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 * [[일본]]의 [[섬]] : '''[[이키 섬]]''' ---- Weather Map, Weather Chart 日氣圖 [목차] == 개요 == 넓은 지역의 [[날씨]]를 한 눈에 알아볼 수 있게끔 제작된 그림으로, 일반적으로 [[지도]] 위에 기호로써 표시된다. 맑음, 흐림과 같은 간단한 운량(구름의 양) 관련 정보부터 풍향, 풍속, 기압, 기온, [[전선(날씨)|전선]] 등을 나타낸다. 시간은 [[UTC]]를 기준으로 작성된다. == 역사 == 최초의 근대적인 일기도는 1820년 [[독일]]의 [[물리학자]]인 [[하인리히 브란데스]]가 과거의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1783년 3월 6일의 일기도를 제작한 것이 시초로 여겨진다. 이후 국가 주도의 최초 일기도는 [[크림 전쟁]] 직후 [[프랑스]]에서 시행하였다. == 제작 과정 == 각지의 [[기상 관측소]]에서 그 지역의 [[기온]], [[기압]], [[풍향]] 등의 기상 요소를 관측하거나, [[라디오존데]], [[레윈존데]]나 [[인공위성]]로 관측한 자료를 종합한 후, 이를 지도 위에 기호로 표시하여 제작한다. 이때 [[기상예보관]]의 검수를 거쳐 나온다. 수십 년 전만 해도 손으로 직접 그렸으나[* [[기상캐스터]] [[김동완(1935)|김동완]] 옹이 1980년대에 TV로 일기예보를 전하면서 빈 세계지도에 매직으로 등압선과 기압을 직접 그려가면서 일기도를 보여준 바 있다.] 최근에는 컴퓨터로 제작되며 이후에 사람이 보정하는 식으로 작성된다. == 일기도의 종류 == 일기도는 그 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가장 대중적으로 많이 쓰이는 일기도는 [[지상 일기도]]로, 지상에서 관측한 기압, 기온, 풍향, 풍속 등이 들어간다. 기상청에서는 세 시간 간격의 일일 지상 일기도가 제공된다. 기상 관측 특성상 지표면에서의 기상 외에도 상층의 기상 요소도 필요하므로, [[기상청]]에서는 [[상층 일기도]](고층 일기도)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상층 일기도에는 925hPa(고도 약 810m), 850hPa(약 1500m), 700hPa(약 3000m), 500hPa(약 5580m, 대류권 중층), 300hPa(약 9180m, 대류권 상층), 200hPa(약 11760m), 100hPa(16200m) 일기도가 있다. 각각의 일기도는 다양한 이유로 사용되는데, 가령 [[제트류]]의 경우는 300hPa나 200hPa의 일기도에서 잘 관찰된다. 어느 지역에서의 연직 방향의 일기를 기록하고 싶다면 수직 일기도를 사용한다. [[분류:기상 관측]][[분류: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