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양 철학사/현대 철학)] ||<-2> '''{{{+2 임레 라카토슈}}}[br]Imre Lakatos'''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Professor_Imre_Lakatos,_c1960s.jpg|width=100%]]}}} || || '''본명''' ||라카토슈 임레 (아브룸) 립시츠[* 헝가리는 성을 앞에 이름을 뒤에 쓴다. 라카토슈가 성이고 임레~가 이름이다. 영국에 있을 때는 영문식 이름 '임레 라카토슈'로 활동했다.][br]Lakatos Imre (Avrum) Lipsitz|| ||<|2> '''출생''' ||[[1922년]] [[11월 9일]]|| ||[[헝가리 왕국]] [[데브레첸]]|| ||<|2> '''사망''' ||[[1974년]] [[2월 2일]] (향년 51세) || ||[[영국]] [[잉글랜드]] [[런던]]|| || '''국적'''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width=28]] [[헝가리 왕국]] → [[무국적]][* 영국 국적 발급을 거절당하였다.]|| || '''모교''' ||데브레첸 대학교 {{{-2 ([[Ph.D.]] / 1948)}}}[br][[모스크바 국립대학교]][br][[케임브리지 대학교]] {{{-2 ([[Ph.D.]] / 1961)}}} || || '''경력''' ||[[런던 정치경제대학교|런던 경제대학]] [[교수]] {{{-2 (학과명 / 재학 여부)}}}|| || '''직업''' ||[[철학자]]|| || '''종교''' ||[[유대교]] || [목차] [clearfix] == 개요 == [[헝가리]] 출신의 [[철학자]]. [[20세기]] [[과학철학]] 및 [[수학철학]]에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생애 == [[유대인|유대계]] [[헝가리인]]으로 어린 시절부터 촉망받는 학생이었으며, [[호르티 미클로시]] 독재 체제하에 있던 상황에서 대학 내 비밀 [[사회주의]] 독서 모임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후 1944년 3월 [[나치 독일]]이 헝가리를 침공하고 [[화살십자당]]이 권력을 잡으면서 유대인이었던 어머니, 할머니, 그외 여러 친척들이 [[아우슈비츠]]로 끌려가 최후를 맞았고, 본인 또한 가까스로 몸만 빠져나와 살아남기도 했다. 이러한 신변의 위협 때문에 이후에는 '칙센치몬 기사 러커토시 게저(Vitéz lófő csíkszentsimoni Lakatos Géza)'의 성을 따서 '러커토시(라카토슈)'로 갈음하게 됐다. 헝가리 수복 후 학업을 지속함과 동시에 공산당 활동도 해나갔지만, [[1950년]] '반당주의 책동'으로 인해 비밀경찰에 끌려가 고초를 겪기도 했다. 이후 [[헝가리 혁명]]이 붕괴하는 시점에서 망명, [[영국]]으로 넘어가 박사 학위를 받고 [[런던 정경대]]에서 교편을 잡는다. == 사상 == === [[수학철학]] === === [[과학철학]] === 연구 프로그램(research program) 개념을 주창하여 [[칼 포퍼]]의 [[반증주의]]를 보완하였다. 라카토슈는 과학적 연구 프로그램을 해당 이론의 핵심 원리 부분인 견고한 핵(hard core)과 이를 보조하는 상대적으로 느슨하고 자율적인 부분인 보호대(protective belt)로 나누었다. 이 중 견고한 핵 부분은 한두 건의 실험적 반례로는 거부되지 않으며, 오히려 의심하지 않고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권장된다. 이론과 실제의 불일치는 견고한 핵을 부정하는 것이 아닌 보호대의 조정을 통해 해결된다. 라카토슈는 실제 과학적 연구가 엄격한 반증주의와는 전혀 다르게 진행된다는 사실을 긍정하면서도 반증주의의 논리적 타당성 자체는 유지하려 했다는 점에서 포퍼와 [[토머스 쿤]]의 사이에 있다고 평가된다. == 더 읽을만한 글 == *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 * [[https://plato.stanford.edu/entries/lakatos/|임레 라카토슈]] [각주] [[분류:헝가리의 철학자]][[분류:무국적자]][[분류:1922년 출생]][[분류:1974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