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임신근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oeiwjnFKre1sqk8veo7_r1_540_2.jpg|width=70]] '''1967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s-2]] MVP''' || ---- ||<-5> [[파일:대통령배고교야구심볼.png|width=50]] [br]{{{#a78329 '''1967~1968년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s-2|{{{#a78329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MVP'''}}} || || 대회 신설 || {{{+1 →}}} || '''{{{#fff 임신근[br](경북고등학교)}}}''' || {{{+1 →}}} || 서종수[br]([[선린인터넷고등학교 야구부|선린상업고등학교]]) || ---- || [[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72v3jpgxR1sqk8veo8_r2_500.png|width=40]] '''1968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s-2]] MVP''' || ---- ||<-4>
[br][[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2.svg|width=50]][[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3.svg|width=50]][br]'''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코치}}}''' || || '''[[1986년 한국시리즈|{{{#ffffff 1986}}}]]''' || '''[[1987년 한국시리즈|{{{#ffffff 1987}}}]]''' || ---- [include(틀:현대 유니콘스/역대 감독)] ---- ||<-5>
'''{{{#fff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38번}}}''' || || 팀 창단 || {{{+1 →}}} || '''{{{#007fff 임신근[br](1982)}}}''' || {{{+1 →}}} || [[홍승규]][br](1984~1990) || ||<-5> '''{{{#fff [[해태 타이거즈|'''{{{#ffffff 해태 타이거즈}}}''']] 등번호 38번}}}''' || || [[김동엽(1938)|김동엽]][br](1982) || {{{+1 →}}} || '''{{{#ff0000 임신근[br](1985~1987)}}}''' || {{{+1 →}}} || [[이상윤(야구선수)|이상윤]][br](1990~1995) || ||<-5> '''{{{#ff9933 [[태평양 돌핀스|'''{{{#ff9933 태평양 돌핀스}}}''']] 등번호 38번}}}''' || || 최재은[br](1985~1986) || {{{+1 →}}} || '''{{{#ffffff 임신근[br](1988)}}}''' || {{{+1 →}}} || [[김풍기]][br](1989~1990) || ||<-5> '''{{{#000000 [[쌍방울 레이더스|'''{{{#000000 쌍방울 레이더스}}}''']] 등번호 92번}}}''' || || 팀 창단 || {{{+1 →}}} || '''{{{#ffc81e 임신근[br](1990~1991)}}}''' || {{{+1 →}}} || 결번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uvbdA8.jpg|width=100%]]}}} || ||<-2> [[삼성 라이온즈]] 코치 시절. 가운데 안경 쓴 인물이 임신근. || ||<-2> '''{{{+2 임신근}}}[br]林信根 | Lim Sin-Keun''' || ||<|2> '''출생''' ||[[1949년]] [[11월 28일]] || ||[[대구광역시]] || || '''사망''' ||[[1991년]] [[9월 17일]] (향년 41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경상중학교|경상중]] - [[경북고등학교 야구부|경북고]] || || '''포지션''' ||[[투수]], [[외야수]]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 입단''' ||1982년 [[삼성 라이온즈]] 창단멤버 겸 코치 || || '''소속팀''' ||[[한일은행 야구단]] (1969~1970, 1974~1977) [br] [[삼성 라이온즈]] (1982) || || '''지도자''' ||[[한일은행 야구단]] 코치 (1978~1980)[br][[한일은행 야구단]] 감독 (1981)[br][[삼성 라이온즈]] 1군 플레잉코치 (1982) [br] '''[[해태 타이거즈]] 1군 투수코치 (1985~1987)''' [br] [[현대 유니콘스/2군|태평양 돌핀스 2군]] 투수코치 (1988)[* ~4월 22일] [br] [[태평양 돌핀스]] 감독대행 (1988)[* 4월 23일~] [br] [[쌍방울 레이더스]] 1군 수석코치 (1990~1991) || ||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해병대 야구단]] (1971~1974)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야구선수. [[한국실업야구|실업야구]] 시절에 활동했으며, [[이선희(야구)|이선희]] 이전의 [[대한민국]] 야구계의 좌완 에이스였다. 또한 투수, 타자 양쪽 모두 뛰어났던 선수였다. == 선수 경력 == [[서영무]] 감독과 함께 1970년대 초 [[경북고등학교]] 전성시대의 막을 연 선수라 할 수 있으며, 1967년 경북고 2학년 때 1회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대통령배]] 우승을 이끌었다. 경북고 야구부의 첫 전국대회 우승. 이후로 여러 대회에서 팀을 우승으로 이끌며 "임신근이 던지면 이긴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뛰어난 실력을 자랑했다. 공이 빠르진 않았지만 제구력과 변화구로서 타자와 상대하는 전형적인 기교파 투수였다. 1969년 실업 팀인 [[한일은행 야구단|한일은행]]에 입단, 10승 7패로 그 해 신인상을 수상했고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국가대표팀에 뽑혔다. 1970년에는 승률 1위를 했다. 1971년에 해병대에 입대했고, 1972년에는 다승 1위(18승)와 승률 1위(0.818)를 했다. 특히 이 해에 해병대는 20승을 올렸는데, 이 중 18승을 임신근 혼자 올린 것. 1974년 해병대를 제대하고 한일은행에 복귀했는데, 해병대 시절 무리한 등판으로 구위가 떨어지자 1976년에 당시 한일은행의 감독이었던 [[김응용]]은 임신근을 타자로 전향시켰다. 성적은 부진했지만 당대 최고의 좌완 투수로 손꼽혔던 임신근은 그에 반대했으나, 결국 [[김응용]]에게 굴복해(…) 타자로 전향했다.[* 김응용은 임신근의 고향팀인 삼성 감독 시절이던 2004년에 환갑의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SK 와이번즈]]와의 난투극에서 SK 외국인 용병 카브레라를 헤드락으로 제압할 정도 포스가 넘쳤다.] 하지만 1976년 춘계 리그에서 0.512의 타율을, 추계 리그에서 0.440의 타율로 그 해 타격 1위를 차지했고 1977년에도 타격 1위를 차지하는 등, [[김응용]] 감독의 전향 선택은 탁월했다. 실업 야구 역사상 2년 연속 타격왕은 임신근이 유일하다. 이 점에서 임신근은 투수에서 타자로 전향해 성공한 대표적 사례로 손꼽히며, 이후 롯데의 [[김응국]]이 그 뒤를 이었다. 당시에 타자로서 뛰어난 성적과 과묵하고 남자 다운 카리스마로 인기도 많았다고. == 은퇴 후 == 선수 은퇴 후 [[한일은행]]에서 코치로 활동하다가 1981년 [[김응용]]이 미국 연수를 떠나자 [[김응용]]의 후임으로 한일은행 감독을 맡았다. 그러다 1982년 프로야구가 출범하며 연고팀인 [[삼성 라이온즈]]의 창단 코치 겸 선수로 합류했다. 선수로서는 2경기에 대타로 들어서 3타수 무안타를 기록했다. 하지만 원년에 준우승을 기록한 후 [[삼성 라이온즈]]는 그를 해임했다.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사우스조지대에서 코치 연수를 받고 1985년 [[해태 타이거즈]]의 투수코치로 영입되었다.[* [[김응용|한일은행 시절 스승]]이 감독이었다. 훗날 [[전설의 타이거즈]]에 출연한 [[송유석]]이 임신근 코치의 지도를 받고 기량이 향상됐으며 늘 감사한 마음이라고 밝혔다.] 1987 시즌 후 해태와 계약이 만료되자 이듬해 [[태평양 돌핀스]]의 2군 투수코치로 부임했다가, 1988년 4월 [[강태정]] 감독이 팀의 부진으로 감독직에서 물러나며 감독 대행이 되었다. 이후 태평양 투수진을 안정시키고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이듬해 태평양이 [[김성근]]을 신임 감독으로 영입하며 태평양에서 나왔다. [[1990년]] 신생팀 [[쌍방울 레이더스]]의 초대 수석코치로 영입되었다. 그러던 중 [[1991년]] [[9월 17일]], [[전주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OB 베어스]]와의 경기를 앞두고 선수들의 타격 훈련을 지도하던 중 [[심장마비]]를 일으켜 전주대부속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숨을 거뒀다. 향년 41세. 10년 후인 2001년에 역시 시즌 중에 타계한 [[김명성(1946)|김명성]] 전 롯데 감독과 함께, 코치진의 일원으로 현장에서 목숨을 잃은 안타까운 사례로 기억된다. == 연도별 성적 == ||<-12>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 1982 || [[삼성 라이온즈|삼성]] || 2 || 5 || .000 || 0 || 0 || 0 || 0 || 0 || 0 || 0 || ||<-2> '''[[KBO 리그|KBO]] 통산''' [br] (1시즌) || 2 || 5 || .000 || 0 || 0 || 0 || 0 || 0 || 0 || 0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삼성 라이온즈/선수단]]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감독 대행/야구]][[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49년 출생]][[분류:1982년 데뷔]][[분류:1982년 은퇴]][[분류:1991년 사망]][[분류:좌완 투수]][[분류:외야수]][[분류:좌투좌타]][[분류:삼성 라이온즈/은퇴, 이적]][[분류:경북고등학교 출신]][[분류:삼미 슈퍼스타즈-청보 핀토스-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역대 감독]][[분류:심장마비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