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영국의 이념)] [include(틀:영국 보수주의 관련 문서)]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벤저민 디즈레일리.png|width=100%]]}}} || ||<-2> {{{+3 {{{#FFF '''일국 보수주의'''}}}}}}[br]{{{#FFF '''One-nation conservatism'''}}} || || '''창립자''' ||[[벤저민 디즈레일리]]|| || '''성향''' ||[[중도주의|중도]] ~ [[중도우파]]|| || '''이념''' ||[[가부장적 보수주의]][br][[온건 보수주의]][br][[진보적 보수주의]][br][[계급협조]] || [목차][clearfix] == 개요 == [[영국]]의 [[보수당(영국)|보수당]]에서 탄생한 개념으로 [[진보적 보수주의]], [[가부장적 보수주의]]와 연관이 있으며 보수주의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노동, 사회 복지에 관심을 가지는 등 사회적, 경제적으로 온건/개혁적 성향을 보인다.[* 처칠의 토리 민주주의 이후 보수당 복지주의로 공식화되었다.] 현대에 와서는 온건 보수주의 이념의 일종으로 평가받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Red Tory를 비롯한 영국 보수당 온건파들이 주로 주창한다.] 다른 말로는 '''일국주의'''(one-nationism), '''토리 민주주의'''(Tory democracy)[* 노동계급의 지지를 강조했던 [[윈스턴 처칠]] 시대의 용어다.], '''토리 복지주의'''(Tory Welfarism)이라고 불린다. 후술할 신우파 드라이즈(Drys)와 대조해서 '''웨츠(Wets)'''라고도 불렸다. 그래서 한국이나 미국과 달리 영국에서는 1870년대 이후 100년간 지속되어 온 전통적 보수주의이며, 1970년대 이후로 [[마가렛 대처]]를 기수로 급부상한 [[뉴라이트|신우파]]가 신보수주의다. 한국으로 치면 소위 '''따뜻한 보수'''라고 칭해지는 개념과 비슷한 뉘앙스를 가지지만, 시대나 사회상이 다른만큼 뜯어보면 또 완전히 같지는 않다. 전통적 일국 보수주의는 [[자유주의]] 우파보다 '''[[공동체주의]] 우파'''에 더 가깝다는 평이 많다. == 역사 == || [[파일:스탠리 볼드윈.jpg|width=200px]] || [[파일:external/acurator.com/Karsh_Churchill_Smile.jpg|width=225px]] || || {{{#black {{{-2 [[스탠리 볼드윈|{{{#black '''스탠리 볼드윈'''}}}]]}}}}}} || {{{#black {{{-2 [[윈스턴 처칠|{{{#black '''윈스턴 처칠'''}}}]]}}}}}} || ||<-2> [[파일:boris-cameron-768x538.jpg|width=300px]] || ||<-2> {{{#black {{{-2 [[보리스 존슨|{{{#black '''보리스 존슨'''}}}]]과 [[데이비드 캐머런|{{{#black '''데이비드 캐머런'''}}}]]}}}}}} || 해당 개념은 19세기 영국 보수당의 온건파 인물이였던 [[벤자민 디즈레일리]] 총리가 어느 한 계급의 이익을 옹호하는 정당이 아니라 국민 모두 정당임을 표방한 '''"하나의 국민(one nation)"'''을 외치며 처음으로 주창했다. [[차티스트 운동]] 등으로 선거권, 참정권 확대 요구하는 민중들의 목소리가 커져가자 당시 디즈레일리는 토지를 소유하던 [[젠트리]] 계급과 일부 [[자본가]]들에게만 한정되어 있던 선거권을 도시 민중과 [[노동자]] 계급에게도 부여했고, 전체 (남성)유권자 비율을 80% 이상 끌어올리는 결과도 받아들이며 사회문화적으로 꽤나 진보적인 요소를 품어 [[진보적 보수주의]]라고 보기도 한다. 디즈레일리는 [[제국주의]]를 옹호했고 딱히 사회주의자도 아니었지만, 매우 친[[노동]]적인 스탠스의 정치인이긴 했다. [[유대인]] 출신이기도 했던 그는 과격한 [[자유방임주의|자유방임주의(Laissez-faire)]]와는 거리를 두고 도시민중, 노동자 계급을 위한 온정적인 [[복지]] 확대를 추구했다.[* 공공보건 법안, 섬유산업 노동자들의 하루 노동시간을 9시간 반으로 줄이는 공장법(1874)과 10세 이하 아동고용을 금지하는 공장법(1878)이 대표적인 예이다. --그전까지는..--] 또 [[보호무역]]을 중시해 당시 [[자유무역]]을 선호하던 [[로버트 필|필파]]와 갈등을 빚기도 했다. 이러한 그의 철학을 다수 계승한 영국의 일국 보수주의는 대처리즘이 등장하기 이전까지 보수당의 주류 이념으로 이어져왔고, 실제 2차 대전 이후 영국 보수당은 자유당~노동당 수준까진 아니여도 전후 복구와 민중의 지지를 얻기 위해 전국민 의료보험과 빈곤층, 노동층에 대한 온정적인 접근, 일정한 시장 개입을 선호했다. 허나 이런 성향은 1970년대 이후 경제적 방임주의 등을 내세우며 성장한 [[신우파]]를 중점으로 한 [[대처주의]]자들에겐 당연히 거부감을 일으켰다.[* 오죽하면 경제적 자유주의 성향이 있던 상대당의 [[글래드스턴 자유주의]]를 고평가하는 사람도 있을 정도다.] 이때부터 일국보수주의는 한동안 보수당 강경파에 주도권을 내주게 되지만, [[2010년대]] [[데이비드 캐머런]]이 주축이 되면서 다시 주요 계파로 활동하고 있다. [[테레사 메이]], [[조지 오스본]] 역시 [[데이비드 캐머런]]과 비슷한 당내 중도파이다. [[일국 보수주의(코커스)]] 항목 참조. 다만 [[데이비드 캐머런]]과 [[조지 오스본]]의 경우, 경제적 자유주의에 대한 지지 정도 측면에서 대처주의와 대립하던 일국 보수주의와는 거리가 있다. 보수당 내각의 총리와 재무장관으로 재임했을 당시, 캐머런과 오즈본은 전통적 일국 보수주의보다는 [[재정보수주의]]와 [[경제적 자유주의]] 노선에 입각하여 정부지출 억제, 감세, 규제완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데이비드 캐머런#s-2.4]], [[조지 오스본#s-2.4]] 항목 참조. 그러나 캐머런의 경우 최저임금 대폭 인상과 그에 기업협조 요구 등의 정책도 폈다. == 여담 == 가끔 '디즈레일리주의'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나, 일국 보수주의도 거의 2세기 가량 시대가 흐르면서 여러 변형과 시대상에 맞는 변화를 추구해왔기 때문에 완전히 똑같은 개념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가령 전통적인 디즈레일리주의는 [[우익 사회주의]]나 [[가부장적 보수주의]][* 다만 여기서 말하는 가부장제는 현대 페미니스트들이 말하는 권위주의적 [[가부장제]]라기보다는 [[부성애]]적인 아버지의 태도처럼, 사랑을 주고 따뜻하게 베푼다는 의미에 더 가깝다. 물론 좌파적 시각에서 보면 이것부터가 시혜적인 잣대로 보는 스탠스라고 비판할 수도 있긴 하다.]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현대의 일국 보수주의자들은 우익사회주의나 전통적 맥락에서의 '가부장적' 면모가 약한 편이다. 다만 디즈레일리의 사회복지 옹호와 강자의 의무 강조 측면에서의 [[가부장적 보수주의]]의 [[진보적 보수주의|진보적 요소]]는 그대로 계승했다. == 인물 == * [[에드먼드 버크]] * [[벤저민 디즈레일리]] * [[네빌 체임벌린]] * [[앤서니 이든]] * [[해럴드 맥밀런]] * [[에드워드 히스]] * [[존 메이저]] * [[데이비드 캐머런]] * [[테레사 메이]] * [[조지 오스번]] * [[보리스 존슨]][* 우익포퓰리즘적 성격은 있지만 애초에 일국 보수주의는 [[자유보수주의]]와 달리 [[문화적 자유주의]]를 지향하지 않고 [[사회보수주의]]인 경우도 있다. (물론 일국 보수주의=/=영국 사회보수주의) 보리스 존슨은 친노동적이고 계급간 안정을 중시하는 일국 보수주의자로 정의된다.] * [[페니 모돈트]] * [[제러미 헌트]] == 같이 보기 == * [[중도우파]] * [[가부장적 보수주의]] * [[진보적 보수주의]] * [[보수주의/분파]] * [[사회보수주의]] * [[공동체주의]] * [[근력 자유주의]] - [[데이비드 캐머런|캐머런]]식 일국 보수주의와도 연관 있다. * [[기독교 민주주의]] - 공동체주의적 중도우파라는 점에서 다른 유럽 국가들의 기독교 민주주의가 영국의 일국 보수주의와 유사하다는 평을 받기도 한다. * [[록펠러 공화당]] - 일각에서는 록펠러의 사상이 영국의 일국 보수주의와 유사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다만 록펠러 공화당은 좀 더 리버럴한 성향으로 일국 보수주의와는 철학적인 관점에서부터 차이점도 제법 있다. 애초에 입헌군주제인 영국과 공화정인 미국의 태생적 차이도 있고. * [[레드 토리]] - [[보수당(캐나다)|캐나다 보수당]]의 계파로, 영국에서 '일국보수주의자'를 가리키는 표현과 같다고 보면 된다. * [[글래드스턴 자유주의]] - 당시 일국 보수주의와 이념적 라이벌. == 둘러보기 == [include(틀:보수주의)] [include(틀:벤저민 디즈레일리)]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사회보수주의, version=367)] [[분류:벤저민 디즈레일리]][[분류:보수주의/분파]][[분류:온건 보수주의]][[분류:가부장적 보수주의]][[분류:진보적 보수주의]][[분류:영국의 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