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external/cythumb.cyworld.com/file_down.asp?redirect=%2F360029%2F2011%2F9%2F22%2F8%2Fcycameraimage%2825%29.jpg|width=300]] || || 1998년 2월부터 1999년까지 쓰인 로고 || || [[파일:슈퍼TV로고2001.jpg|width=300]] || || 1999년부터 2003년 11월까지 쓰인 로고[* 2002년 경부터 한글 로고가 얇게 변형되었다.] || || [youtube(fcJJgldhtdo)] || || 1999년 12월 12일 93회 전체 방송분 || || [[파일:슈퍼TV로고2003.jpg|width=300]] || || 2002년 11월부터 2003년 11월까지 홈페이지에서 쓰인 최후의 로고 || [목차] == 개요 == [[KBS2]]에서 [[1998년]] [[2월 22일]]부터 [[2003년]] [[11월 2일]]까지 방영했던 전 [[예능 프로그램]]. [[풀네임]]은 '슈퍼TV 일요일은 즐거워'. 본래 처음에는 일요일은 즐거워라는 이름을 썼지만 1998년 6월 15일 KBS의 TV 프로그램 부분조정으로 슈퍼TV가 추가됐다. 영문 명칭은 SUPER TV FUNNY SUNDAY.[* 로고가 변경된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오프닝이나 엔딩 무대의 LCD 화면에서는 SUPER TV '''[[해피 선데이|HAPPY SUNDAY]]'''로 표기되었다. 공교롭게도 이 프로그램의 후후속 프로그램 명칭이었다. 그리고 그 프로그램도 초창기였던 2004년에 '''"즐거운 일요일"'''을 제목 앞에 썼다. [[http://www.kbs.co.kr/2tv/enter/happysunday/view/past/1834920_90152.html|#]]] == 역사 == 통상의 프로그램과 별반 다를 것 없이 그냥 흔해빠진 고만고만한 주말 예능 프로그램 하나 정도였다가, [[2001년]]에 [[MC대격돌]]([[공포의 쿵쿵따]])의 방영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전성기를 맞게 되었다. 자세한 것은 [[공포의 쿵쿵따]] 문서로. 주요 코너는 [[MC대격돌]]([[돌격 앞으로]], [[공포의 쿵쿵따]], [[위험한 초대(KBS)|위험한 초대]]), [[출발 드림팀]], [[캠퍼스 영상가요]], [[천하제일외인구단]], [[99초 스탠바이 큐]] 등. [[2000년]]에는 [[기고만장#s-2]]이라는 '''[[시청자]]를 우롱하는 코너'''를 내보냈다가 [[호기심 천국]]에게 [[개발살]]나면서 하마터면 프로그램 자체가 종영될 뻔한 [[흑역사]]가 있다. 게다가 가학적 벌칙으로 물의도 꽤 샀고, 그 와중에 KBS 사장이 2003년 봄에 [[박권상]]에서 [[정연주(언론인)|정연주]]로 바뀌는 과정에서 예능에 공영성을 강화한다는 취지 때문에 2003년 가을에 종영되었다. 사실 공영성 강화는 표면적 이유고, 프로그램 종영의 진짜 결정타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1&oid=032&aid=0000033983|정연주 사장의 입김]] 때문.[* 사실 가학성 논란은 [[셧다운제]]처럼 일부 시민단체에서 늘상 하던 뻘소리 정도로 취급당했지만, [[정연주(언론인)|정연주]] 사장은 공익성을 강화시킨다며 방송에 시민단체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였고, 예능 뿐 아니라 다양한 방송 분야에 대대적인 개편을 가했다.] [[정연주(언론인)|정연주]] 사장은 [[한국방송공사|KBS]] 프로그램의 공익성 강화[* 이는 [[홍두표]] 전 사장 때부터 이어져 온 일종의 전통(?)이다. 지금도 KBS가 [[수신료]]를 현실화(인상)시킨답시고 툭하면 신물나게 지껄이는 [[개소리|--개--소리]]가 바로 이거다. 물론 [[현실은 시궁창]]이라서 새로 사장이 취임했다 하면 사장의 성향에 상관 없이 [[KBS 2TV|2TV]]에 공익적인 프로그램을 대거 편성시켰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서 흐지부지 되는 일이 지금도 [[현재진행형]]처럼 아주 패턴화되어 있다.]를 내세우면서 당시 KBS 예능에 대대적인 개편을 가하는 바람에 '''인기 주말 예능이 한꺼번에 세트로 종영'''되는 위업[* [[자유선언 토요일|자유선언 토요대작전]]과 일요일은 즐거워.]을 달성했다. 한편 시청자들은 잘 보고 있는 프로그램을 왜 느닷없이 종영시키냐며 항의했지만, 어쩔 수 없었다. 이후 후속 프로그램인 [[일요일은 101%]]은 [[노잼|재미도 없었거니와]][* 나름 흥행했던 코너는 [[여걸 파이브]]와 꿈의 피라미드 두 가지뿐이었다. 꿈의 피라미드는 후에 단일 프로그램으로 분리되어 방영했고, [[여걸 파이브]]는 [[해피 선데이]]로 계승되어 방영했다. 이 외에는 [[출발 드림팀]]을 특집으로나마 했던 것 정도?] 결정적으로 여러 코너들 중 하나였던 골목의 제왕에서 당초 취지에 걸맞지 않게 '''게임 중 [[성우]] [[장정진]]이 [[죽음|돌아오지 못할 먼 길을 떠나는]] 대형사건'''이 터져 가학성 논란의 정점을 찍으면서 결국 [[폭망]]... 자세한 것은 [[일요일은 101% 장정진 사망 사건]] 문서로...[* 이전에도 [[IMF 외환위기]]가 발생하면서, KBS는 [[공영방송]]의 입장에서 급격히 떨어진 국민적 사기와 침체된 사회적 분위기가 지속되는 당시의 시기상 브라운관을 통해 웃고 즐기는 연예/오락 프로그램의 편성은 적절하지 않다는 명분을 내세워 개편 시기와 관계없이 일요일은 즐거워의 전신인 슈퍼선데이를 비롯한 다수의 연예 오락 프로그램들(대표적으로 [[가요톱10]])을 서둘러 왕창 종영시킨 사례가 있었다. [[드라마]] 쪽도 약간 타격을 받았는데, 하필 외환위기 발생 직후에 첫 방영을 시작한 [[웨딩드레스(드라마)|웨딩드레스]]가 직격탄을 맞고 조기종영되었다.] 이후 '''공영성'''은 KBS 예능의 주요 목적이 되어 버렸지만, 공영성을 내세운 예능 프로그램 가운데서는 [[스펀지(KBS)|스펀지]][* 다만, 스펀지도 갈수록 자잘한 사고를 자주 일으킴과 동시에 거짓 지식 전파 등으로 인하여 [[시청률]]이 많이 하락했고, 호불호도 급속도로 많아졌다. 자세한 것은 [[스펀지(KBS)/사건 사고]] 문서로.], [[상상플러스]][* 이 프로그램도 갈수록 인기가 내려갔다.] 등을 빼면 성공한 예능 프로그램은 그다지 많은 편이 아니다. 일요일은 즐거워의 종영이 결정되었을 때 위험한 초대와 [[천하제일외인구단]]의 인기로 다시 상승세를 타고 있었기에 많은 예능 팬들이 아쉬워했다. 이후 [[일요일은 101%]]라는 희대의 흑역사를 거쳤다가, [[해피 선데이]]로 KBS 일요 예능의 계보가 다시 이어졌다.[* 이후 2019년 4월 28일로 [[해피 선데이]]가 사실상 종영되면서 지상파 옴니버스 프로그램은 모두 종영된 상황이다.] == 주요 프로그램 == === 1998년 === * 달려라! 우리엄마(1998) * 우리는 하나(1998): 초창기 진행 코너 중 하나로, 연예인들이 각종 불우한 처지에 처한 사람들을 돕는다는 훈훈한 코너. 해당 코너의 진행자는 [[서세원]]이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iYMgnpSaB5Y|관련 자료]][* 해당 방영분에는 [[안재욱]], [[김동성]], [[김재박]] 등이 출연.] [[박찬호]] 등도 이 코너에 나왔다는 이야기가 있다. 서세원이 [[출연금지 연예인]]이라서 [[서세원쇼]] 아카이브도 사실상 [[기록말살형]] 처분을 받은 선례를 감안하면 관련 컨텐츠가 포함된 일요일은 즐거워 full 방영분은 공식 아카이브([[KBS 같이삽시다]] 유튜브 등) 등에 올라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일부 [[KBS]] 유튜브 채널에 서세원이 진행을 맡은 1999 설특집 MC 대결이 올라온 경우가 있기 때문에 올라올 가능성이 아주 없지는 않다. 아니면 서세원쇼를 뺀 나머지들은 금지 자체가 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팔도 영상가요 (1998) * [[캠퍼스 영상가요]](1998~1999) * 공포체험 돌아보지마 II(1998) === 1999년 === * [[출발 드림팀]](1999~2003) * 슈퍼 도미노(1999~2000) * 1999 우리가 간다!(1999): 우리는 하나의 후속인 듯한 포맷으로, 출연한 연예인들이 사회를 위해 힘써주는 좋은 분을 찾아간 뒤, 해당 출연자가 일하는 현장에서 일도 거들어주는 포맷인 듯 하다. 우리는 하나와 달리 고정진행 MC는 딱히 없는 것으로 보인다. [[https://www.youtube.com/watch?v=a7vNmCYE0Kk|KBS 같이삽시다 아카이브 참조]]. * 휴먼체험 대장정(1999~2000) * 제1탄 사랑의 텔레파시 * 제2탄 사랑의 대화 * 청춘열전(1999): 캠퍼스 영상가요의 후속인 듯한 포맷으로, 캠퍼스 커플을 초대한 게임 형식의 포맷 === 2000년 === * 백재현의 박치기왕(2000) * [[기고만장]](2000) * [[99초 스탠바이 큐|99초 광고제작 스탠바이 큐]](2000~2001) * H.O.T의 자격지심: 2000년 11월 20일에 [[강타]]의 음주운전 사건으로 조기종방했다. * 남희석의 해피앤드(2000~2001) === 2001년 === * TV해결사 대한민국만세(2001) * 사랑의 쌀사세요 (2001) * [[유리의 성#s-4]] (2001) * [[MC대격돌]](2001~2003) * [[돌격 앞으로]] * [[공포의 쿵쿵따]] * 운명의 바퀴 * [[위험한 초대]] === 2002년 === * 병아리 퀴즈왕 * 가문의 영광 === 2003년 === * 건강레슬링 챔피언 * [[천하제일외인구단]] [[분류:일요일은 즐거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