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일렉트릭블루2.jpg|width=300]]|| ||||||||||<#FF6600><:>'''일렉트릭 블루 타란툴라'''|| |||||| Electric-blue tarantula ||||이명 : 일렉트릭 블루|| ||||||||||<:><#FF9966>''' ''Chilobrachys natanicharum'' '''[br]Chomphuphuang et al., 2023|| ||<|10><#FFCC66>분류|| ||[[생물 분류 단계#s-3.2|계]]||||||[[동물계]]|| ||[[생물 분류 단계#s-3.3|문]]||||||[[절지동물문]](Arthropoda)|| ||[[아문]]||||||[[협각아문]](Chelicerata)|| ||[[생물 분류 단계#s-3.4|강]]||||||거미강(Arachnida)|| ||[[생물 분류 단계#s-3.5|목]]||||||거미목(Araneae)|| ||[[아목]]||||||원실젖거미아목(Mygalomorphae)|| ||[[생물 분류 단계#s-3.6|과]]||||||짐승빛거미과(Theraphosidae)|| ||[[생물 분류 단계#s-3.6|속]]||||||[[킬로브라키스]]속(''Chilobrachys'')|| ||[[생물 분류 단계#s-3.6|종]]||||||'''일렉트릭 블루 타란툴라'''[br](''C. natanicharum'')|| [[파일:일렉트릭블루1.jpg|width=300]] == 개요 == [[킬로브라키스]] 속에 속하는 [[타란튤라]]. 보통 '''일렉트릭 블루'''로 불린다. 발견되지 오래 되지 않은 신종으로, 2013년 [[태국]] 카오속 국립공원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https://blog.naver.com/wyben/220950112841|원래 '킬로브라키스 카오속(''Chilobrachys'' sp."Khao sok")으로 불렸지만, 하비 시장에 소개되면서 '일렉트릭 블루'라는 이름을 부여받았다.]] 이름처럼 다리 안쪽에 메탈릭 블루 빛을 띄는 것이 특징. [[파일:일렉트릭블루3.jpg|width=300]] [[버미즈 머스타드 버드이터]]만큼 커다란 크기와 아름다운 체색으로 인기가 굉장히 높은 편. 수입 초창기에는 유체 가격이 20~30만원을 호가하는 등 굉장히 비싼 타란튤라였으나, 활발한 브리딩으로 가격대가 많이 낮아졌다. 그래도 유체 가격이 5~10만원대로 킬로브라키스 중에서는 가장 높은 가격을 자랑하며 더 저렴해지지는 않으며 가격이 유지되다가 현재는 2~3만원 정도로 많이 줄었다, 성격이 사납고 재빠르지만 강인한 생명력에 먹성이 상당히 좋고 성장 속도가 빠른 편이다. 다른 킬로브라키스와 다르게 버로우성을 띈다.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6661699&memberNo=156429|발견된 지 10년 만인 2023년 최초로 정식으로 된 학명을 부여받았다.]] 학명은 ''Chilobrachys natanicharum''. [[분류:짐승빛거미과]][[분류:애완동물/거미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