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검찰총장)] ||
<:>{{{#fff '''역임한 직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장)] [include(틀:역대 법무연수원장)] }}}|| [[파일:임채진 前 검찰총장.jpg]] 林采珍 [[1952년]] [[4월 12일]] ~ ([age(1952-04-12)]세)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법조인]]이다. 본관은 [[나주 임씨|나주]](羅州)[* 정자공파 31세 '''채(采)''' 동(東) 근(根) 항렬.]. == 생애 == 1952년 4월 12일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지족리[* [[나주 임씨]] 집성촌이다.]에서 아버지 임연택(林連澤, 1929. 11. 15 ~ )과 어머니 [[진주 정씨]] 정봉순(鄭奉順, 1932. 10. 3 ~ )[* 정홍준(鄭洪俊)의 딸이다.] 사이에서 2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71년 [[부산고등학교]](24회), 1975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서울대학교 졸업 후 1977년 제19회 [[사법시험]]에 합격하고 1979년 [[사법연수원]]을 제9기로 수료한 뒤 [[군법무관]]으로 임관하였다. 1979년 [[동해안경비사령부]] 보통군법회의 검찰관, 1981년 [[제1군수지원사령부]] [[법무참모]] 등으로 근무하다 1982년 전역했으며, 이후 [[검사(법조인)|검사]]로 근무하였다. 1982년 [[서울동부지방검찰청|서울지방검찰청 동부지청]] 검사, 1985년 [[제주지방검찰청]] 검사, 1986년 [[서울남부지방검찰청|서울지방검찰청 남부지청]] 검사, 1988년 [[대한민국 법무부|법무부]] 검찰제4과 검사, 1989년 법무부 검찰제3과 검사, 1990년 법무부 [[검찰국]] 검사 겸 고등검찰관, 1991년 [[서울지방검찰청]] 검사 등으로 근무했다. 1991년 8월 2일부터 1992년 8월 5일까지 [[https://www.spo.go.kr/site/sokcho/ex/general/General_List.do|제21대]] [[춘천지방검찰청 속초지청]]장, 1992년 [[대검찰청]] 검찰연구관, 1993년 법무부 검찰국 검사 겸 대검찰청사 건설본부장, 1995년 대검찰청 범죄정보관리과장, 1996년 법무부 검찰제2과장, 1997년 법무부 검찰제1과장, 1998년 서울지방검찰청 형사제6부장검사 및 형사제4부장검사 등을 지냈다. 1999년 [[대전지방검찰청]] 차장검사, 2000년 [[수원지방검찰청]] 제2차장검사, 2001년 서울지방검찰청 제2차장검사, 2002년 2월 18일부터 2003년 3월 12일까지 [[https://www.spo.go.kr/site/northseoul/ex/general/General_List.do|제27대]] [[서울북부지방검찰청|서울지방검찰청 북부지청]]장, 2003년 3월 13일부터 2004년 5월 31일까지 [[https://www.spo.go.kr/site/chuncheon/ex/general/General_List.do|제48대]] [[춘천지방검찰청]] 검사장, 2004년 [[대한민국 법무부|법무부]] [[검찰국]]장, 2006년 2월 6일부터 2007년 3월 4일까지 [[https://www.spo.go.kr/site/seoul/ex/general/General_List.do|제48대]]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장, 2007년 3월 5일부터 2007년 11월 23일까지 [[https://www.ioj.go.kr/homepage/institute/DirectorAction.do?method=popup&dictSeqNo=31&_TOK=1701440648532|제31대]] [[법무연수원]]장 등을 지냈다. 2007년 11월 24일 제36대 [[검찰총장]]에 임명되었고, [[이명박 정부]]가 출범하고 나서도 유임되었다. 노무현 전 대통령 구속 수사 여부에 대해 고심하던 중 [[노무현 전 대통령 사망 사건|노무현 전 대통령이 서거]]하자 이에 책임을 지고 2009년 6월 5일 검찰총장직을 사퇴하였다. 이후 [[서울지방변호사회]] 소속으로 변호사를 개업해 활동하고 있다. == 여담 == * 2022년 4월 26일 [[김오수]]에 대해 쓴소리를 했다고 한다.[[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20430/113161764/1|#]] == 가족관계 == 아내 김세경(金世卿, 1955. 1. 13 ~ )[* [[김해 김씨]] 김태홍(金泰弘)의 딸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출신이다.] 여사와 1남 1녀가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나주 임씨]][[분류:남해군 출신 인물]][[분류:1952년 출생]][[분류:검찰총장]][[분류:검사장]][[분류:부산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이명박 정부/인사]][[분류:참여정부/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