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前 정치인, rd1=임호(정치인))] [include(틀:KBS 공채 탤런트)] ||<-2>
'''{{{+1 임호}}}[br]Lim Ho'''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age/213/2014/03/10/20140102_1388643223_68843700_1_59_20140310135108.jpg|width=100%]]}}} || ||<|2> '''출생''' ||[[1970년]] [[1월 27일]][*음력 1969년 12월 20일생.]([age(1970-01-27)]세) || ||[[서울특별시]] [[성동구]][* 現 [[서울특별시]] [[강동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본관''' ||[[임(성씨)|부안 임씨]] (扶安 林氏) || || '''신체''' ||173cm, 70kg, [[A형#s-1]] || ||<|2> '''가족''' ||아버지 [[임충(작가)|임충]][* 2017년 10월 28일에 폐암으로 별세.] || ||배우자 윤정희^^(2010년 3월 6일 결혼 ~ 현재)^^[br]장녀 임선함^^(2011년 1월 16일생)^^[br]장남 임지범^^(2013년 1월 4일생)^^ [br]차남 임준서^^(2014년 6월 13일생)^^ || || '''학력''' ||서울천호초등학교 {{{-2 (졸업)}}}[br][[동신중학교(서울)|동신중학교]] {{{-2 (졸업)}}}[br][[배재고등학교]][* 고등학교 동기로 [[조트리오]]의 [[조규만]]이 있다. 고교 선배로 [[노주현]], [[천호진]], 고교 후배로 [[조인성]]이 있다.] {{{-2 (졸업)}}}[br][[중앙대학교 예술대학]] {{{-2 (연극영화학 / 학사)}}}[br][[중앙대학교/대학원|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 (공연영상학 / 석사과정 수료)}}} || || '''소속''' ||[[백석대학교]] {{{-1 (문화예술학부 부교수)}}} || || '''데뷔''' ||[[1993년]] KBS 15기 공채 탤런트 || || '''취미''' ||등산, 야구, 독서 || || '''특기''' ||승마 || || '''링크''' ||[[http://blog.naver.com/kafkalh|[[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4]]]] | [[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23638703|[[파일:싸이월드 로고.svg|width=80]]]] | [[https://www.instagram.com/limho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배우]]로, [[서울특별시]]에서 유명 사극 작가 [[임충(작가)|임충]]의 1남 1녀 중 둘째로 출생했다. 백석대학교에서 교수로 근무 중. == 활동 == 주로 [[한국 사극]]에 자주 출연한 배우로 대중들에게는 《[[대장금]]》의 중종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가, 2014년 들어서 《[[정도전(드라마)|정도전]]》의 [[정몽주(정도전)|정몽주]]로 더욱 유명해졌다. 1993년 KBS 공채 15기 탤런트로 데뷔했지만, 초기에는 별다른 역할을 맡지 못했다. 그러다가 SBS에서 제작된 《장희빈》에서 주연 숙종 역할을 맡으면서 처음으로 이름을 알리는데 성공했다. 다만, 그 뒤로 사극 외의 영역에서는 인상적인 히트작이 없다. 주로 히트한 작품이나 사람들의 인상이 남는 역할은 사극. 대표적으로 《[[대왕의 길]]》의 사도세자, 《[[허준(드라마)|허준]]》의 이정명, 《[[대장금]]》의 중종, 《[[대조영(드라마)|대조영]]》의 연남생, 《[[광개토태왕(드라마)|광개토대왕]]》의 모용보 역이다. 특히 중종 역할로 사람들의 뇌리에 가장 기억에 남아서 그 뒤로 왕 전문 배우라는 수식어가 붙었다.[* 사실 이전에 SBS [[장희빈]]의 숙종역을 딱 한번해봤을 뿐인데 중종의 워낙 임팩트가 크다보니 왕 전문 배우로 등극했다. 예능에 출연할때마다 전하라는 호칭을 계속 받을정도로 [[대장금]]의 임팩트가 컸다.] 덕분인지 아래의 정몽주 역 이후 2014년에 바로 《간서치열전》에서 광해 역을 맡아 또 왕으로 돌아왔다. 2014년에는 《[[정도전(드라마)|정도전]]》에서 [[정몽주(정도전)|정몽주]] 역을 맡았다. 역대 가장 잘 생긴 정몽주라는 평가를 받은 반면 정몽주의 비장함을 잘 살릴 수 있을 것인지 의문을 표하는 사람들이 많았으나, 34회에서 본격적으로 왕조를 지키기 위해 왕을 버리는, 또 다른 괴물의 모습을 잘 연기하여 그러한 의문이 기우였음을 보여주었다. 오히려 "이런 연기를 할 수 있는 배우에게 그간 '맛있구나.' 같은 대사하는 역만 시켰냐"고 아쉬움을 표한 사람들이 많았다. 부친은 사극 작가로 유명한 '''임충'''[* 80~90년대 스타 사극작가로 《장희빈》(1981년 MBC 이미숙 주연), 《사모곡》(87년 김혜수 주연), 《하늘아 하늘아》, 《장희빈》(95년 정선경 주연 - 81년작 리메이크) 《만강》(사모곡 리메이크),《일출봉》 등의 수많은 히트작이 있다.]으로 아버지와는 《[[장희빈(SBS)|장희빈]]》, 《만강》, 《[[대왕의 길]]》 에서 같이 호흡을 맞춘 바 있다. 다소 늦게 결혼한 편인데, 나이 41세 때인 2010년에 12세 띠동갑 연하 디자이너와 결혼하였다. 슬하에 딸 1명과 아들 2명을 두고 있다. MBC 별바라기를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2D&sid1=106&sid2=221&oid=312&aid=0000034432#Intent;end|진행했다]]. 연기 경력이 20년이 넘었는데도 불구하고 연기자로서 수상복이 없는 편이다. 연기력 좋은 편이고 필모그래피에 히트작도 제법 있는데도 불구하고.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스타]] [[라디오 스타(황금어장)/2014년 하반기#s-23|356회]] 방송분에 따르면 임호 자신은 수상내역이 없다는 사실에 매우 담담한 듯 보인다.[* 심지어 '이번엔 (정몽주 역으로) 받을 것 같다'는 [[이광기]]의 말에 '상을 안 받는 것에 익숙해서 못 받아도 상처를 받진 않을 것 같다'라 응수한다.] 심지어 드라마 '[[정도전(드라마)|정도전]]'에서 [[정몽주(정도전)|정몽주]] 역으로 열연했음에도 2014년 KBS 연기대상에서도 또 물을 먹었다. 그리고 드디어 2015 KBS 연기대상에서 '[[별이 되어 빛나리]]'로 일일극 우수연기상을 [[http://tvcast.naver.com/v/677040|수상했다.]] == 출연 작품 == === 드라마 === || '''연도''' || '''방송사''' || '''제목''' || '''배역''' || '''비고''' || ||<|2> 1993년 ||<|5>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연인(1993년 드라마)|연인]] || || || || [[백색미로]] || || [* 15회에 출연함.] || ||<|8> 1994년 || [[밥을 태우는 여자]] || 에로영화 배우[* 작중에선 배역과 다르게 옷을 갖춰 입는다.] || || || [[한명회(드라마)|한명회]] || [[월산대군]] || || || [[그대 있음에]] || || || [[KBS 1TV|[[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역사 앞에서]] || || ||<|2>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딸부잣집(드라마)|딸부잣집]] || 야타족 || 12화에 등장 || || [[내일은 사랑]] || || || ||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마지막 연인]] || || || ||<|4> [[SBS|[[파일:SBS 로고(1994-2000).svg|width=40]]]] || [[그대의 창]] || || || || 1995년 || [[장희빈(SBS)|장희빈]] || 숙종 || || ||<|2> 1996년 || [[사랑의 이름으로(드라마)|사랑의 이름으로]] || 최건호 || || || [[만강]] || 만강 || || ||<|5> 1997년 ||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울어라 까마귀|베스트극장 - 울어라 까마귀]] || 달식 ||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전설의 고향 - 귀녀 || 김영 || || ||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객사(MBC)|객사]] || ||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욕망의 바다]] || 정민우 || || ||<|4>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베스트극장]] - 사랑한다면 그녀처럼 || 기훈 || || || 1997년~2002년 || [[전원일기]] || 금동이 || || ||<|3> 1998년 || [[베스트극장]] - 전등사 || 윤중 || || || [[대왕의 길]] || 사도세자 ||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싱싱 손자병법]] || 조한조 || || ||<|3> 1999년 ||<|5>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베스트극장]] - 어디에도 사랑은 있다 || 원석 || || || [[허준(드라마)|허준]] || 이정명 || || || [[베스트극장]] - 너는 보면 나는 잠이 와 || 컴퓨터 프로그래머 우현 || || ||<|2> 2000년 || [[당신 때문에]] || 한영준 || || || [[베스트극장]] - 여의도 전선 이상 없다 || 김경우 || || ||<|9> 2001년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드라마시티]] - 자전거 도둑 || || ||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허니허니 || 하숙생 임호 || || ||<|4>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베스트극장]] - 소년은 울지 않는다 || || || || [[베스트극장]] - 사랑의 찬가 || 선생님 || || || [[베스트극장]] - 타인에게 말걸기 || || || || [[그 여자네 집(드라마)|그 여자네 집]] || 남혁 || ||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오픈드라마 남과 여]] 제28화 - 내가 버린 여자 || 대찬 || || ||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매일 그대와(드라마)|매일 그대와]] || 최동하 || ||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오픈드라마 남과 여]] 제33화 - 내가 택한 사랑 || 영석 || || ||<|3> 2002년 ||<|3>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언제나 두근두근 || 이준호[* 첫 회(2002년 4월 7일)부터 해당 드라마와 동시간(일 오전 8:50)에 방영된 MBC [[전원일기]]에 겹치기 출연을 하여 비난을 사기도 했다.] || || || [[태양인 이제마]] || 최문환 || || || [[여고 동창생]] || 이규원 || || ||<|3> 2003년 || [[KBS 1TV|[[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천년의 꿈 || 업동 || ||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연인(2003년 드라마)|연인]] || 강용제 || || ||<|2>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대장금]] || 중종 || || ||<|3> 2004년 || [[사랑을 할거야#MBC 주말드라마|사랑을 할거야]] || 학원강사 박수영 || || ||<|3>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혼자가 아니야]] || 기자 임호 || || || 4명의 웬수들 || 이종철 || || ||<|2> 2005년 || [[꽃보다 여자]] || 윤명원 || || || [[KBS 1TV|[[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width=40]]]] || [[바람꽃(드라마)|바람꽃]] || 최형주 || || ||<|2> 2006년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맨발의 사랑]] || 황진석 || || || [[KBS 1TV|[[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width=40]]]] || [[대조영(드라마)|대조영]] || [[연남생(대조영)|연남생]] || || || 2007년 || [[OCN|[[파일:OCN 로고(2001-2020).svg|width=40]]]] || 키드갱 || 태산파 2인자 조표기 || || ||<|4> 2008년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신 부부의 탄생 || 김봉수 || ||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우리 집에 왜 왔니#SBS에서 방영한 금요 드라마|우리 집에 왜 왔니]] || 김태평 ||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최강칠우]] || 소현세자 || ||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바람의 화원(드라마)|바람의 화원]] || 화산관 이명기 || || ||<|3> 2009년 || [[MBC|[[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선덕여왕(드라마)|선덕여왕]] || 진지왕 ||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결혼 못하는 남자(한국 드라마)|결혼 못하는 남자]] || 박광남 || || ||<|2>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천국의 아이들 || || || || 2010년 || [[여자를 몰라]] || 강성찬 || || ||<|2> 2011년 || [[KBS 1TV|[[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width=40]]]] || [[광개토태왕(드라마)|광개토태왕]] || 모용보 || || || [[TRENDY|[[파일:TrendE 로고.png|width=40]]]] || 피아니시모 || || || ||<|2> 2012년 || [[MBN|[[파일:MBN 로고.svg|width=40]]]] || [[수상한 가족]] || 강도상 || || ||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아이 러브 이태리]] || 금산 || || || 2013년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당신의 여자]] || 나진구 || || ||<|3> 2014년 || [[KBS 1TV|[[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정도전(드라마)|정도전]] || [[정몽주(정도전)|정몽주]] || || ||<|2>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드라마스페셜 - 간서치열전 || 광해군 || || || [[가족끼리 왜 이래]] || 판사 이상원 || || ||<|3> 2015년 ||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 || [[화정]] || [[최명길(조선)|최명길]] || || ||<|2>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별이 되어 빛나리]] || 서동필 || || || [[장사의 신 - 객주 2015]] || [[장사의 신 - 객주 2015/등장인물#민겸호|민겸호]] || || ||<|3> 2016년 ||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 || [[옥중화]] || 강선호 ||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페이지터너]] || 윤유슬의 담당의사 || || ||<|2>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 || [[불야성(드라마)|불야성]] || 강재현 || || ||<|2> 2017년 || [[훈장 오순남]] || 장지호 ||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꽃 피어라 달순아]] || 한태성 || || ||<|2> 2019년 ||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 || [[용왕님 보우하사]] || 조지환 || ||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해치(드라마)|해치]] || [[이광좌]] || || ||<|2> 2022년 || [[KBS 1TV|[[파일:KBS 1TV 로고.svg|width=40]]]] || [[태종 이방원(드라마)|태종 이방원]] || [[유정현(태종 이방원)|유정현]] ||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svg|width=40]]]] || [[태풍의 신부]] || 윤재하 || 특별출연 || || 예정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40]]]] || 반짝반짝 빛나는 오!인생 || || || === 공연 === * 2009년 도박중독 예방홍보 연극 《돌아오는 길》 * 2012년 뮤지컬 《부활 더 골든 데이즈》 ... 석주명 역 * 2013년 연극 《선녀씨 이야기》 ... 종우 역 * 2014년 연극 《민들레 바람되어》 ... 안중기 역 * 2019년 뮤지컬 《렌드미어테너》 ... 연출 * 2022년 악극 《불효자는 웁니다》... 박진호 역 * 2022년 연극 《러브레터》... 앤디 역 * 2023년 뮤지컬 《[[다시, 동물원]]》... 창기 역 === 영화 === * 2000년 《공포 택시》 ... 병수 역 * 2001년 《[[엽기적인 그녀]]》 ... (우정출연) * 2004년 《돈텔파파》 ... 보리수 역 * 2004년 '''《[[클레멘타인(영화)|클레멘타인]]》''' ... 오지훈 역 * 2006년 《어느날 갑자기 첫 번째 이야기 - 2월 29일》 ... 박 형사 역 * 2010년 《[[비밀애]]》 ... 헤어 디자이너 역(특별출연) * 2010년 《지구대표 롤링스타즈》 ... 엘비스 목소리 역 * 2022년 《[[하로동선]]》 ... 여당 의원 역 === 예능 === * 2013년 MBC 《스타 다이빙 쇼 스플래시》 * 2014년 MBC 《[[별바라기]]》 * 2015년 채널A 《충격실화극 싸인》[* 진행. [[류승수]]의 후임으로 들어왔다.] * 2016년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 2016년 채널A 《[[나는 몸신이다]]》 * 2022년~ tvN 《[[회장님네 사람들]]》 === 교양 === * 2004년 EBS 《[[최고의 요리비결]]》 * 2014년 KBS1 《엄마의 탄생》[* 9월 3일 방송을 마지막으로 하차했다.] === 나레이션 === * 특선 다큐멘터리 '한국의 전통주 2' 청주, 부활을 꿈꾸다 * 부산MBC 광복 특집 다큐멘터리 '백산상회' - 100년의 자취를 찾아서 == 수상 == || {{{#white '''수상 연도'''}}} || {{{#white '''시상식'''}}} || {{{#white '''부문'''}}} || {{{#white '''작품'''}}} || || 2015년 || [[KBS 연기대상]] || 일일극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 [[별이 되어 빛나리]] || == 기타 == * 2016년 11월 13일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복면가왕]]에 [[잘 찍어! 합격기원 수험생]]이라는 이름으로 참가했으며 [[내가 만점이라니 시험지]]와 송골매의 '어쩌다 마주친 그대'를 부른 뒤 박정운의 '오늘 같은 밤이면'을 부르면서 정체를 밝혔다. 여기서 [[조장혁]]과 친분이 있다고 본인이 언급했다. * 2015년부터 천안의 [[백석대학교]]에서 문화예술학부 소속 연기예술전공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배우 겸 가수 [[신성우]]도 뮤지컬 전공 교수로 재직중이다.] 이 사실은 대중들에게 의외로 잘 알려지지 않았다. * [[스타크래프트]] 팬이다. 게임 팬들에게 나름대로 유명한 편인데, 스타리그 초창기 신림동 녹두거리에 있었던 POS 팀의 후원자였기 때문. POS가 어려웠던 시절부터 물심양면으로 후원을 아끼지 않았었다. 이 때문에 [[MBC GAME HERO]]의 명예감독으로 임명되었다. 경기 중계 중에 직접 일어나 인사를 한 적도 있다. * 2021년 9월 [[런웨이2]] 제9회 '사극연기 배웠[[이미주|주]]' 편에 사극 연기 선생님으로 등장했다. [각주][[분류:한국 남배우]][[분류:한국의 드라마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예체능 교수]][[분류:1970년 출생]][[분류:1993년 데뷔]][[분류:부안 임씨]][[분류:강동구 출신 인물]][[분류:동신중학교(서울) 출신]][[분류:배재고등학교 출신]][[분류:중앙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