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BS의 성우)] ---- ||<-2> '''KBS 성우극회 28기 성우[br]{{{+1 임채헌}}}[br]林采獻 | Lim Chae-he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임채헌2020.ver.jpg|width=100%]]}}} || ||<|2> '''출생''' ||[[1973년]] [[10월 16일]] ([age(1973-10-16)]세) || ||[[전라북도]] [[남원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본관''' ||[[나주 임씨]][* 정자공파 31세 채(采) 항렬. 아버지 임준택(林俊澤)은 30세 택(澤) 항렬.] || || '''신체''' ||173cm, 85kg|[[A형]] || || '''가족''' ||아내 [[채의진]][* 실은 아내는 무종교다.], 아들 임승민[* 2009년 2월 22일 출생], 딸 임승희[* 2012년 출생] || || '''학력''' ||[[동암고등학교]] {{{-2 (졸업)}}}[br][[전북대학교]] {{{-2 (금속공학과 / 학사)}}} || || '''종교''' ||[[개신교]] || || '''소속''' ||[[KBS 성우극회]] 28기 ([[프리랜서]]) || || '''활동 시기''' ||전속: [[2000년]] ~ [[2002년]][br]프리랜서: [[2003년]] ~ 현재 || || '''링크''' ||[[https://www.facebook.com/imdoryoun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kbsvoice.net/651341045150751.jpg|width=100%]]}}} || || '''{{{#ffffff 젊은 시절}}}''' || [[대한민국]]의 [[성우]]. 2000년 [[KBS 성우극회]] 28기로 입사했으며 2003년부터 프리랜서로 활동 중이다. == 연기 == 힘차고 씩씩한 톤과 진중하고 부드러우며 맑은 미성을 가지고 있다. 주로 남성 청년~중년, 노인의 목소리를 여러가지 톤의 목소리를 연기할 수 있는 실력 있는 성우지만 초기에는 애니 출연 비중이 적었다. 그러나 [[이나즈마 일레븐]]의 경악할 만한 중복 캐스팅으로 많은 캐릭터를 연기했으며, [[애니맥스]]에서 방영했던 남성 캐릭터 비율이 적은 [[케이온!/애니메이션|케이온!]]에서도 여러 남자 단역들을 연기했다. 그 덕인지 [[마이 리틀 포니]]와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에 출연하는 등 승승장구하고 있다.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에서 연기했던 카락스의 경우 원판과 달리 굉장히 부드러운, 흔히 생각하는 프로토스와는 거리가 먼 목소리로 연기했다. 이유를 들어보니 처음 공허의 유산을 녹음할 때 집사 같은 분위기로 연기해주길 원해서 그렇게 했다고 한다. 그리고 공허의 유산에 등장하는 프로토스 유닛 [[해적선(스타크래프트 시리즈)|해적선]]의 목소리는 카락스의 진중하고 부드러운 톤이 아닌 굉장히 호전적이고 날카로운 목소리다. 다만,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리마스터판]]에서는 카락스와 비슷한 톤으로 연기했다. == 활동 == 애니메이션보다는 외화 더빙에서 진가를 확인할 수 있는데, 지금은 종영된 미국 [[CBS(미국 방송)|CBS]] 드라마 [[넘버스]]([[NUMB3RS]])에서 엡스 집안 형제 중 천재수학자인 동생 찰리 엡스를 연기, 스마트하고 신뢰감 있는 연기를 들려 줬다. [[http://unplumbed.blog.me/40059869621|링크]] 이후 미국 [[NBC(미국 방송)|NBC]] 드라마 [[히어로즈]]에서 [[히로 나카무라|히로]] 역을 맡은 것이 미드팬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었는데, 실제 배우인 마시 오카에 비해 (들어본 사람이라면 아시겠지만 마시 오카의 울림이 적은 다소 아동틱한 목소리에 비해) 성우 목소리가 너무 점잖고 좋은 것이 아니냐는 평가를 듣기도 했다. [[http://unplumbed.blog.me/40056859781|링크]] BLCD에도 초창기부터 다양하게 출연해 왔다. 주로 공포지션이지만 근래에는 인상 깊은 조연으로 많이 출연하고 있다. 출연작품의 프리토크를 들어보면 장르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느껴진다. 2016년에 [[MBC]] 외화로 방영된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에 출연하면서 동기중 유일하게 지상파 3사 외화 모두 출연하는 [[그랜드슬램]]을 달성했다. 이 기록은 아내인 채의진 성우도 달성 못한 기록이다.[* 다만, 해당 외화의 경우 자체 더빙이 아닌 디즈니 측에서 더빙한 판본을 그대로 방영하였다.] == [[임채헌/출연작|출연작]]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임채헌/출연작)] == 여담 == * 일본 성우 중에는 [[스와베 준이치]]와 겹치는 배역이 많다. * [[홍시호의 홍SHOW]]에서 밝히기를 본래는 성우와는 전혀 연이 없었지만 같은 동아리(서예부)의 여자 선배가 추천해준 지역 CM 녹음 아르바이트에 참가했고, 1997년에 있었던 MBC 성우공채(14기)에 응해서 무려 최종면접까지 갔지만 아쉽게 떨어졌던 일[* 만약 합격했다면 아내인 채의진의 데뷔 동기이자 동사 선배가 될수 있었다. (채의진은 1997년 [[CJ ENM 성우극회]] 3기로 데뷔, 1999년 [[MBC 성우극회]] 15기로 이적)]이 계기가 되어서 '내가 그쪽으로 자질이 있나보다'라고 생각되어 대학 졸업 후 KBS 성우아카데미에 들어가서 공부를 하게 되었다고 한 것이다. * 아내는 동갑이지만 3년 먼저 데뷔한 [[채의진]]이다. 이렇게 부부 사이로 이어진 것은 절친인 [[위훈]] 덕분인데, 서로 공석에서 만나서 이야기하다 셋이 동갑내기라서 그냥 말놓고 친하게 지내자고 하면서 우정을 쌓았다. 한편 채의진이 힘든 일을 겪자 그녀를 도와줬고, 이후 둘의 관계가 절실해지면서 친구가 아닌 연인 관계로 발전하였다. 몇 년간 비밀 연애 끝에 결혼을 하였는데, 500명 넘는 성우들이 모여서 둘의 앞날을 축복해주었다.[[https://derlangrisser.tistory.com/m/1841|#]] == 관련 문서 == * [[성우/한국]] [[분류:한국 남성 성우]][[분류:1973년 출생]][[분류:2000년 데뷔]][[분류:나주 임씨]][[분류:남원시 출신 인물]][[분류:전북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 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