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재철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br][[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2.svg|width=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2002년 한국시리즈|{{{#ffffff 2002}}}]]''' || ---- || [[파일:PLAYERS_CHOICE_AWARDS_LOGO_1.png|width=65]]'''2013 [[플레이어스 초이스 어워드#s-2.1]] 모범선수상''' || ---- [include(틀:두산 베어스 주장)] ---- ||<-5>
'''{{{#000000 [[롯데 자이언츠|'''{{{#000000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7번}}}''' || || [[차명주]][br](1998) || {{{+1 →}}} || '''{{{#fff 임재철[br](1999~2002.4.28.)}}}''' || {{{+1 →}}} || [[김태균(1971)|김태균]][br](2002.4.29.~2002) || ||<-5> '''{{{#fff [[삼성 라이온즈|'''{{{#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2번}}}''' || || [[김동수(야구)|김동수]][br](2000~2001) || {{{+1 →}}} || '''{{{#0047ab 임재철[br](2002.4.29.~2002)}}}''' || {{{+1 →}}} || 안상국[br](2003) || ||<-5> '''{{{#fff [[삼성 라이온즈|'''{{{#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24번}}}''' || || [[장성국]][br](1997~2002) || {{{+1 →}}} || '''{{{#0047ab 임재철[br](2003~2003.4.24.)}}}''' || {{{+1 →}}} || [[라이언 글린|라이언]][br](2003.7.10.~2003)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32번}}}''' || || [[고지행]][br](2003~2003.4.24.) || {{{+1 →}}} || '''{{{#fff 임재철[br](2003.4.25.~2003)}}}''' || {{{+1 →}}} || [[신경현]][br](2005~2013)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10번}}}''' || || [[조현수(외야수)|조현수]][br](2003) || {{{+1 →}}} || '''{{{#fff 임재철[br](2004~2004.6.5.)}}}''' || {{{+1 →}}} || [[임수민(야구인)|임수민]][br](2005~2006)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17번}}}''' || || [[차명주]][br](1999~2004.6.5.) || {{{+1 →}}} || '''{{{#fff 임재철[br](2004.6.6.~2006)}}}''' || {{{+1 →}}} || [[김용의]][br](2008~2008.6.2.) || || [[김용의]][br](2008~2008.6.2.) || {{{+1 →}}} || '''{{{#fff 임재철[br](2009~2013)}}}''' || {{{+1 →}}} || [[오재원]][br](2014~2015) || ||<-5> '''{{{#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37번}}}''' || || [[이윤학]][br](2013) || {{{+1 →}}} || '''{{{#fff 임재철[br](2014)}}}''' || {{{+1 →}}} || [[루카스 하렐|루카스]][br](2015)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27번}}}''' || || [[용덕한]][br](2012.6.17.~2014) || {{{+1 →}}} || '''{{{#fff 임재철[br](2015)}}}''' || {{{+1 →}}} || [[박헌도]][br](2016~2018)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산 임재철.jpg|width=100%]]}}} || ||<-2> '''{{{+2 임재철}}}[br]林載哲 | Lim Jaecheol''' || ||<|2> '''출생''' ||[[1976년]] [[4월 8일]] ([age(1976-04-08)]세) || ||[[충청남도]] [[천안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천안남산초 - [[천안북중학교|천안북중]] -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 - [[경성대학교 야구부|경성대]][* 1995학번] || || '''포지션''' ||[[외야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99년/신인드래프트#s-3.2|1999년 2차 3라운드]] (전체 17번, [[롯데 자이언츠|롯데]]) || || '''소속팀''' ||[[롯데 자이언츠]] (1999~2002) [br][[삼성 라이온즈]] (2002~2003) [br][[한화 이글스]] (2003~2004) [br]'''[[두산 베어스]] (2004~2013)''' [br][[LG 트윈스]] (2014) [br][[롯데 자이언츠]] (2015) || || '''프런트''' ||용인 바른 리틀야구단 단장 (2020~)|| || '''병역''' ||[[공익근무요원]] (2007~2008) || || '''소속사''' ||엔투셀 스포츠 || || '''등장곡''' ||AC/DC - Back in Black || || '''응원가''' ||두산 시절: [[김경진]]- 너의 사랑, 나의 사랑[* 오~ 오오오오~ 나의 사랑 너의 사랑 임재철! 오~ 오오오오~ 불꽃사랑 임채철!(×2)], 찬송가 '내겐 강 같은 평화'[* 두산 임재철 안타~ 두산 임재철 안타~ 두산 임재철 안타날려라 날려버려~ (×2)][* ΝС 다이노스에서 뛰었던 [[조평호]]의 응원가와 원곡이 같다. 이 노래는 꽤 호평받았지만 정작 조평호는...] LG 시절: 트랜스픽션 'Get show'[* 임재철! LG의 임재철~ 강철 어깨 임재철~ 오오오오~ LG 강철어깨~ (×2) 임재철~][* 前 [[한화 이글스]]의 [[전현태]], [[이성열(1984)|이성열]] 응원가와 같다.] 롯데 시절: John Denver '[[Take Me Home, Country Roads]]'[* 롯데의~ 임재철~ 롯데의~ 임재철~ 안타 안타~ 오오오 오오~ 롯데의~ 임재철(전체 2번 반복)][* 추후 [[오현근]]이 이 응원가를 쓴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임재철 롯데 자이언츠.jpg|width=100%]]}}} || 前 [[롯데 자이언츠]], [[삼성 라이온즈]], [[한화 이글스]], [[두산 베어스]], [[LG 트윈스]]의 외야수. 그리고 前 [[갤럭시아SM]]의 야구사업국 국장. 現 좋은스포츠 사업본부장. 별명은 타신(타격의 신), 수달(수비의 달인),[* 수달같이 생겨서 수달인 줄 아는 사람들도 많다...] ~~임고철~~, ~~임헬멧~~ 등이 있다. 타신은 [[김현수(1988)|김현수]]나 [[홍성흔]] 등이 타격을 잘 치는 것을 보고 그들에게 타신이라고 한 것이 임재철의 별명이 되었다. 수달이라는 별명은 팬들이 붙여준 것. 인터뷰에서도 타신이라는 별명은 부담스럽고, 별명으로는 수달을 더 선호한다고 밝혔다. 우승 경험은 2002년(삼성), 준우승 경험은 1999년(롯데), 2005년, 2013년(이상 두산). 전성기와 선수생활의 상당 기간을 [[두산 베어스]]에서 보냈기 때문인지 두산맨이라는 이미지가 꽤 강한 편인데, 의외로 [[저니맨]]이기도 하다. 2014년 [[한국프로야구 2차 드래프트]]를 통해 LG로 이적하면서 총 5개의 구단에서 선수생활을 하게 되었다. 공교롭게도 데뷔 후부터 [[부산광역시]] 연고의 롯데 자이언츠에서 데뷔하다가, [[대구광역시|대구]] 연고의 [[삼성 라이온즈]], [[대전광역시|대전]] 연고의 [[한화 이글스]], [[서울특별시|서울]] 연고의 [[두산 베어스]]와 [[LG 트윈스]]로 옮기면서 [[경부선]]을 거슬러 올라가며 선수 생활을 하다가 2015년 [[롯데 자이언츠]]에 복귀하면서 다시 경부선을 타고 친정팀으로 귀향가게 되었다. 2015년까지 현역 선수 중 유일하게 '''롯데 자이언츠의 마지막 한국시리즈 경기에 출전했던 선수이다.''' 롯데의 마지막 한국시리즈 진출이 1999년이었고 그 때 임재철이 신인이었다. [[경기는 삼성쪽으로 기울고]]에 링크된 99년 플레이오프 7차전 영상에서 그의 신인 시절 모습 볼 수 있다.... 그러나 2015년 시즌 이후 은퇴하면서 롯데의 마지막 한국시리즈 무대를 밟은 선수들은 모두 사라지게 되었다. == [[임재철/선수 경력|선수 경력]] == ||
'''임재철의 선수 경력'''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통합 선수 경력: [[임재철/선수 경력]]''' || ||<-3> [[KBO 리그|[[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10]]]] || || [[임재철/선수 경력#s-1|'''{{{#000 롯데 1기}}}''']] || [[임재철/선수 경력#s-2|'''{{{#fff 삼성 시절}}}''']] || [[임재철/선수 경력#s-3|'''{{{#white 한화 시절}}}''']]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2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51b54 69%, #131230 77%)" [[임재철/선수 경력#s-4.1|'''{{{#white 2004~2011년}}}''']]}}} || [[임재철/선수 경력#s-4.2|'''{{{#fff 2012년}}}''']] || || [[임재철/선수 경력#s-4.3|'''{{{#fff 2013년}}}''']] || [[임재철/선수 경력#s-5.1|'''{{{#fff 2014년}}}''']] || [[임재철/선수 경력#s-6.1|'''{{{#000 2015년}}}''']] || }}}}}}}}} || == 플레이 스타일 == 수달이라는 별명이 붙었을 정도로 외야 수비는 KBO 전체에서도 최상위권에 속한다. 2013년 LG와의 플레이오프 3차전에서 보여준 결정적인 보살 장면에서 볼 수 있듯이 강하면서도 정확한 송구 능력을 가지고 있고, 무엇보다도 뛰어난 것은 바로 타구판단 능력이다. 빠른 발에 다이빙캐치를 자유자재로 해내는 [[정수빈]]과 비견될 정도의 수비력을 가졌었는데, 임재철은 타격과 거의 동시에 반응하여 낙구 지점으로 달려가서 안정감 있는 수비를 해내기 때문. 나이가 든 후로는 예전처럼 운동능력을 활용한 수비가 어려워졌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코너 외야수로는 최고 수준의 수비력을 자랑했다. 실제로 21세기에 활약한 외야수 중 임재철보다 확실하게 송구능력이 좋다고 할 수 있는 외야수는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는 수준이다. 주루도 좋아 10도루 이상은 충분히 가능한 수준이었고, 나이가 들고 나서도 대주자로 자주 나왔다. 공격력도 나쁜 편이 아니다. 오히려 백업 외야수로 쓰기에는 사치다 싶을 정도로 좋은 편이다. 두산 이적 후 매시즌 2할 후반대의 타율을 기록할 정도로 컨택 능력이 준수하고 출루율로 대변되는 선구안은 나이가 들수록 좋아졌다. 거포는 아니지만 나름 갭 파워도 갖추고 있다. 과거에는 좌투수 킬러 이미지도 있어서 상대 투수에 따라 플래툰 선발요원이나 대타로도 많이 활용되었다. 화려하지는 않지만 매우 건실한 백업 외야수로 뒤에서 묵묵히 자기 역할을 해주는 선수. 또한 같은 팀 선수들을 잘 챙기고 리더십이 있어 후배들을 이끄는 역할도 맡는다. == 응원가 == [[두산 베어스]] 시절 응원가는 한 때 [[비틀즈]]의 [[Let It Be]]를 개사하여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2009년 시즌부터 개신교의 복음 성가 [[조평호|'내게 강 같은 평화'를 개사]]하여 "두산 임~ 재~ 철~ 안타!"로 시작되는 가사로 사용되는데, 이 응원가는 다른 타자들의 경우처럼 [[두산 베어스]]의 응원단장이 만든 것이 아니라 그의 딸이 그를 위해 직접 만들었다고 한다. 하지만 오래 못 쓰였다. [[두산 베어스]]의 팬페이지인 '곰들의 대화'에서 왜 찬송가를 쓰냐며 항의했기 때문.[* 찬송가도 사실 잘만 찾고 잘만 개사하면 신나게 할 수 있다.] 그 후 타석에 서면 "나의 사랑 너의 사랑 임재~철! 불꽃 사랑 임재~철!"이라는 구호를 외쳤었다. 때문에 임재철은 응원가가 딱히 없으나 현재는 오히려 그것이 임재철의 아이덴티티가 되었다. 현역 마지막 해였던 [[롯데 자이언츠]] 2기 시절에는 [[존 덴버]]의 [[Take Me Home, Country Roads]]를 개사한 응원가를 사용하였다. == 스포츠 [[에이전트]]의 길로 == 지도자 연수도 생각했던 그는 매니지먼트 업체인 [[갤럭시아SM]]으로부터 매니지먼트 제안을 받았고, 그에게 경기장 밖에서 야구를 보는 눈을 키우는 게 좋은 경험이라고 언급한 [[김선우(1977)|김선우]]와 [[진갑용]]의 권유에 따라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380&aid=0000000821|갤럭시아SM에 입사하게 됐다]]. 직책은 야구 사업국 국장. 이후 소식이 없다가 2016년 9월 6일 잠실에서 열린 LG-넥센 경기에서 갤럭시아 SM 소속의 [[손연재]]와 같은 테이블석에 앉으며 오랜만에 얼굴을 비췄고 이후 2017 KBO 신인왕 시상식때 [[이정후]]의 어머니 옆에 서있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2018년 10월 부터 좋은스포츠 사업본부장을 맡는다. [[http://m.ilyo.co.kr/?ac=article_view&toto_id=&entry_id=320238|#]] 에이전트 일 말고도 야구 레슨장 일도 겸업하고 있다. == 연도별 성적 == ||<-15> {{{#ffffff 역대기록}}} || || {{{#000000,#e5e5e5 연도}}} || {{{#000000,#e5e5e5 소속팀}}} || {{{#000000,#e5e5e5 경기수}}} || {{{#000000,#e5e5e5 타수}}} || {{{#000000,#e5e5e5 타율}}} || {{{#000000,#e5e5e5 안타}}} || {{{#000000,#e5e5e5 2루타}}} || {{{#000000,#e5e5e5 3루타}}} || {{{#000000,#e5e5e5 홈런}}} || {{{#000000,#e5e5e5 타점}}} || {{{#000000,#e5e5e5 득점}}} || {{{#000000,#e5e5e5 도루}}} ||{{{#000000,#e5e5e5 4사구}}} || {{{#000000,#e5e5e5 출루율}}} || {{{#000000,#e5e5e5 장타율}}} || || 1999 ||<|3> [[롯데 자이언츠|롯데]] || 23 || 59 || .322 || 19 || 4 || 2 || 1 || 9 || 6 || 4 || 8 || .403 || .508 || || 2000 || 40 || 59 || .136 || 8 || 1 || 0 || 1 || 3 || 11 || 1 || 9 || .250 || .203 || || 2001 || 114 || 216 || .269 || 58 || 14 || 1 || 3 || 26 || 37 || 10 || 39 || .373 || .384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타수 }}}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4사구}}} || {{{#ffffff 출루율}}} || {{{#ffffff 장타율}}} || || 2002 || [[롯데 자이언츠|롯데]] / [[삼성 라이온즈|삼성]] || 104 || 72 || .194 || 14 || 4 || 0 || 1 || 4 || 13 || 3 || 8 || .275 || .292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 || {{{#ffffff 타수}}} ||{{{#ffffff 타율}}}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4사구}}} || {{{#ffffff 출루율}}} || {{{#ffffff 장타율}}} || || 2003 || [[삼성 라이온즈|삼성]] / [[한화 이글스|한화]] || 119 || 270 || .241 || 65 || 14 || 2 || 7 || 26 || 38 || 6 || 38 || .334 || .385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타수}}} ||{{{#ffffff 타율}}}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4사구}}} || {{{#ffffff 출루율}}} || {{{#ffffff 장타율}}} || || 2004 || [[한화 이글스|한화]] / [[두산 베어스|두산]] || 51 || 103 || .175 || 18 || 2 || 0 || 0 || 5 || 13 || 0 || 7 || .225 || .194 || || 2005 ||<|5> [[두산 베어스|두산]] || 109 || 336 || .310 || 104 || 13 || 3 || 3 || 30 || 41 || 10 || 39 || .377 || .393 || || 2006 || 99 || 279 || .258 || 72 || 7 || 4 || 0 || 20 || 37 || 9 || 29 || .327 || .312 || || 2007 ||<-13><|2> 군복무(공익근무) || || 2008 || || 2009 || 121 || 359 || .281 || 101 || 13 || 1 || 6 || 50 || 61 || 11 || 64 || .389 || .373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타수 }}}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4사구}}} || {{{#ffffff 출루율}}} || {{{#ffffff 장타율}}} || || 2010 ||<|4> [[두산 베어스|두산]] || 96 || 130 || .292 || 38 || 5 || 2 || 3 || 18 || 27 || 7 || 39 || .453 || .431 || || 2011 || 36 || 84 || .321 || 27 || 8 || 0 || 2 || 10 || 20 || 0 || 17 || .431 || .488 || || 2012 || 66 || 136 || .243 || 33 || 4 || 2 || 2 || 14 || 16 || 4 || 8 || .283 || .346 || || 2013 || 70 || 112 || .259 || 29 || 5 || 1 || 0 || 10 || 19 || 2 || 31 || .420 || .321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4사구}}} || {{{#ffffff 출루율}}} || {{{#ffffff 장타율}}} || || 2014 || [[LG 트윈스|LG]] || 53 || 66 || .242 || 16 || 1 || 0 || 0 || 3 || 13 || 0 || 6 || .306 || .258 || || {{{#000000 연도}}} || {{{#000000 소속팀}}} || {{{#000000 경기수}}} || {{{#000000 타수}}} || {{{#000000 타율}}} || {{{#000000 안타}}} || {{{#000000 2루타}}} || {{{#000000 3루타}}} || {{{#000000 홈런}}} || {{{#000000 타점}}} || {{{#000000 득점}}} || {{{#000000 도루}}} || {{{#000000 4사구}}} || {{{#000000 출루율}}} || {{{#000000 장타율}}} || || 2015 || [[롯데 자이언츠|롯데]] || 38 || 52 || .154 || 8 || 2 || 0 || 1 || 3 || 6 || 2 || 8 || .267 || .250 || ||<-2> '''[[KBO 리그|KBO]] 통산'''[br](15시즌) || 1139 || 2333 || .261 || 610 || 97 || 18 || 30 || 231 || 358 || 69 || 350 || .356 || .357 || == 여담 == * 쾌활하고 넉살 좋은 성격이어서 선수단 사이에 인망이 높다. 특히 후배들 챙기는 면에 있어서는 알아주는데, 임재철이 뛰었던 지방 구단에서 이적한 선수들은 거처를 구하기 전에 일단 임재철의 집에서 신세를 지고 본다. 특히 [[최준석]]은 롯데에서 이적했을 때 임재철의 '''신혼집'''에서 지냈을 정도였다. [[조규수]]와 [[김창훈(1985)|김창훈]]이 [[이대수]]와의 [[트레이드]]로 [[두산 베어스]]에 이적하자 아니나다를까 임재철의 집에 임시로 짐을 풀었다. [[이범호]]도 [[일본]]으로 떠나기 전 마지막으로 임재철의 집에 묵기도 했다. * 부인은 대전시립무용단에서 무용을 전공한 바 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73&aid=0002050726|#]] * 2012년 8월 8일 둘째 아이로 아들이 태어났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76&aid=0002248122|태명은 축복이]]. * [[저니맨]]으로서, [[김혜연(가수)|김혜연]]의 노래 제목 그대로 [[서울특별시]](두산, LG)-[[대전광역시]](한화)-[[대구광역시]](삼성)-[[부산광역시]](롯데)를 '''전부 찍었다.''' 단 순서는 역순. 결국 역순으로 돈 끝에 친정팀 롯데로 귀환했다. ~~즉 경부선 저니맨~~ ~~[[새마을호]] 타고 올라가서 [[KTX]] 타고 내려온 셈~~[* 재미있게도, 두산에 들어가기 전 까지는 KTX가 개통하지 않던 시기였다가(2004년 4월에 KTX가 개통했으니 임재철은 개통 2개월 후에 두산으로 보내졌다), 부산에 내려올 때는 [[KTX]]가 이미 2단계 구간까지 개통되어 있었다.] * 고향팀인 롯데빠들은 정작 임재철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 2015 시즌을 시작하기 전에 [[장원준]]의 보상선수를 롯데 자이언츠에서 고심하고 있었는데, 이 때 감독으로 부임한 [[이종운]]이 그에게 전화를 해서 추천받은 것이 바로 [[정재훈(1980)|정재훈]]이었기 때문이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50109_0013404490|#]] 둘은 사이좋게(?) 2015시즌에 부진했고,[* 정재훈은 이적 1년만에 2차 드래프트를 통해 친정팀 두산으로 돌아갔다.] 거기다 하필 이 때 보상선수로 풀린 선수 중 한 명으로 꼽혔던 것이 두산 외야의 미래를 책임질 재목인 [[박건우]]였다. 이때 당시 두산 2군에서 이미 실력이 완성된 박건우는 두산에서도 2015시즌 후반기부터 콜업되어 국가대표급 활약을 펼치기 시작했으므로 팜 육성능력이 부족한 롯데가 데려갔더라도 그의 포텐셜이 폭발할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이다. * [[뭉쳐야 찬다]]에서 [[양준혁]] vs [[이종범]] 배팅 대결에 [[포수]]로 출연하였다. * 협살당하는 상황에서 토스되는 공을 떨구기 위해 헬멧을 위로 던진 적이 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북일고등학교 야구부]] * [[경성대학교 야구부]] * [[롯데 자이언츠/선수단]] * [[삼성 라이온즈/선수단]] * [[한화 이글스/선수단]] * [[두산 베어스/선수단]] * [[LG 트윈스/선수단]] [각주] [[분류:1976년 출생]][[분류:천안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야구 에이전트]][[분류:외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롯데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삼성 라이온즈/은퇴, 이적]][[분류:빙그레-한화 이글스/은퇴, 이적]][[분류:OB-두산 베어스/은퇴, 이적]][[분류:MBC 청룡-LG 트윈스/은퇴, 이적]][[분류:천안북중학교 출신]][[분류:북일고등학교 출신]][[분류:경성대학교 출신]][[분류:나주 임씨]][[분류:사회복무요원 출신]][[분류:1999년 데뷔]][[분류:2015년 은퇴]][[분류:저니맨/야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