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고려의 인물]][[분류:장흥 임씨]][[분류:몰년 미상]][[분류:고려의 외척]] [include(틀:고려사)] ---- [목차] [clearfix] [[任]][[溥]][* '임보'라고도 한다. 溥는 부,보,박 이 세가지로 훈음된다.] (? ~ ?) == 개요 == 고려의 [[척신]]. [[임원후]]와 진한국대부인(辰韓國大夫人) 이씨[* 수주 이씨(樹州 李氏) [[이정공]]의 손녀이자 [[이위(고려)|이위]]의 딸]의 아들로 [[공예태후]]의 남동생이다. == 생애 == [[의종(고려)|의종]] 즉위 초에 왕의 외조부인 부친이 죽는데, 의종은 모후 [[공예태후]]를 견제하고 [[대령후|대령후 왕경]], [[정서(고려)|정서]] 등과 외척 장흥 임씨를 묶어 숙청한다. 임부는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글을 잘 지었지만 의종의 외척 압박으로 20세에 이르기까지 관직에 나가지 못한다. 그러다 [[무신정변]]으로 [[명종(고려)|명종]]이 즉위하니 예빈주부에 임명되고 곧 합문지후에 오른다. 그러나 스스로 관직에서 물러날 것을 청하고 과거에 응시하며 을과에 급제한다. 승진을 거듭해 이부시랑에 오르며 사후 이부상서 한림학사로 추증된다. == 가족관계 == 딸 임씨는 무인 출신 재상 [[손석]](孫碩)의 아들인 장군(將軍) 손홍윤(孫洪胤)에게 시집간다. 그러나 [[최충헌]]이 [[이의민]]을 끌어내리면서 손석과 손홍윤을 죽이고 아름답다는 손홍윤의 부인 임씨를 자신의 부인으로 들인다. 이후 임씨는 [[고종(고려)|고종]] 원년인 1214년 수성택주(綏成宅主)로 책봉된다. * 부: [[임원후]] * '''본인: 임부''' * 딸: 수성택주(綏成宅主) 임씨 * 사위:손홍윤(孫洪胤)[* [[손석]]의 아들] * 사위: [[최충헌]] * 외손자: 최성(崔珹)[* 후에 최전(崔瑼)으로 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