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북한 평안북도 박천군 박천선의 역, rd1=일원역(박천선))] ||<-3> {{{+2 '''일원역'''}}} || ||<-3>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30]] || || [[대화역|{{{#!html
대화 방면}}}]][[대청역|대 청]][br]← 1.2 ㎞ || [[수도권 전철 3호선|{{{#!html
3호선
(348)
}}}]] || [[오금역|{{{#!html
오금 방면}}}]][[수서역(수도권 전철)|수 서]][br]1.7 ㎞ → || ||<-3> [include(틀:지도, 장소=일원역, 너비=100%, 높이=225px)] || ||<-3> '''역명 표기''' || || [[수도권 전철 3호선|{{{#ffffff 3호선}}}]] ||<-2> '''일원'''[br]{{{-2 Irwon[br]逸院 / イルォン}}}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로]] 지하121 ([[일원동]] 717) || ||<-3> '''소속 영업사업소''' || || [[수도권 전철 3호선|{{{#ffffff 3호선}}}]] ||<-2> [[도곡영업사업소]] 일원역 || ||<-3> '''운영 기관''' || || [[수도권 전철 3호선|{{{#ffffff 3호선}}}]] ||<-2> [[서울교통공사]] || ||<-3> '''개업일''' || || [[수도권 전철 3호선|{{{#ffffff 3호선}}}]] ||<-2> 1993년 10월 30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3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수도권 전철 3호선]] 348번[* 개정 전 38번. 현재 3호선의 38번은 [[잠원역]]이 가져갔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로]] 지하121 ([[일원동]] 717) 소재. == 역 정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일원역 안내도.jpg|width=100%]]}}} || || {{{#ffffff '''역 안내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일원역 3호선.jpg|width=100%]]}}} || || {{{#ffffff '''대합실'''}}} || 수서지구 개발에 맞춰 신설된 역이다. 3호선은 이 역에서 [[일원로]]를 벗어나 [[광평로]]로 진입하면서 급격한 커브를 틀기 때문에 승강장의 곡선 반경이 작게 되어 있다. 이 역은 반대편 승강장 횡단이 불가능하다. == 역 주변 정보 == 강남 지역 중에서 비교적 늦은 1990년대에 조성된 택지지역의 아파트 단지들 사이로 역이 지나가며, 역 남쪽의 대모산 자락으로는 5층 내외의 저층 아파트도 있다. 또한 [[대청역]] 방향의 비탈에는 [[삼성의료원|삼성서울병원]]이 존재하여 많은 지방 내원객들이 이용하는 역이기도 하다.[* 일원역 쪽이 더 가깝고, 상대적으로 고지대이기 때문에 일원역에서 내리면 내리막, 대청역에서 내리면 오르막이다.] 일원동 아파트 단지 주민들이 출퇴근 목적으로 이용하며, 인근 [[중산고등학교(서울)|중산고등학교]], [[서울로봇고등학교]] 학생들을 심심치 않게 목격할 수 있다. 또한 5분마다 1번씩 오는 삼성서울병원 [[셔틀버스]]가 일원역에서 내린 고객들로 [[가축수송(교통)|가축수송]] 수준이 되기도 한다. 또한 3호선 연장으로 [[송파구]]에서 오는 이들 학교 학생 및 병원 이용자들이 대거 몰려들 예정이기 때문에 앞으로 이용객 수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일원역 부근 자체가 [[서울특별시]]의 베드타운에 가까운 만큼 갑작스럽게 이용객이 크게 늘어나지는 않을 수 있지만 [[서울특별시]]에서 최근 발표한 대모산 택지개발 정책이 잘 수행될 경우 이용객이 늘어날 수 있을 듯 하다. 일원역 바로 위로 지하 7층 지상 9층 높이의 [[삼성생명]] 빌딩이 2018년 5월 완공되었다. 원래 [[래미안]] 갤러리라는 홍보관이 자리하던 곳으로 분양 아파트의 견본주택 모형을 전시하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각종 문화강좌가 열리기도 하던 곳이다. 래미안 갤러리를 문정동으로 이전하고 삼성생명이 여기에 빌딩을 짓는다고 하자, 지역 주민들은 의료관광 목적의 외국인 환자, 보호자 등을 위한 숙박시설로 이른바 '병원용 호텔(메디텔)'이라면서 반대가 심했다. 실제로 삼성생명이 용도변경을 비공개로 추진한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으며, 지역 주민 반대와 서울시의 행정조치로 무산되었다. 2018년 8월 현재는 역과 연결된 해당 건물의 지하에 롯데프리미엄푸드마켓, 지상에 폴바셋(커피숍), 파리바게트(제과점), GS25(편의점) 등 편의시설이 입점되었다. 이 역과 대청역에서는 저속운행한다. [[대모산입구역]] - [[대모산]]보다 일원역 - 대모산 거리가 더 가깝다. === 출구 정보 === ||<-2> {{{#000,#fff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20]] 일원역 출구 정보}}} || ||{{{#ffffff 1}}}||목련타운[br]서울삼성병원[br]일원진달래공원[br]일원역환승주차장[br]왕북초등학교|| ||{{{#ffffff 2}}}||서울삼성병원[br]목련타운[br]까치마을[br]일원새싹공원[br]삼성아파트[br]수서119안전센터|| ||{{{#ffffff 3}}}||샘터마을[br]푸른마을[br]일원터널[br]일원느티나무공원|| ||{{{#ffffff 4}}}||일원본동주민센터[br]시립수서청소년센터[br]궁마을[br]대왕중학교[br]대모초등학교[br]강남데시앙포레아파트[br]가람아파트[br]서울특별시아동복지센터[br]서울시립여성보호센터|| ||{{{#ffffff 5}}}||대모산[br]일원터널[br]상록수아파트[br]한솔아파트[br]서울로봇고등학교[br]일원개나리공원[br]일원장미공원[br]청솔빌리지|| ||{{{#ffffff 6}}}||샘터마을[br]푸른마을[br]일원소나무공원[br]다니엘패드레이트 침향박물관|| ||{{{#ffffff 7}}}||중산고등학교[br]중동중학교[br]밀알학교·밀알복지센터[br]샘터마을||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수도권 전철 3호선|[[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94년 || 15,143명 || || || 1995년 || 18,645명 || || || 1996년 || 16,633명 || || || 1997년 || 17,066명 || || || 1998년 || 17,817명 || || || 1999년 || 자료없음 || || || 2000년 || 16,386명 || {{{#fff,#1f2023 비고}}} || || 2001년 || 17,810명 || || || 2002년 || 18,092명 || || || 2003년 || 17,934명 || || || 2004년 || 18,037명 || || || 2005년 || 17,456명 || || || 2006년 || 17,245명 || || || 2007년 || 17,360명 || || || 2008년 || 17,917명 || || || 2009년 || 18,005명 || ||}}}}}}}}} || || 2010년 || 19,309명 || || || 2011년 || 19,716명 || || || 2012년 || 19,433명 || || || 2013년 || 19,841명 || || || 2014년 || 19,939명 || || || 2015년 || 18,371명 || || || 2016년 || 19,152명 || || || 2017년 || 18,006명 || || || 2018년 || 18,764명 || || || 2019년 || {{{#ef7c1c 20,058명}}} || || || 2020년 || 14,555명 || || || 2021년 || 15,530명 || || || 2022년 || 17,596명 || || || 2023년 || 19,896명 || || ||<-3> {{{#ffffff '''출처'''}}} || ||<-3>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 옛 자료 출처: [[http://www.riss.kr/search/Search.do?isDetailSearch=N&searchGubun=true&viewYn=OP&query=%EC%A7%80%ED%95%98%EC%B2%A0+%EC%88%98%EC%86%A1%EA%B3%84%ED%9A%8D|지하철 수송계획]], [[http://www.riss.kr/search/Search.do?isDetailSearch=N&searchGubun=true&viewYn=OP&query=%EC%A7%80%ED%95%98%EC%B2%A0+%EA%B2%BD%EC%98%81|서울지하철경영]]] || }}} 예전의 [[수서역(수도권 전철)|수서역]]과 비슷하게 고립된 위치에 있어 일원동 주민들은 역에 대한 의존도가 꽤 높다. 하루 평균 18,000여 명이 타고 내리는 곳으로, 많지는 않지만 마을 규모에 비하면 적다고 할 수도 없는 수준의 이용객이 있다. 의외로 외지인이 종종 찾아오는 곳이기도 한데, [[삼성서울병원]]이 바로 이 역 근처에 있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에는 [[삼성생명]]빌딩이 들어서 수요가 증가할만한 요소를 여럿 갖추고 있는 곳이다. 삼성병원 하니까 말인데, 2015년에는 전년도에 비해 하루 평균 이용객이 1,600여 명 감소했다. 그 이유는 전국을 들썩였던 [[메르스]]의 진원지가 바로 이곳이었기 때문이다(...). == 승강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433617476_ee605a1ff1_o.jpg|width=100%]]}}} || || {{{#ffffff '''스크린도어 설치 이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8585885.png|width=100%]]}}} || || {{{#ffffff '''현재'''}}} || ||<-4> [[대청역|대청]]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수서역(수도권 전철)|수서]]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 [[도곡역|도곡]]·[[교대역(서울)|교대]]·[[충무로역|충무로]]·[[대화역|대화]] 방면 || || {{{#ffffff 하}}} ||[[수서역(수도권 전철)|수서]]·[[가락시장역|가락시장]]·[[오금역|오금]] 방면|| 역 구내에 5퍼밀의 구배가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수도권 전철 3호선의 역 목록)]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일원역(도시철도), version=13)] [[분류:1993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수도권 전철 3호선]][[분류:서울 지하철 3호선 구간]][[분류:서울 강남구의 교통]][[분류:서울특별시의 지하철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