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일혈만걸/장비)] [목차] == 개요 == [[일혈만걸]]의 영걸 중 사무라이(侍)가 착용할 수 있는 무기 및 방어구 일람. 무기로는 [[타치]](太刀)를, 방어구로는 외투를 사용한다. == 무기 == ||<|2> '''명칭''' ||<|2> '''설명''' || '''필요 자원 및 소재''' ||<|2> '''제법서 획득법''' || || '''능력치''' || ||<|2> 원야태도[br]源野太刀[br](화/수/목/금/토) ||<|2> 전통적인 방법으로 만들어낸 (속성)의 한 자루. 이름은 없지만 악을 베는 데 부족함 없다. || 백병/천청석 각 60[br]융주/견장자 각 26 ||<|2> 연금당 Lv 1/3/5/7/9 || || 물공+24, 공격속성+3, 회심+1%(무급)[br]물공+28, 공격속성+5, 회심+2%(1급)[br]물공+36, 공격속성+7, 회심+3%(2급)[br]물공+52, 공격속성+10, 회심+5%(3급) || ||<|2> 원야태도[br]源野太刀[br](음/양) ||<|2> 전통적인 방법으로 만들어낸 (속성)의 한 자루. 이름은 없지만 악을 베는 데 부족함 없다. || 백병/천청석 각 60[br]융주/견장자 각 26[br]약년죽(若年竹) 1 ||<|2> 1부 3장 3화/9화(양)[br]1부 2장 3화/11화(음) || || 물공+29, 공격속성+3, 회심+1%(무급)[br]물공+34, 공격속성+5, 회심+2%(1급)[br]물공+43, 공격속성+7, 회심+3%(2급)[br]물공+63, 공격속성+10, 회심+5%(3급) || ||<|2> 단야태도[br]丹野太刀[br](화/수/목/금/토) ||<|2> 길고 큰 도신을 지닌 (속성)의 [[오오타치]]. 혼신의 한 자루로 악을 끊어내라. || 백병/천청석 각 82[br]융주/견장자 각 32 ||<|2> 연금당 Lv 11/13/15/17/19 || || 물공+28, 공격속성+3, 회심+1%(무급)[br]물공+36, 공격속성+5,회심+2%(1급)[br]물공+48, 공격속성+7, 회심+4%(2급)[br]물공+??, 공격속성+10, 회심+6%(3급) || ||<|2> 단야태도[br]丹野太刀[br](음/양) ||<|2> 길고 큰 도신을 지닌 (속성)의 [[오오타치]]. 혼신의 한 자루로 악을 끊어내라. || 백병/천청석 각 82[br]융주/견장자 각 32[br]녹청죽(緑青竹) 1 ||<|2> 1부 5장 3화/11화(양)[br]1부 6장 3화/11화(양)[br]1부 4장 3화/11화(음)[br]1부 6장 3화/11화(음) || || 물공+34, 공격속성+3, 회심+1%(무급)[br]물공+43, 공격속성+5(1급), 회심+2%[br]물공+58, 공격속성+7, 회심+4%(2급)[br]물공+77, 공격속성+10, 회심+6%(3급) || ||<|2> 치참의 태도[br]薙斬ノ太刀[br](화/수/목/금/토) ||<|2> 옛부터 전해져온 날카로운 곡선을 지닌 (속성)의 타치. 날카로움과 매끄러움 양쪽을 겸비하고 있다. || 백병/천청석 각 124[br]융주/견장자 각 58 ||<|2> 연금당 Lv 21/23/25/27/29 || || 물공+32, 공격속성+3, 회심+2%(무급)[br]물공+48, 공격속성+5, 회심+4%(1급)[br]물공+60, 공격속성+7, 회심+6%(2급)[br]물공+80, 공격속성+10, 회심+8%(3급) || ||<|2> 치참의 태도[br]薙斬ノ太刀[br](음/양) ||<|2> 옛부터 전해져온 날카로운 곡선을 지닌 (속성)의 타치. 날카로움과 매끄러움 양쪽을 겸비하고 있다. || 백병/천청석 각 124[br]융주/견장자 각 58[br]완장죽(頑丈竹) 1 ||<|2> 1부 9장 3화/11화(양)[br] 1부 7장 3화/11화(음) || || 물공+39, 공격속성+3, 회심+2%(무급)[br]물공+58, 공격속성+5, 회심+4%(1급)[br]물공+72, 공격속성+7, 회심+6%(2급)[br]물공+96, 공격속성+10, 회심+8%(3급) || ||<|2> 호수태도[br]豪獣太刀[br](화/수/목/금/토) ||<|2> 짐승의 송곳니나 손톱을 양껏 이용한 (속성) 타치. 그 힘은 태도의 한 도달점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 백병/천청석 각 372[br]융주/견장자 각 174 ||<|2> 연금당 Lv 36/37/38/39/40 || || 물공+36, 공격속성+3(무급)[br]물공+56, 공격속성+5, 회심+3%(1급)[br]물공+76, 공격속성+7, 회심+6%(2급)[br]물공+96, 공격속성+10, 회심+9%(3급) || ||<|2> 호수태도[br]豪獣太刀[br](음/양) ||<|2> 짐승의 송곳니나 손톱을 양껏 이용한 (속성) 타치. 그 힘은 태도의 한 도달점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 백병/천청석 각 372[br]융주/견장자 각174[br]백설죽(雪白竹) 1 ||<|2> 2부 3장 3화/11화(양)[br]2부 5장 3화/11화(음) || || 물공+43, 공격속성+3(무급)[br]물공+67, 공격속성+5, 회심+3%(1급)[br]물공+91, 공격속성+7, 회심+6%(2급)[br]물공+115, 공격속성+10, 회심+9%(3급) || ||<|2> 용조태도[br]龍爪太刀[br](화/수/목/금/토) ||<|2> 칼끝이 세 갈래로 갈라진 (속성)의 류다치(龍太刀). 지옥의 용을 본떠 만들어졌다는 전설. || 백병/천청석 각 496[br]융주/견장자 각 232 ||<|2> 연금당 Lv 46/47/48/49/50 || || 물공+40, 공격속성+3, 회심+3%(무급)[br]물공+72, 공격속성+5, 회심+5%(1급)[br]물공+96, 공격속성+7, 회심+8%(2급)[br]물공+120, 공격속성+10, 회심+10%(3급) || ||<|2> 용조태도[br]龍爪太刀[br](음/양) ||<|2> 칼끝이 세 갈래로 갈라진 (속성)의 류다치(龍太刀). 지옥의 용을 본떠 만들어졌다는 전설. || 백병/천청석 각 496[br]융주/견장자 각 232[br]칠흑죽(漆黒竹) 1 ||<|2> 2부 7장 3화/11화(양)[br]2부 9장 3화/11화(음) || || 물공+48, 공격속성+3, 회심+3%(무급)[br]물공+87, 공격속성+5, 회심+5%(1급)[br]물공+115, 공격속성+7, 회심+8%(2급)[br]물공+144, 공격속성+10, 회심+10%(3급) || ||<|2> 결도[br]潔刀[br](화/수/목/금/토) ||<|2> 야오요로즈계의 예지를 집결시킨 (속성)의 타치. || 백병/천청석 각 620[br]융주/견장자 각 290 ||<|2> 연금당 Lv 56/57/58/59/60 || || 물공+??, 공격속성+3, 회심+3%(무급)[br]물공+79, 공격속성+5, 회심+5%(1급)[br]물공+108, 공격속성+7, 회심+8%(2급)[br]물공+150, 공격속성+10, 회심+10%(3급) || ||<|2> 결도[br]潔刀[br](음/양) ||<|2> 야오요로즈계의 예지를 집결시킨 (속성)의 타치. || 백병/천청석 각 620[br]융주/견장자 각 290[br]성채죽(星彩竹) 1 ||<|2> 2부 12장 3화(양)[br]2부 12장 11화(음) || || 물공+53, 공격속성+3, 회심+3%(무급)[br]물공+96, 공격속성+5, 회심+5%(1급)[br]물공+??, 공격속성+7, 회심+8%(2급)[br]물공+180, 공격속성+10, 회심+10%(3급) || ||
<|2> '''명칭''' ||<|2> '''설명''' || '''필요 자원 및 소재''' ||<|2> '''제법서 획득법''' || || '''능력치''' || ||<|2> 악사[br]悪蛇[br](음) ||<|2> 뱀이 휘감은 기괴한 음의 타치. 가을 이벤트 한정 토벌에서 획득할 수 있는 천경석이 증가한다. || 각 자원 300 ||<|2> 백귀야행담 이벤트 교환소 || || 물공+24, 공격속성+1, 회심+1%, 회피+1%(무급)[br]물공+28, 공격속성+2, 회심+1%, 회피+1%(1급)[br]물공+36, 공격속성+3, 회심+1%, 회피+1%(2급)[br]물공+52, 공격속성+5, 회심+1%, 회피+1%(3급) || ||<|2> 사자무도[br]獅子舞刀[br](양) ||<|2> 사자무(사자춤)을 본떠 춤추는 칼. 획득할 수 있는 상주(想珠)의 양이 증가한다. || 각 자원 300 ||<|2> 2016년 12월~2017년 1월 이벤트 || || 물공+34, 공격속성+3, 회심+2%(무급)[br]물공+51, 공격속성+5, 회심+4%(1급)[br]물공+66, 공격속성+7, 회심+7%(2급)[br]물공+87, 공격속성+10, 회심+7%(3급) || == 방어구 == ||
<|2> '''명칭''' ||<|2> '''설명''' || '''필요 자원 및 소재''' ||<|2> '''제법서 획득법''' || || '''능력치''' || ||<|2> 명목호[br]名木狐[br](화/수/목/금/토) ||<|2> 야오요로즈계의 사무라이가 쓰는 (속성)의 외투. 잘만 다루면 화살도 튕겨낸다고 한다. || 백병/천청석 각 26[br]융주/견장자 각 60 ||<|2> 연금당 Lv 4/10/8/2/6 || || 물방+10, 마방+8, 방어속성+3(무급)[br]물방+13, 마방+10, 방어속성+5(1급)[br]물방+18, 마방+15, 방어속성+7(2급)[br]물방+28, 마방+25, 방어속성+10, 회피+1%(3급) || ||<|2> 명목호[br]名木狐[br](음/양) ||<|2> 야오요로즈계의 사무라이가 쓰는 (속성)의 외투. 잘만 다루면 화살도 튕겨낸다고 한다. || 백병/천청석 각 26[br]융주/견장자 각 60[br]약년죽(若年竹) 1 ||<|2> 1부 2장 3화/11화(양)[br] 1부 3장 3화/9화(음) || || 물방+12, 마방+9, 방어속성+3(무급)[br]물방+15, 마방+12, 방어속성+5(1급)[br]물방+21, 마방+18, 방어속성+7(2급)[br]물방+??, 마방+??, 방어속성+10, 회피+1%(3급) || ||<|2> 동리[br]桐狸[br](화/수/목/금/토) ||<|2> 사악한 기운으로부터 전신을 지키는 (속성)의 외투. 내부는 많은 암기(暗器)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 백병/천청석 각 32[br]융주/견장자 각 82 ||<|2> 연금당 Lv 14/20/18/12/16 || || 물방+13, 마방+10, 방어속성+3(무급)[br]물방+18, 마방+15, 방어속성+5(1급)[br]물방+25, 마방+23, 방어속성+7, 회피+1%(2급)[br]물방+35, 마방+33, 방어속성+10, 회피+2%(3급) || ||<|2> 동리[br]桐狸[br](음/양) ||<|2> 사악한 기운으로부터 전신을 지키는 (속성)의 외투. 내부는 많은 암기(暗器)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 백병/천청석 각 32[br]융주/견장자 각 82[br]녹청죽(緑青竹) 1 ||<|2> 1부 4장 3화/11화(양)[br]1부 6장 3화/11화(양)[br]1qn 5wkd 3화/11화(음)[br]1부 6장 3화/11화(음) || || 물방+15, 마방+12, 방어속성+3(무급)[br]물방+21, 마방+18, 방어속성+5(1급)[br]물방+30, 마방+27, 방어속성+7, 회피+1%(2급)[br]물방+??, 마방+??, 방어속성+10, 회피+2%(3급) || ||<|2> 아녹지[br]阿鹿志[br](화/수/목/금/토) ||<|2> 충격을 튕겨낼 정도의 강인함을 지닌 (속성)의 외투. 웬만한 공격으로는 표면에 상처조차 낼 수 없다. || 백병/천청석 각 58[br]융주/견장자 각 124 ||<|2> 연금당 Lv 24/30/28/22/26 || || 물방+15, 마방+13, 방어속성+3(무급)[br]물방+25, 마방+23, 방어속성+5(1급)[br]물방+33, 마방+30, 방어속성+7, 회피+2%(2급)[br]물방+45, 마방+43, 방어속성+10, 회피+3%(3급) || ||<|2> 아녹지[br]阿鹿志[br](음/양) ||<|2> 충격을 튕겨낼 정도의 강인함을 지닌 (속성)의 외투. 웬만한 공격으로는 표면에 상처조차 낼 수 없다. || 백병/천청석 각 58[br]융주/견장자 각 124[br]완장죽(頑丈竹) 1 ||<|2> 1부 10장 3화/11화(양)[br]1부 8장 3화/11화(음) || || 물방+18, 마방+15, 방어속성+3(무급)[br]물방+30, 마방+27, 방어속성+5(1급)[br]물방+39, 마방+36, 방어속성+7, 회피+2%(2급)[br]물방+54, 마방+51, 방어속성+10, 회피+3%(3급) || ||<|2> 코테츠[br]虎鉄[br](화/수/목/금/토) ||<|2> 짐승의 털을 깐 탄력 있는 (속성) 외투. 그 탄력은 총포조차도 튕겨낸다고 한다. || 백병/천청석 각 174[br]융주/견장자 각 372 ||<|2> 연금당 Lv 31/32/33/34/35 || || 물방+18, 마방+15, 방어속성+3(무급)[br]물방+30, 마방+28, 방어속성+5(1급)[br]물방+43, 마방+40, 방어속성+7, 회피+2%(2급)[br]물방+??, 마방+??, 방어속성+10, 회피+4%(3급) || ||<|2> 코테츠[br]虎鉄[br](음/양) ||<|2> 짐승의 털을 깐 탄력 있는 (속성) 외투. 그 탄력은 총포조차도 튕겨낸다고 한다. || 백병/천청석 각 174[br]융주/견장자 각 372[br]설백죽(雪白竹) 1 ||<|2> 2부 4장 3화/11화(양)[br]2부 2장 3화/11화(음) || || 물방+21, 마방+18, 방어속성+3(무급)[br]물방+36, 마방+33, 방어속성+5(1급)[br]물방+51, 마방+48, 방어속성+7, 회피+2%(2급)[br]물방+66, 마방+63, 방어속성+10, 회피+4%(3급) || ||<|2> 사자앵[br]獅子桜[br](화/수/목/금/토) ||<|2> 사자의 갈기를 사용한 (속성) 외투. 품격과 위엄을 한껏 띤 왕 되는 자의 옷. || 백병/천청석 각 232[br]융주/견장자 각 496 ||<|2> 연금당 Lv 41/42/43/44/45 || || 물방+20, 마방+18, 방어속성+3(무급)[br]물방+40, 마방+38, 방어속성+5(1급)[br]물방+53, 마방+50, 방어속성+7, 회피+3%(2급)[br]물방+70, 마방+68, 방어속성+10, 회피+5%(3급) || ||<|2> 사자앵[br]獅子桜[br](음/양) ||<|2> 사자의 갈기를 사용한 (속성) 외투. 품격과 위엄을 한껏 띤 왕 되는 자의 옷. || 백병/천청석 각 232[br]융주/견장자 각 496[br]칠흑죽(漆黒竹) 1 ||<|2> 2부 6장 3화/11화(양)[br]2부 8장 3화/11화(음) || || 물방+24, 마방+21, 방어속성+3(무급)[br]물방+48, 마방+45, 방어속성+5(1급)[br]물방+63, 마방+60, 방어속성+7, 회피+3%(2급)[br]물방+84, 마방+81, 방어속성+10, 회피+5%(3급) || ||<|2> 오공무[br]蜈蚣霧[br](화/수/목/금/토) ||<|2> 야오요로즈계의 예지를 집결시킨 (속성)의 외투 || 백병/천청석 각 290[br]융주/견장자 각 620 ||<|2> 연금당 Lv 51/52/53/54/55 || || 물방+22, 마방+20, 방어속성+3(무급)[br]물방+44, 마방+42, 방어속성+5(1급)[br]물방+63, 마방+61, 방어속성+7, 회피+3%(2급)[br]물방+88, 마방+85, 방어속성+10, 회피+5%(3급) || ||<|2> 蜈蚣霧[br]蜈蚣霧[br](음/양) ||<|2> 야오요로즈계의 예지를 집결시킨 (속성)의 외투 || 백병/천청석 각 290[br]융주/견장자 각 620[br]강경죽(剛硬竹) ||<|2>2부 11장 3화/11화(양)/2부 11장 3화/11화(음) || || 물방+26, 마방+23, 방어속성+3(무급)[br]물방+53, 마방+50, 방어속성+5(1급)[br]물방+76, 마방+73, 방어속성+7, 회피+3%(2급)[br]물방+105, 마방+101, 방어속성+10, 회피+5%(3급) || [[분류:일혈만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