2> 자강도 || 8 || '''희천시''' || 984 || || || 9 || 동신군 || '''1,205''' || [* 군 동부의 신풍면, 장동면, 동창면이 이동] || ||<|3> 평안북도 ||<|3> P ||<|3> [[자성군]] ||<|3> '''1,806''' ||<|4> 자강도 || 10 || 자성군 || 887 || || || 11 || 중강군 || 669 || [* 군 최북단의 장토면, 중강면이 이동] || ||<|2> 12 ||<|2> [[화평군]] ||<|2> '''1,219''' || [* 군 남부의 이평면이 이동] || ||<|2> 평안북도 ||<|2> Q ||<|2> [[후창군]] ||<|2> {{{#0000ff '''2,429'''}}} || [* 군 서남부의 남신면, 칠평면이 이동] || || [[량강도]] || || [[김형직군]] || '''1,473''' || [* [[후창군]]이 이름이 바뀐 것.] || || [[함경남도]] || || [[장진군]] || {{{#ff0000 '''5,688'''}}} || 자강도 || 13 || [[랑림군]] || {{{#0000ff '''2,062'''}}} || [* 동문면, 북면과 상남면의 서부 절반이 이동] || || 평안북도 || R || [[위원군]] || '''1,234''' || 자강도 || 14 || 위원군 || '''1,160''' || || ||<|3> [[평안북도]] ||<|3> S ||<|3> [[초산군]] ||<|3> {{{#0000ff '''2,328'''}}} ||<|3> 자강도 || 15 || 초산군 || 590 || || || 16 || [[고풍군]] || 675 || [* 군 중부의 고면, 풍면, 강면이 이동] || || 17 || [[송원군]] || '''1,080''' || [* 군 남부의 판면, 송면, 도원면이 이동] || ||<|2> 평안북도 ||<|2> T ||<|2> [[벽동군]] ||<|2> '''1,215''' || 자강도 || 18 || [[우시군]] || 703 || [* 군 동부의 벽동면의 동부 절반, 오북면, 우시면, 가별면이 이동] || || 평안북도 || X || 벽동군 || 640 || || [[분류:자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