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러시아 관련 문서)] ||<-5> {{{+1 '''[[1908년|{{{#fff 1908년}}}]] [[노벨생리의학상|{{{#fff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 ||<-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width=220]] || ||<-5> [[노벨생리학·의학상/수상자|{{{#fff '''수상자 전체 목록 보기'''}}}]] || || 1907년 ||<|2> → || 1908년 ||<|2> → || 1909년 || || 샤를 루이 알퐁스 라브랑[* [[질병]] 유발 [[원생동물]] 연구.] || '''일리야 메치니코프'''[br][[파울 에를리히]] || 에밀 테오도어 코허[* [[갑상선]] 연구] || ||<-2>
'''{{{#white {{{+2 Илья́ Ильи́ч Ме́чников}}} [br]{{{+1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메치니코프.png|width=100%]]}}} || || {{{#white '''본명'''}}}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 || ||<|2> {{{#white '''출생'''}}} ||[[1845년]] [[5월 15일]] || ||[[러시아 제국]] 하리코프 [br] (現 [[우크라이나]] [[하르키우]]) || ||<|2> {{{#white '''사망'''}}} ||[[1916년]] [[7월 15일]] (향년 71세) || ||[[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 || || {{{#white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제국)] || || {{{#white '''분야'''}}} ||[[생물학]], [[면역학]], [[세균학]] ||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의 생물학자이자 세균학자. 1908년 [[식세포작용]]을 발견한 공로로 [[파울 에를리히]]와 '''노벨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 생애 == 1845년 [[러시아 제국]]의 [[하르키우주|하리코프 현]][* 현재의 [[우크라이나]] [[수미주]], [[루한스크주]]도 일부 포함.]에서 태어난 그는 어릴 때부터 [[과학]]에 관심이 많았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863년 [[하르키우 대학교]]에서 생물학을 배우다가 1864년 [[헬리고랜드]]로 넘어가 해양 생물에 대해 연구하고자 했다. 1867년 [[오데사]]대학에서 강의를 시작했으며 [[동물학]] 교수로 임명되었다. 1875년 Olga Belokopytova와 재혼했으며[* 그의 첫 부인은 [[폐결핵]]에 걸려 1873년 사망했다.] 계속되는 연구활동을 행했다. 1882년에 오데사 대학을 퇴임했으며 개인 실험실을 운영했다. 그 후 1886년에는 오데사에 [[백신]] 연구소를 설립했지만 재정상의 어려움으로 2년 뒤 문을 닫고 말았다. 그 후 1908년 [[식세포작용]]을 발견한 공로로 [[파울 에를리히]]와 노벨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으며 이후로도 [[유산균]]과 그 효능을 발견하는 등 계속적으로 [[미생물]]을 연구했다. 그러다가 1914년 [[제1 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 모든 연구 활동을 중단했으며 2년 뒤인 1916년 [[프랑스 파리]]에서 사망했다. == 연구 == 1888년 그는 [[불가리아]]에 유독 장수하는 사람이 많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곧바로 그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불가리아인]]들이 [[요거트]]를 많이 먹는다는 것을 알고, 그 요거트에 어떠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그 결과 특정 [[세균]]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고, 그 세균은 [[노화]] 방지, 외부의 해로운 물질 분해 등의 작용을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이 세균을 [[유산균]](''Bifidobacterium infantis'')이라고 명명했으며 1907년 유산균의 섭취로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생명 연장"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그러나 메치니코프의 진가는 요거트 연구가 아닌 면역학에서 드러난다. 1882년, [[로베르트 코흐]]가 결핵균을 찾아내는 데 성공하자, 전처가 결핵으로 사망했던 메치니코프는 이에 감명을 받고 면역에 대한 연구를 착수한다. 이후 연구에 적합한 해양생물들이 많은 이탈리아 메시나에서 연구 끝에 '몸 속에서 단세포생물이 병원체를 소화한다'는 사실을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단세포생물같은 원시적인 생명체는 침입한 물질을 먹으면서 자기소화를 하는데, 이게 진화하면서 인간의 면역계가 되었다는 것. 메치니코프는 추가 연구를 통해 [[불가사리]]에 가시를 찔러넣자 특정한 세포가 [[병균]]을 잡아먹는 현상을 발견, 곧바로 연구에 착수했고 이러한 세포를 [[포식세포]](phagocyte)라고 명명했다. 이를 토대로 메치니코프는 '세포가 면역작용을 한다'라는 사실을 세상에 알렸고, 클라이넨버그와 피르호 등의 지원으로 이같은 사실이 세상에 퍼진다. 당시에는 염증반응에 식세포가 붙어있는 것을 보고 식세포가 병의 원인이라고 생각했으나 정반대의 의견을 내놓은 혁신이었다. 메치니코프는 이후 [[광견병]] 백신을 개발한 [[파스퇴르]]를 만나 1886년 6월, [[오데사]]에서 파스퇴르가 추진한 세균학 연구소의 대표직을 맡았다. 당시 메치니코프는 러시아 당국에 반동분자로 찍혀서 연구소를 구하기 어려워서 대표직을 환영했다고. 백신 연구 중 판카예프 사건 등 잇따른 부작용이 튀어나오고, 콜레라로 수슬리키(땅다람쥐)의 개체수를 조절하려는 연구가 중단당하는 등 갖은 문제로 세균학 연구소를 떠난다. 이후 프랑스 파리의 파스퇴르 연구소에서 연구를 이어나가다가 파스퇴르로부터 연구소를 물려받고 연구를 계속한다. 그러나 동물학자 출신이었던 메치니코프가 주장한 세포가 면역작용을 한다는 이론은 당시 의학계에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우리 몸에서 뭔가가 자연적으로 나와 병을 물리친다는 것은 [[히포크라테스]] 때나 통했던 그때는 사장되었던 이론이었기 때문. 그렇게 학계는 [[로베르트 코흐]] 등이 주도하는 체액설과 메치니코프가 주장하는 세포설로 양분된다. 체액설은 면역의 근원이 혈청에 있다는 것으로, 지금은 [[항체]]로 밝혀져있다. 두 학파는 팽팽하게 맞서 싸웠다. 왜냐하면 동물에 병원균을 주입할 때마다 결과가 달라졌기 때문이었다. [[에밀 아돌프 폰 베링]]이 [[디프테리아]] 혈청을 발견하고, 유기화학자 출신 [[파울 에를리히]]가 항체의 구조를 밝혀내고 디프테리아를 항체를 이용해 최초의 화학요법으로 치료해내는 등 상당한 위협을 받았다. 그러나 메치니코프는 공격을 받을 때마다 자신의 이론이 옳다고 계속 고수하며 연구를 수행해 이론을 지켜냈다.[[https://m.post.naver.com/my/series/detail.naver?memberNo=29381200&seriesNo=385703&prevVolumeNo=10466876|메치니코츠와 면역]] 그러나 대세는 체액설로 기울고, 메치니코프에게 노화가 찾아오면서 메치니코프는 노화 연구에 빠져들게 된다. 이때 나온 게 발효유 연구. 아이러니하게도 면역학이 아니라 발효유로 더 유명해졌다. 메치니코프 사후 몇십년 동안 세포설은 체액설에게 뒷전으로 밀렸다. 체액설(항체)에 기반한 치료제가 더 만들기 쉬웠던 게 한 몫 했다. 대신 T세포와 B세포 등이 발견되는 성과를 거둔다. 그리고 2011년 세포설을 연구한 학자들이 노벨상을 탄 시점을 전후로 메치니코프의 세포설은 다시 부활하게 된다. == 여담 == * 부계 조상이 [[루마니아인|루마니아계]]이다. * 그의 형 이반 일리치 메치니코프는 러시아 툴라 지방 법원의 검사였는데, 심한 화농성 감염증에 걸려 1881년 6월 2일에 45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그의 죽음에 얽힌 이야기가 모티프가 되어 창작된 소설이 바로 [[톨스토이]]의 대표작 중 하나인 [[이반 일리치의 죽음]]이다. * [[한국야쿠르트]]의 제품 중 그의 이름을 따서 만든 요구르트를 생산, 판매한다. [[메치니코프]] 문서 참고. * 유산균에 대해 발표를 한 이후 실제로 그는 매일 [[요거트]]를 섭취했으며 그 결과 71살에 사망했다. 그 당시의 평균 수명이 60살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71살은 상당히 장수한 편이다. 이게 요거트 때문이라는 증거는 없지만 말이다. * [[아돌프 히틀러]]의 주치의 [[테오도어 모렐]]이 그의 제자이다. * 현재 대한민국 등 해외에서는 메치니코프를 면역에 대한 연구 성과는 다 잊어버리고 [[요거트]] 정도로만 알고 있다. 나무위키에서도 한때 문서의 절반이 요거트 관련이었다. * 다만 모국인 [[소련]]에서는 메치니코프를 사실인데도 의심스러울 정도로 과대포장하듯 띄워주며 가르쳤다고 한다. 레닌이 구국의 영웅이라고 띄워주고 연구소마다 메치니코프의 초상화가 걸렸으며, 그의 이름을 딴 연구소와 병원도 생기고 지역 이름을 '메치니코보'로 붙이기도 했다. 러시아의 1세대 면역학자들이 죄다 메치니코프의 제자였고, 러시아의 노벨상 수상자가 메치니코프랑 [[파블로프]]밖에 없던 것도 이유 중 하나. 다만 실제로는 돈 많은 부르주아에 가까웠기 때문에 소련 건국 때까지도 살아있었다면 부르주아라며 숙청당했을 거라고. [[분류:러시아의 생물학자]][[분류:노벨생리학·의학상 수상자]][[분류:1845년 출생]][[분류:1916년 사망]][[분류:하르키우 대학교 출신]][[분류:괴팅겐 대학교 출신]][[분류:뮌헨 대학교 출신]][[분류:하르키우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