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국내전.jpg|width=100%]]}}}|| [목차] [clearfix] == 개요 == '''English Civil War''' [[1642년]]부터 [[1651년]]까지 [[찰스 1세]]를 중심으로 한 왕당파와 [[잉글랜드 왕국]] 의회를 중심으로 한 의회파가 3차례에 걸쳐 벌인 대규모 [[내전]]이다. 공화정이 수립되었을 때 [[청교도]]식 법규를 기반으로 하여 통치했기에 '''청교도 혁명'''(Puritan Revolution)이라고도 불린다. 한때는 '청교도 혁명'으로 자주 불렸지만 [[혁명]]이라는 단어에 대해서 진지한 고찰에 들어간 20세기 후반부터 콘래드 러설(Conrad Russell) 등 수정주의 성향의 학자들을 중심으로 혁명성이 부정되고, 일반적으로는 '''잉글랜드 내전'''이라고 한다. 단적으로 영문 위키백과의 표제어가 '''English Civil War'''이다. '''[[영국 내전]]'''(British Civil War)이라고도 하지만 '''영국 내전과 잉글랜드 내전은 의미가 조금 다르다.''' 영국 내전은 [[찰스 1세]]와 [[스코틀랜드 왕국]] 귀족들과의 종교 분쟁이 터지면서 스코틀랜드 귀족들이 군사적인 대응을 시작한 1639년부터 [[올리버 크롬웰]]이 스코틀랜드 및 [[아일랜드]]를 완전히 평정한 1651년까지의 사건을 의미하며 '''삼왕국 전쟁'''(Wars of the Three Kingdoms)이라고도 한다. 즉 영국 내전 안에 잉글랜드 내전이 포함되어 있는 것. 의회파의 승리로 [[찰스 1세]]는 처형당했고, [[찰스 2세]]는 추방당했다. 그리고 의회파는 [[올리버 크롬웰]]을 호국경[* 호국경(護國卿, Lord Protector)은 영국에서 왕권이 약할 때 왕을 대신해 섭정을 하던 귀족에게 붙였던 칭호이다.]으로 삼아 [[잉글랜드 연방]]을 세웠다. == 배경 == 1625년에 즉위한 [[찰스 1세]]는 아버지 [[제임스 1세]]의 <[[왕권신수설]]>을 굳게 믿고 있었다. 따라서 왕권을 수호하기 위해 [[1628년]] 강력한 [[상비군]]을 [[절대왕정|만들려고 했다.]] 그 [[세금]]을 거두는 과정에서 [[영국 의회|의회]]가 찰스 1세의 실정을 비판하며 왕의 자의적 권력 행사에 대한 구속을 골자로 하는'''[[권리청원]]'''을 통해 >'''의회의 동의없이 [[잉글랜드 국왕|국왕]]이 세금을 거둘 수 없다.''' 는 조항의 승인을 받아냈다. 찰스 1세는 재정 마련을 위해 의회의 협조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제대로 준수하지는 않았고, 더욱이 의회는 이듬해 1629년에 [[의회 해산|강제로 해산당했다]]. 이후 1640년까지 의회를 소집하지 않고 찰스 1세가 절대적 지배권을 행사했다. 1638년 [[스코틀랜드 국왕]]이기도 했던 [[찰스 1세]]는 측근인 대주교 윌리엄 로드를 시켜 [[스코틀랜드 왕국]]에 [[영국 국교회|잉글랜드 국교회]]를 신봉하게끔 새로운 기도서를 강요했지만, 대다수 백성이 [[장로교]]를 믿던 스코틀랜드가 이에 대항하며 반란을 일으키자 [[찰스 1세]]는 강경 진압을 명했다. 그리고 1640년, 이 전쟁에 필요한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의회를 다시 소집하게 되었다. 의회는 11년간 국왕이 저지른 폭정을 나열하며 반발하였다. 왕은 3주 만에 의회를 다시 해산하였다. 그러나 스코틀랜드와 화의 후 전쟁 배상금을 마련하기 위해 의회를 재소집한다. 의회는 배상금을 갚기 위해서 세금이 절실한 찰스 1세의 약점을 교묘하게 이용하여, 오히려 국교회를 강제하는 정책을 폐지하고, 의회의 권한을 강화하는 법안을 제정하였으며, [[https://en.wikipedia.org/wiki/Triennial_Acts|삼년법안]]을 통과시켜 의회가 3년에 한 번씩은 꼭 열리도록 만들었다. 그러다 1641년 10월, 아일랜드에서 잉글랜드의 통치에 저항하는 반란이 일어나 수천명의 잉글랜드 주민을 살해했다. 국왕과 의회는 아일랜드 처벌에 이구동성으로 동의했다. 그러나 [[군령권|군사 지휘권]]을 둘러싸고 논쟁하다가, 간신히 타협한다. 그리고 의회는 왕의 실정 목록 200개 조항 및 의회 개혁안을 담은 [[https://en.wikipedia.org/wiki/Grand_Remonstrance|대간언]]을 통과시킨다. 1642년 1월, 격분한 찰스 1세는 칙령을 내림으로써 군대를 이끌고 반대파 의원 체포를 시도하였다. 하지만 의회도 그에 대비해 군대를 모았고, 국왕은 실패 후 북쪽으로 대피하였다. 의회는 도망자 왕을 비판하는 '''19개 제안'''을 공표하였다. 찰스 1세는 '''왕은 군림하되 통치하지 않는다'''는 제안을 끝내 거부하였다(6월). 급기야 의회파와 왕당파가 각각 군대를 동원함으로써, 1642년 여름, 잉글랜드 내전이 시작되었다. == 과정 == === 1차 내전 === 1642년 여름, [[찰스 1세]]는 외국인 [[용병]]들을 바탕으로 조카들[* 누나 [[엘리자베스 스튜어트]]의 아들들인 라인 공자 루퍼트와 모리스. 정작 엘리자베스의 큰아들인 [[카를 1세 루트비히|카를 루트비히]]는 의회파에 가담했다.]이 이끄는 강한 군대를 앞세우며 내전을 개시했다. 반면 의회파의 군대는 대부분 토호들이 각 지방에서 긁어모은 오합지졸들이었으며, 그나마 자기 고향 밖으로 출정하기를 꺼렸다. 하지만 왕당파 역시 그리 상태가 좋은 편은 아니라서, 양측은 '''[[엣지힐 전투]]'''에서 졸전을 벌이는 등 지리멸렬한 모습을 보였다. 1643년, 잉글랜드 의회와 스코틀랜드가 <엄숙동맹>을 체결하였다. 의회는 스코틀랜드에 장로교를 국교로 인정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다 1644년 '''[[마스턴 무어 전투]]'''에서 대활약하며 혜성처럼 등장한 [[올리버 크롬웰]]이 이듬해 '신모범군'[* New Model Army. 간혹 '신형군'이라고 한다. 이 신모범군 중 기병대는 Ironside로 불렸는데, 국내에서 흔히 '[[철기대]]'로 알려져 있다.]을 조직하면서 전세가 역전되었다. 신모범군은 엄격한 규율과 훈련, 그리고 높은 사기를 갖춘 군대였다. 특히 그들의 높은 사기는 종교적 열정의 힘으로써, 싸움터에서도 늘 《[[성경]]》을 들고 다니며 틈만 나면 [[찬송가]]를 불렀다. 또한 이들은 자신들의 적인 왕당파 군대가 곧 [[사탄]]의 군대이며, 자신들은 "곧 이루어질 것이 분명한" 재림 예수의 [[천년왕국]]을 이룩하기 위해 싸우고 있다고 믿었다. 이들이 연거푸 승리하자 크롬웰은 의회에서 점차 큰 목소리를 낼 수 있게 되었고, 그가 이끄는 급진파가 온건파를 누르고 의회의 주도권을 쥐게 되었다. 결국 '''[[네이즈비 전투]]'''에서 참패한 찰스 1세는 대세가 기울자 스코틀랜드로 도망쳐 투항했으나, 찰스 1세를 싫어하던 스코틀랜드는 400,000 파운드를 받고, 크롬웰에게 찰스 1세를 인계해버린 후 잉글랜드에서 철수해버렸다. === 2차 내전 === 의회 측에 의하여 감금된 찰스 1세는 의회파의 손아귀 내에서 외부와 끈질기게 연락하며 기회를 엿보았다. 마침내 의회파의 구금에서 탈출한 후 스코틀랜드와 동맹을 맺고 군대를 재조직하였다. 한편 의회 내부에서 급진 개혁을 추구하는 수평파와 이를 저지하려는 크롬웰의 독립파가 충돌하였다. 이 기회를 틈타 왕당파가 2차 내전을 일으켰다. 하지만 크롬웰의 신형군이 '''[[프레스턴 전투]]'''에서 스코틀랜드군을 격파하면서 왕당파는 1년 만에 또다시 패배 진압당했고, 찰스 1세는 재차 포로로 구금되었다. 크롬웰은 더 이상 국왕을 살려 둘 수 없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의회에 찰스 1세를 처형하라고 건의했으나, 의회 내 온건파는 처형에 주저하며 크롬웰의 제안을 거부했다. 그러자 분노한 크롬웰은 1648년 12월, 군대를 동원해 의회를 기습하여 찰스 1세의 처형에 반대하는 '''200여 명의''' 온건파 의원들을 축출하여 가두어 버리고, 50여 명 남짓의 크롬웰 지지자들로만 의회를 편성했다. 이를 '''잔부 의회'''라고 한다. 마침내 왕을 재판할 최고법원을 열었다. 1649년, 찰스 1세는 반역죄로 사형 선고 후 처형되었다. 이어 1649년 1월 30일, 군주정이 폐지되고 공화정이 수립되었다.[* 찰스 1세가 처형된 1649년부터 [[왕정복고]]가 이루어진 1660년까지를 가리켜 [[공위 시대]]라고 한다.] === 3차 내전 === [[찰스 1세]]가 처형되자, [[찰스 2세]]는 [[프랑스 왕국]]의 [[루이 14세]]에게 망명했다. 그 사이 잉글랜드의 왕당파들은 [[찰스 2세]]의 복위를 위하여 항전을 계속했으나, 의회파에 격파당하고 말았다. 이때 이른바 [[335년 전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왕당파 세력의 함대가 콘월의 실리 제도에 자리잡자, 잉글랜드와 협력 관계였던 네덜란드는 이 왕당파 해군에게 1651년 3월 선전포고를 단행했다. 교전 자체는 없었고, 약 2개월 후 왕당파 함대가 스스로 항복해서 전투는 그대로 끝나.....긴 했는데 이 과정에서 문서로 남은 종전 선언이나 항복 의식을 하지 않아서 형식상으론 계속 전쟁이 지속된 것이다. 결국 [[1986년]](!)이 되어서야 실리 제도의 자치 의회 의장과 네덜란드 측이 정식으로 종전하는 조약을 맺었다. 이런 식으로 [[전쟁/외교문서상 하자로 연장된 전쟁|조약을 잘못해서 형식상 전쟁이 지속된 사례]]가 제법 있다. 한편 스코틀랜드에서 찰스 1세에 반기를 들었던 언약파 정부는 올리버 크롬웰이 장악한 잉글랜드 의회파 세력이 너무 커지는 것을 질시했으며, 결국 [[찰스 2세]]를 국왕으로 추대하고 잉글랜드 의회의 뒷통수를 치려고 했다. 이에 따라 크롬웰이 지도하는 잉글랜드 의회와 스코틀랜드 언약파 사이에서 전쟁이 치러졌는데 크롬웰은 '''[[던바 전투]]''' 및 '''[[우스터 전투]]'''에서 스코틀랜드군을 대파했고 스코틀랜드는 크롬웰에 정복당했으며, 찰스 2세는 다시 프랑스로 망명했다. == 결과 == 의회파의 승리로 왕정이 무너지고 공화정, 즉 '''[[잉글랜드 연방]]'''이 들어서게 되었다. 1653년 크롬웰은 의회를 해산하고 스스로 [[호국경|호국경(Lord Protector)]]에 취임하였다. [[올리버 크롬웰|크롬웰]]은 잉글랜드 상업을 보호하기 위해 '''<항해법>'''을 만들었다. 이는 잉글랜드의 배나 물건을 생산한 나라의 배로만 무역을 할 수 있게 만든 법으로, 상공업자들의 큰 지지를 이끌어내고 잉글랜드의 해운업과 조선업을 크게 발전시켜 같은 분야의 경쟁 상대이던 [[네덜란드]]에 큰 타격을 가했다. 그러나 영국 민중은 크롬웰이 지나치게 [[청교도]] 정신을 강요하는 것을 싫어했다. 예를 들면, [[연극]] 같은 문화생활이나 [[축구]] 같은 스포츠 경기도 금지했고, [[12월 25일]]에 [[크리스마스]]를 기념하는 것도 금지했다. 현재까지도 '[[영국 음식]]은 [[영국 요리/악명/원인|맛이 없다.'는 평을 받는 원인]] 중 하나로, 이 당시 청교도식 [[금욕주의]]를 지나치게 강조해 [[음식]]에 [[맛]]을 내기 위해 노력하는 것까지 금기시한 역사를 들기도 한다. 1658년 크롬웰이 사망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공화정은 붕괴되었다. 1660년 의회 선거에서 승리한 왕당파는 [[찰스 2세]]를 옹립하여 [[왕정복고]]를 달성한다. [[영국 국교회]]의 지위도 덩달아서 회복한다. 그러나 찰스 2세의 동생 [[제임스 2세]]가 의회와 싸운 결과 [[명예혁명]]이 일어나 영국은 [[입헌군주제]] 국가가 된다. == 참고 자료 == * 네이버캐스트 - 전쟁사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4930&cid=59016&categoryId=59023|왕정에서 민주주의로의 이행]]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4935&cid=59016&categoryId=59023|제임스 1세, 잉글랜드의 왕이 되다]]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4932&cid=59016&categoryId=59023|찰스 1세의 전횡과 장기 의회]]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4937&cid=59016&categoryId=59023|1차 영국 내전, 왕당파의 우위]]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4942&cid=59016&categoryId=59023|1차 영국 내전, 의회파의 승리]]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4938&cid=59016&categoryId=59023|2차 영국내전과 찰스 1세의 처형]]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4939&cid=59016&categoryId=59023|전쟁 이후의 변화]] * [[토크멘터리 전쟁사]] * [[https://www.youtube.com/watch?v=W1tGDqY0zMM|영국내전 I]] * [[https://www.youtube.com/watch?v=MEvm9Wef1Jk|영국내전 II]] *,[[https://www.youtube.com/watch?v=e8-HgvSjo9A|영국내전 III]] * [[https://www.youtube.com/watch?v=uC94_V-FRaY|영국내전 IV]] *[[http://charger07.egloos.com/4138954|영국 내전의 기원(이글루스)]] [[분류:잉글랜드 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