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nn20090616i1a.jpg]] || [목차] [clearfix] 日本経済団体連合会 / Japan Business Federation[* 일본 국내에서는 Keidanren 표기를 많이 사용] == 개요 == [[https://www.keidanren.or.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2]]]] [[https://www.youtube.com/channel/UCn55bE6g5u1qgAOtLPiCJS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eidanren, 크기=22)] [[https://www.facebook.com/keidanre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줄여서 '''경단련 /케이단렌'''([ruby(経,ruby=けい)][ruby(団,ruby=だん)][ruby(連,ruby=れん)])이라고도 한다. 일본 최대 경제인 단체이며, 한국의 [[전경련]]과 비슷하다. 본래 전경련을 설립할 때의 모티브도 이 일본경제단체연합회에서 따왔다. 주요 역할은 회원사로부터 정치자금을 모금해서 일본 정치권(주로 보수우익)에 전달하는 것이다. [[55년 체제]]가 성립된 이후 수십년간 [[자유민주당(일본)|자민당]]에 회원사로부터 모금한 엄청난 거액을 후원하면서 이 정치자금을 미끼로 하여 대기업에 유리한 정책을 만들도록 온갖 압력을 행사해왔다. 그러나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이 집권한 [[2010년]] 이후 공식적인 정치자금 모금은 중단하였다. 하지만 여러 경로를 통해서 대기업의 이익을 대변하는 [[압력단체]]인 것은 여전하다. 2018년에 회장 집무실에 PC를 도입했다고 한다. 그러니까 이전까진 PC도 없었다는 소리(...) 다만 이런 경제단체 회장직은 비상근인 경우가 대부분으로 실제 집무를 거의 보지 않기 때문에 PC가 없는게 어찌보면 당연하다.[* 일본은 이렇게 명목상 1인자는 명예직이고 명목상 2인자가 실권자인 경우가 상당히 많다. 당장 일본 정부가 그러하며(천황 - 내각총리대신), 기업에서도 회장은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 원로가 앉는 자리고 사장이 실제 경영의 책임자인 경우가 많다. 단체나 협회 등도 마찬가지이며, 국영 단체의 경우에는 아예 명목상의 단체장으로 황족을 임명하기도 한다.] 상근부회장이 실질적으로 회장직에 해당한다. == 사건사고 == * 1977년 경단련 회장실을 우익 단체가 총을 들고 점거한 후 12명의 직원을 인질로 붙잡고 인질극을 벌였다. 이들은 [[미시마 유키오]]를 존경했기 때문에 미시마 유키오의 부인인 히라오카 요코가 설득을 해서 자수시켰다. 이 때문에 [[시큐리티 폴리스]]가 2010년까지 경단련 회장을 민간인으로서는 유일하게 경호를 하고 있었다. == 관련 문서 == * [[단체 관련 정보]] [[분류:경제 관련 단체]][[분류:일본의 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