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대한민국 중앙선의 역, rd1=일신역)] {{{+1 日新驛 / Ilsin Station}}} ||<-3> {{{+2 '''일신역'''}}}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함경남도 일신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Ilsin || || [[한자]] ||<-2><|2> 日新 || || [[중국어]] || || [[일본어]] ||<-2> [ruby(日, ruby=イル)][ruby(新, ruby=シン)] || ||<-3> '''주소''' || ||<-3> [[함경남도]] [[단천시]] 봉화리 || ||<-3> '''관리역 등급''' || ||<-3> 불명[br](함흥철도총국) || ||<-3> '''운영 기관''' || || [[평라선]]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3> '''개업일''' || || [[함경선]] ||<-2> [[1924년]] [[10월 11일]] || ||<-3> '''열차거리표''' || || [[평양역|{{{#585858 {{{#!html
평양 방면
}}}}}}]][[룡대역|룡 대]][br]← 6.8 ㎞ || '''[[평라선]]'''[br]일 신 || [[라진역|{{{#585858 {{{#!html
라진 방면
}}}}}}]][[만춘역|만 춘]][br] 7.7 ㎞ → || [목차] [clearfix] == 개요 == [[평라선]]의 철도역. [[함경남도]] [[단천시]] 봉화리 소재. == 상세 == [[함경남도]]와 [[함경북도]]의 경계에 위치하는 역이다. [[룡대역]]과 마찬가지로 이 역도 광천군에 소속되었다가 1974년 광천군이 단천군으로 편입되면서 넘어온 케이스. 일신이라는 지명은 이 인근에 있었던 지명인 [[함경북도]] [[학성군]] 학남면 일신동에서 유래. 마을이 참 위치가 애매한데, 잘 숨어 있다면 잘 숨어 있고, 외딴 곳이라면 외딴, 그런 마을이다. 쉽게 말해서 험준한 마천령산맥이 북쪽과 서쪽으로 방어막을 치고 있고 동쪽으로는 역과 바다의 거리가 불과 180m로 직빵이다. 평라선 아니었으면 틀림없이 완전 시골로 발전도 못 하는 그런 마을이었을 것이다. [[여해진역]]을 출발해서 [[룡대역]]을 지나면 갑자기 터널신공이 여러 곳에서 발휘되다가 해안이 나온다. 그게 이 역 일대. 그리고 이 역을 출발하면 해안 따라 20m까지 붙어서 열차가 운행하다가 또다시 터널신공을 여러 군데에서 만나게 된다. 길이만 해도 1km에 가까운 터널이 두세 개는 되고 500m 정도의 터널도 두세 개는 옵션으로(...) 딸려붙으니 진정한 해안터널의 진수. 참고로 이 모든 터널을 사이에 두고 있는 [[만춘역]]과의 거리는 불과 7.3km이다. 승강장은 두 역 모두 작은 수준. 이 역은 1면 3선, 만춘역은 1면 2선이다. 중요한 사실이 하나 더 있는데, 이 역이 바로 함흥철도총국의 분기점. 이 역 이후로는 청진철도총국 소속이다. 다시 말해서 '''이 역을 지나가면 드디어 함경북도로 진입한다.''' 그런데 광복 당시에는 이 역 전인 용대역부터 함경북도였다. [[평양역]] 기점 524.6km. == 여담 == 12월 중순에 방문한 남북 철도 공동조사단에 따르면 영하 16도까지 떨어지고 50∼60㎝의 눈이 와 무릎까지 빠질 정도였다고 한다. [[분류:평라선]][[분류:1924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북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