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잉여맨/방송)] [include(틀:잉여맨)] [목차] == 개요 == [[잉여맨]]의 [[잉여맨/방송|방송]] 컨텐츠 제작팀들을 정리해놓은 문서이다. 2016년 10월 30일 이후로 아프리카티비 공식 스트리밍을 중단한다는 선언을 거친 이후로 공식팀들은 더이상 활동할 이유가 없어졌다. 유튜브 스트리밍으로 복귀하지 않는 이상 팀 전부가 활동 중단인 상황. > '''지금 보고 있는 이 문서는 [[유튜브 크리에이터|유튜버]]로써의 기능을 상실한 문서로, [[아프리카TV]] 시절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유튜브]] 방송의 내용을 참고하려면, [[잉여맨]] 문서로 이동하십시오.''' == 잉여맨TV 현재 제작팀 == 잉여맨TV 제작팀들은 멤버가 팀장이 되어 팀을 이끌어 나간다. 멤버들이 각자의 팀을 만들어 컨텐츠 개발 등 여러가지 활동을 하고 있다. --진짜일까-- 예전엔 탈출맵 몇개만 던져놓았지만 요즘은 컨텐츠를 많이 만드는 추세. 제작팀들은 특정 분야별로 지금도 모집 중이니 관심 있으면 신청해보자. --멤버가 탈퇴하면 그 팀의 존재는 알 수 없는 현실-- 또한 팀의 색깔을 팀장의 상징색으로 구별하고, [[잉여맨/방송/관계자]] 문서에 있는 멤버 가나다순을 적용하였으니 편집시 참고. 현재 활동이 아예 없는 팀은 취소선을 입력한다. === ~~아재팀~~ === || 팀명 || {{{#!html아재팀}}} || || 인원 모집글 || ~~[[http://cafe.naver.com/olddogz/150832|아재팀의 인원모집글]]~~ || || 팀장 || {{{#!html잉여맨}}} || || 분류 || 컨텐츠 제작 || || 제작한 컨텐츠 || || 제작팀이 거의 전부 해체되고, 모든 제작팀의 활동이 없어졌을때 BJ인 잉여맨이 직접 만든 팀이다. 제일 최근에 신설된 팀이다. 실력이 크게 없는 사람도 후하게 받아준다고 한다. 현재는 해체되었다. === ~~노재미팀~~ === || 팀명 || 노재미팀 || || 인원 모집글 || [[http://cafe.naver.com/olddogz/139344|노재미팀의 인원모집글]] || || 팀장 || [[쥐늑대]] || || 분류 || 컨텐츠 제작 || || 제작한 컨텐츠 || 런잉맨 [br] 먹이사슬 [br] 슬랜더맨의 숲 [br] 좀비 특집[* 여담으로 한 노재미팀 팀원에 의하면, 노재미팀은 좀비특집 만 계속 만든다는 말이 있다(...)] [br] 탈출맵:쥐늑대의 마검 탈출맵 || === ~~IC 스킨팀~~ === || 팀명 || IC--아이씨-- 스킨팀 || || 인원 모집글 || [[http://cafe.naver.com/olddogz/142150|IC 스킨팀의 인원모집글]] || || 팀장 || 김페럿 || || 분류 || 방송 지원 || || 제작 || 마인크래프트 스킨 || ||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channel/UCHGsNubY964vpcxrlL45p3Q|IC스킨팀 유튜브]] || 유일하게 팀장이 멤버가 아닌 팀이다. 또한 컨텐츠 제작팀 중 처음으로 유튜브 채널이 개설되었다. 잉여맨TV 멤버들의 스킨 제작 영상을 올리고 있다. 허나 팀원들의 학업 크리(...)로 요즘은 영상이 잘 올라오지 않는다. == 잉여맨TV 과거 제작팀 == 과거 제작팀들은 대부분 멤버가 탈퇴하여 없어졌거나, 소속되어 있는 멤버가 팀을 옮겨 해체된 제작팀들이다. === 오아시스팀 === || 팀명 || 오아시스팀 || || 인원 모집글 || [[http://cafe.naver.com/olddogz/142316|오아시스팀의 인원모집글]] || || 팀장 || 김낙타 || || 분류 || 컨텐츠 제작 || || 제작한 컨텐츠 || 3D 숨바꼭질 [br] 공동경비구역 [br] 탈출맵:우주 공간 탈출맵 [br] 프리즌 투명인간 [br]탈출맵:사과를 찾아서 || || 사유 || 팀장 낙타의 탈퇴로 인하여 해체되었다. || 낙타가 전역하면서 만든 신생 제작팀. 우주공간 탈출맵 등 신기한 기능을 사용한 맵이 많다. 주로 커맨드를 사용한 컨텐츠를 제작했었다. === 남쨩팀 === || 팀명 || 남쨩팀 || || 팀장 || 김리하 || || 분류 || 컨텐츠 제작 || || 제작한 컨텐츠 || || || 사유 || 몇달동안 팀 방이 조용하더니 팀장 김리하의 탈퇴로 인해 해체되었다. || 팀장 김리하가 전 소속팀인 쓰리캐슬의 팀원들을 데려온 후속팀이다. 자세한 내용은 쓰리캐슬 항목 참조. 여담으로 꿀벌 대소동[* 아이디어는 윤설레임팀에서 얻었다고 한다.]이라는 [[잉여맨/컨텐츠/대규모 시청자 참여 컨텐츠|대규모 시청자 참여 컨텐츠]]를 준비중이라 한다. --그리고 부족전쟁 시리즈는 다신 안 한다 카더라-- === 3Castle === || 팀명 || 3Castle[* 한글로 풀이한 팀 이름이 [[삼식|타 비제이 이름]]과 비슷해 영어로 불리게 되었다.] || || 팀장 || 김리하 || || 분류 || 컨텐츠 제작 || || 제작 컨텐츠 || M1Z1 [br] ~~망즈니~~[[디즈니]] [br] 부족전쟁 시리즈[* 대규모 시청자 참여 컨텐츠인 부족전쟁1과 부족전쟁2로 시청자들에게 많은 호평을 받았다.] [br] 앵그리버드 [br] 김리하 생일 축하 탈출맵[* 쓰리캐슬의 팀원들이 만들었다고 한다.( 마시 라는 팀원 혼자서 만들었다고도 얘기가 나온다 )] || || 사유 || 팀원들의 출석률 문제로 해체되고 '''남쨩팀'''이라는 새로운 컨텐츠팀 개설.[* 쓰리캐슬과 똑같이 팀장은 김리하이며, 쓰리캐슬 해체 무렵 팀원이었던 사람들 중 활동률이 높은 팀원 다섯 명을 데리고 남쨩팀으로 이동.] || 다른 팀의 이름은 '~팀'이라 불리지만, 3Castle만은 그냥 '쓰리캐슬'이라 불린다. 해체 무렵 팀원이 팀장 포함해 5명 밖에없는 소수의 팀이었다고 한다. 현재까지의 컨텐츠에 사용된 기술 전부(매직스펠 제외) 1명의 팀원이 다했다고 한다. === 도넛팀 === || 팀명 || 도넛팀 || || 인원 모집글 || [[http://cafe.naver.com/olddogz/136694|도넛팀의 인원모집글]] || || 팀장 || 이수건 || || 분류 || 컨텐츠 제작 || || 팀원 || 꽃요 등 || || 제작한 컨텐츠 || 골렘을 지켜라:정상대전 [br] 마법 전쟁 [br] 탈출맵 || || 사유 || 팀장 이수건이 탈퇴 || 원래 도넛팀 팀장이였던 가그가 탈퇴하면서 이수건이 출발! 이때팀에서 도넛팀 팀장이 되었다. === 도넛팀(가그) === || 팀명 || 도넛팀 || || 팀장 || 가그 || || 분류 || 컨텐츠 제작 || || 제작 컨텐츠 || 마인즈러너:쿠키런 버전 [br] 모래성 전투 || || 사유 || 팀장 가그의 탈퇴로 팀장 권한이 이수건으로 이행[* 후에 가그가 복귀했지만 도넛팀의 팀장은 바뀌지 않았다.] || === 그림팀 === || 팀명 || 그림(일러스트)팀 || || 팀장 || 꽃요 || || 분류 || 방송 지원 || || 제작 || 그림 || || 사유 || 팀장 꽃요가 탈퇴 || === 팀과 비둘기의 어드벤처 타임 === || 팀명 || 팀과 비둘기의 어드벤처 타임 || || 팀장 || 비둘기머거 || || 분류 || 컨텐츠 제작 || || 제작 컨텐츠 || 미소녀 시뮬레이션 [br] 탈출맵:TNT 100만 개 [br] 탈출맵:남녀의 일기 [br] 탈출맵:멘탈크래쉬 || || 사유 || 팀장 비둘기머거의 탈퇴 || === 택플러스 === || 팀명 || 택플러스[* 택플러스도 쓰리캐슬과 같이 끝에 '~팀'이 붙지 않는다.] || || 팀장 || 태택이 || || 분류 || 컨텐츠 제작 || || 제작 컨텐츠 || 마크 오브 레전드 [br] 붐버맨 [br] 탈출맵:꿀잼 탈출맵 - 일진과 빵돌이 [br] 택플러스의 신들의 전쟁 맵 [br] 팩맨 || || 사유 || 팀장 태택이의 군대 입대와 --없으면 안되는-- 마인팽이 사라져 더이상 팀을 꾸리기 힘든 상황으로 해체[* 하지만 현재(15년 11월) 기준으로 마인팽이 다시 돌아왔고 태택이가 군대를 제대하면 택플러스팀이 다시 탄생할지도 모른다.] || 태택이의 전역후에도 택플러스팀은 재결합되지 않았다. === 출발! 이때팀 === || 팀명 || 출발! 이때팀 || || 팀장 || 이수건 || || 분류 || 컨텐츠 제작 || || 제작 컨텐츠 || 출발! 드잉팀 || || 사유 || 팀장 이수건이 도넛팀으로 가면서[* 가그 탈퇴 후 팀장이 없는 상태. 이 자리를 이수건이 대신 맡게 되었다.] 출발! 이때팀 해체 || 출발! 이때팀은 설플러스에서 멤버팀[* 멤버가 팀장으로 팀을 이끄는 방식.] 방식으로 바뀔때 들어가지 않고 설플러스에 남기로 한 팀 멤버들로 이루어져있었다. 또한 독립으로 있었던 설플러스 번역팀도 합류했다. --사실은 그대로 있었던 설플러스의 이름만 바꾸었을 뿐이다.-- 그러나 이수건이 도넛팀으로 가면서 잔류했던 설플러스 멤버와 번역팀은 사실상 해체되었다. 이수건이 이때팀에서 도넛팀으로 오기 위해서는 --일상을 포기하라는 말도 안되는-- 출석률이라는 조건을 추가로 달았기 때문.[* 또한 나이제한을 16세 이상으로 분명히 했지만 다른 15세 여성멤버를 특별히 뽑았던 논란도 있었다.] === 쮸륵팀 === || 팀명 || 쮸륵팀 || || 팀장 || 쮸쮸 || || 분류 || 컨텐츠 제작 || || 제작 컨텐츠 || 왕을 지켜라 [br] 탈출맵 || || 사유 || 팀장 쮸쮸의 탈퇴 || 쮸쮸가 탈퇴한 후에 탈출맵이 전달된 적이 한번 있었다. 정황상 그때까지 팀이 유지된 것으로 보인다. === 시한부 컨텐츠 제작팀 === || 팀명 || 시한부 컨텐츠 제작팀 || || 팀장 || 돌도끼 || || 분류 || 컨텐츠 제작 || || 제작 컨텐츠 || 톰과 제리 || || 사유 || 팀장 돌도끼의 탈퇴 || === 윤설레임팀 === || 팀명 || 윤설레임팀 || || 인원모집글 || [[http://cafe.naver.com/olddogz/109934|윤설레임팀의 인원모집글]] || || 팀장 || 윤설 || || 분류 || 컨텐츠 제작 || || 제작한 컨텐츠 || 연쇄살잉마 [br] 탈출맵 || || 사유 || 팀장 윤설의 탈퇴 || === 연구소팀 === || 팀명 || 연구소팀 || || 인원모집글 || [[http://cafe.naver.com/olddogz/139403|연구소팀의 인원모집글]] || || 팀장 || 오박사 || || 분류 || 컨텐츠 제작 || || 제작한 컨텐츠 || 무인도 표류기 [br] 문명 [br] 명탐정잉난 [br] 츠쿠요미의 저주 || || 사유 || 팀장 오박사의 탈퇴 || 주로 커스텀 NPC 모드를 사용했었다. == Surplus == '''잉여맨TV 제작팀의 꽃'''[* 잉여맨 역사상 가장 질이 좋은 컨텐츠를 가장 많이 생산했다. --물론 물량빨도 있지만...--] 잉여맨TV는 Surplus[* Surplus의 뜻은 영어로 '잉여의' 라는 뜻라고 한다.]라고, 방송에 도움되는 부서가 존재했었다. 잉여맨이 군 복무중일때 방송시작 900일 기념 이벤트 맵 제작자를 팬카페에서 모집하면서 처음 결성되었다. 이때는 그냥 '제작팀' 이었는데 Surplus이라는 이름은 나중에 붙여졌다. 표기법은 '서플러스'가 맞긴 한데, 대부분 '설플러스'라고 부르면서 설플러스로 굳어졌다. 그래서 불릴때는설플, 설플팀으로 장난식으로는 [[홈플러스]](...)라고도 불린다. 900일 행사를 원활하게 마친 후 그대로 3주년 이벤트까지 기획, 제작하게 되었고 잉여맨이 직접 개입하기 시작하면서 공식 제작팀이 되었다. 제대후에도 상당한 기간동안 방송에 기여하며 활동을 했었다. 이때 상당수의 사람들을 스카웃하고 활동을 열심히했는데 그 컨텐츠와 퀄리티는 상당했다. 아래는 제작부서다. * 제작 담당 컨텐츠, 건축, 플러그인, 모드 등을 개발하거나, 외국어로 된 탈출맵을 번역하기도 한다. 독자적인 컨텐츠 개발에 꽤 신경썼으며, 엄청난 실력자들이 모여있어 퀄리티가 상당하다.(특히 대규모 건축물) 특집이나 컨텐츠 진행중 투명포션을 먹고 진행을 돕는 경우가 많은데,[* 시청자 참여의 경우에는 룰을 위반하는 시청자를 밴한다던가, 좀비특집에서 핵폭탄을 떨어트린다던가, 맵에 문제가 생기면 문제를 해결한다던가] 이 때문에 [[전자오락수호대]]라는 별명도 붙여졌다. * 그림 담당 이 부서는 그림을 그린다. 유튜브 표지 일러스트레이트나 팬카페 표지도 여기서 담당한다. 방송에서 사용되는 그림도 그린다고 한다. * 영상 담당 이 부서는 잉여맨TV의 녹방을 편집한다. 잉여맨 복귀 후 쓰일 특집이나 컨텐츠의 예고 영상이라던가, 룰 설명 영상 등을 만든다. 리퍼와 포캅칩이 제작을 하였다 * 번역 담당 다른 비제이와는 다르게 매우 독특하고 특이한(?)부서로서 비교적 최근에 늦게 신생 부서이다.--사실 정식으로 생긴게 아니라 어쩌다 만들어진게 굳어진거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번역 [* 주로 영어를 한국어로 번역했다.][* 일본어 전공자를 섭외했지만 설플러스가 터지면서 계획은 무산되었다. --애초에 일본 마인크래프트 맵은 마이너하긴 하지만..--]을 맡고 있다. 어드벤쳐맵, 퍼즐맵, 공포맵등 다양한 분야를 번역했지만 주된것은 공포맵이였다. 번역을 할때 표지판, 책같은 텍스트 번역에서 그치지 않고 맵에 들어간 모든 음성까지 '''더빙을''' 했다. 대표작으로는 --가장 퀄리티가 높은 맵으로는-- [[https://youtu.be/YSNFh9ufVj4|악몽]], [[https://youtu.be/-6sqqtDS5zs|테라피]]가 있다. * 엠씨에딧 담당 --이런게 있었어!?----아마 있었을걸-- 마인크래프트 맵제작에 유용한 외부프로그램인 MCedit을 담당했다.이건 부서라고 하기도 뭐한게 설플러스 내에서 '존재'감이 가장 없었고 없는거와 마찬가지였다. 결정적으로 인원은 1명이였다.[* 사실 MCedit 이라는 툴이 유용하지만 마이너하고 커맨드블럭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맵 에디터로써 최강이었지만 등장 후 점점 입지가 좁아졌다.] 하지만 빼자니 뭐하고 언젠간 쓸일이 있겠지 하고 내버려두었다.--다행히 모르겠지만 MCedit은 몇번 사용되었다-- === 해체 === 설플러스에서[* 모든 멤버들이 팀장 밑에 하나의 팀에 있는 시스템] 멤버팀제도[* 멤버당 팀원을 5명에서 많게는 10명 이상 떼어간 제도]로 바뀌면서 해체되었다. 세계전쟁 컨텐츠 제작, 진행중 설플러스 팀원들이 한명씩 스카웃(?)되면서 각자의 멤버팀을 찾아가고 대규모 시청자 참여 컨텐츠인 세계전쟁[* 설플러스에게는 마지막 프로젝트]이 끝나고 완벽하게 해체되었다고 볼 수 있다. [[분류:잉여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