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곱 개의 대죄(만화))] ||<-2>
'''[[넷플릭스|{{{#ffffff 넷플릭스 오리지널}}}]]'''[br]{{{#ffffff,#ffffff '''{{{+1 일곱 개의 대죄: 분노의 심판}}}''' (2021)[br]七つの大罪 憤怒の審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일곱개의대죄분노의심판_애니키비주얼.jpg|width=100%]]}}} || ||<-2>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ffffff,#ffffff 장르}}}''' ||[[판타지]], [[능력자 배틀물|능력자 배틀]] || || '''{{{#ffffff,#ffffff 원작}}}''' ||[[스즈키 나카바]] || || '''{{{#ffffff,#ffffff 감독}}}''' ||[[니시자와 스스무]] || || '''{{{#ffffff,#ffffff 시리즈 구성}}}''' ||이케다 린타로(池田臨太郎)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캐릭터 설정}}}''' ||[[니시노 리에]] || || '''{{{#ffffff,#ffffff 서브 애니메이션 캐릭터 설정}}}''' ||아오키 마호(あおきまほ) || || '''{{{#ffffff,#ffffff 프롭 설정}}}''' ||안지키 케이(安食 圭) || || '''{{{#ffffff,#ffffff 미술 감독}}}''' ||<|2>카와이 야스토시(河合泰利) || || '''{{{#ffffff,#ffffff 미술 설정}}}''' || || '''{{{#ffffff,#ffffff 색채 설계}}}''' ||노보리 하루코(のぼりはるこ) || || '''{{{#ffffff,#ffffff 촬영 감독}}}''' ||아오키 타카시(青木孝司) || || '''{{{#ffffff,#ffffff 편집}}}''' ||우치다 메구미(内田 恵) || || '''{{{#ffffff,#ffffff 음악}}}''' ||[[사와노 히로유키]][br][[야마모토 코타|KOHTA YAMAMOTO]][br]와다 타카시(和田貴史) || || '''{{{#ffffff,#ffffff 음향 감독}}}''' ||요코타 치카코(横田知加子) || || '''{{{#ffffff,#ffffff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이가라시 히데유키(五十嵐秀幸)[br]호리코시 마사루(堀越 大)[br]타나카 히로타카(田中宏孝)[br]히로베 타카유키(廣部琢之)^^[[테레비 도쿄]]^^[br]엔도 테츠야(遠藤哲哉)[br]카나니와 코즈에(金庭こず恵) || || '''{{{#ffffff,#ffffff 치프 프로듀서}}}''' ||후루카와 신(古川 慎)[br]후루오 소타(古尾宗太)[br]카세 마사토(加瀬直人)[br]나베이와 아키코(鍋岩晶子)[br]하세가와 요시노리(長谷川嘉範) || || '''{{{#ffffff,#ffffff 프로듀서}}}''' ||타카바야시 요스케(高林庸介)^^[[테레비 도쿄]]^^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카도 타카하루(門 貴治)[br]사카모토 케이스케(坂本佳亮)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 딘]][* 본래 맡기로 한 제작사는 AQUA ARIS였으나, 사정으로 다시 스튜디오 딘으로 변경되었다.]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제작협력}}}''' ||마비 잭(マーヴィージャック) || || '''{{{#ffffff,#ffffff 제작}}}''' ||[[테레비 도쿄]][br]일곱 개의 대죄: 분노의 심판 [[제작위원회]] || || '''{{{#ffffff,#ffffff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21년 1월|2021. 01. 13.]][* 방영 1주 전인 1월 6일에는 스페셜 방송이 방영되었다.] ~ 2021. 06. 23. || || '''{{{#ffffff,#ffffff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테레비 도쿄]] / (수) 17:55 || || '''{{{#ffffff,#ffffff 스트리밍}}}''' ||[[넷플릭스]] [[https://www.netflix.com/title/80050063|▶]]^^독점^^ || || '''{{{#ffffff,#ffffff 편당 러닝타임}}}''' ||24분 || || '''{{{#ffffff,#ffffff 화수}}}''' ||24화 || || '''{{{#ffffff,#ffffff 시청 등급}}}'''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25]] {{{#373a3c,#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 || '''{{{#ffffff,#ffffff 관련 사이트}}}''' ||[[https://www.7-taizai.ne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7_taizai)]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즈키 나카바]]의 만화 [[일곱 개의 대죄]]를 원작으로 하는 [[일곱 개의 대죄/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시리즈]] 중 제4기. 감독은 [[니시자와 스스무]],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21년 1월|2021년 1월]]. == 공개 정보 == [[일곱 개의 대죄: 신들의 역린|3기]] 최종화 종료 후 곧바로 4기의 제작 CM이 떴다. 본래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20년 10월|2020년 10월]]을 예정하고 있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여파로 제작에 차질을 빚어 방영이 [[애니메이션/2021년 1월|2021년 1월]]로 연기되었다. [[https://7-taizai.net/news/18/|#]] PV 퀄리티부터 문제있어 보였던 [[일곱 개의 대죄: 신들의 역린|3기]]와 마찬가지로 4기 PV 영상은 전부 과거작인 3기의 장면을 전부 재탕해서 썼다. 재탕 장면들이기 때문에 개선점은 확인할 수 없으며 연출방식 또한 그대로다. 무엇보다 '''[[니시자와 스스무]] 감독을 포함한 모든 제작진들이 3기와 전부 같기 때문에''' 더더욱 작붕우려가 커지고 있다. 초기에는 [[일곱 개의 대죄(애니메이션 1기)|1기]], [[일곱 개의 대죄: 계명의 부활|2기]]를 제작한 [[A-1 Pictures]]와 협업을 했었던 '''AQUA ARIS가 제작을 맡게 되었으나 이내 사정으로 인해 다시 스튜디오 딘으로 변경되었다고 한다.''' 한국에서는 일곱 개의 대죄 시리즈를 줄곧 수입해오던 [[애니플러스]]에서 판권을 가져가지 않았는데, 문의 결과 일곱 개의 대죄가 포함되지 않은 신작 라인업이 최종버전이라고 답변하였다. 아무래도 판권사와의 계약이 무산된 듯. 결국 애니플러스에서 방영되지 않는 것이 확정되었다. 결국 [[애니맥스 코리아]]와 [[대원방송]] 신작 리스트에도 포함되지 않으면서 미방영작이 되었다. 대신 한국 [[넷플릭스]]에서 판권을 들여와 스트리밍 서비스 예정에 있다. === PV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YnwjK5VxoNM, width=100%)]}}} || || '''제작결정 PV'''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nvIq06q9fAo, width=100%)]}}} || || '''PV 제1탄'''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NU7LxbQgthk, width=100%)]}}} || || '''PV 제2탄''' || == [[일곱 개의 대죄/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일곱 개의 대죄/등장인물)] == 주제가 == === OP1 === ||<-2>
'''{{{#ffffff,#ffffff OP1[br]光あれ[br]빛이 있으라}}}'''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10O8fKaoRBM, width=100%)]}}} || ||<-2> '''{{{#ffffff,#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SccW5znsH1Y,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 [[포르노 그라피티|오카노 아키히토(岡野昭仁)]] || || '''작사''' || [[n-buna]] || || '''작곡''' ||<|2> [[사와노 히로유키]]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소에노 메구미(添野 恵) || || '''연출''' || || '''작화감독''' || 아오키 마호(あおきまほ) || }}}}}}}}} || ||<-2> {{{#!folding 가사 ▼ ||
'''永遠に重なる僕らは神様の悪戯''' || || 영원히 겹치는 우리들은 하나님의 장난 || || '''今、貴方と過ごした時間が僕の罪になる''' || || 지금 너와 보낸 시간이 내 죄가 돼 || || '''彷徨うこの輪廻の中で数えたのは''' || || 방황하는 이 윤회 속에서 세어 본 것은 || || '''微笑みか痛みだけ、この夜の中で''' || || 미소나 아픔만 이 밤 속에서 || || '''叫べ もう二度と貴方の明日だけは忘れないで''' || || 소리쳐 이제 두 번 다시 너의 내일만은 잊지 말아줘 || || '''微かに光あれ 夜の闇の中を照らす光あれ''' || || 희미한 빛이 있어라 밤의 어둠 속을 비추는 빛이 있어라 || || '''今はこの指を離さないで''' || || 지금은 이 손 놓지 마 || || '''叫べ 今だけはこの罪を胸に抱く''' || || 소리쳐 지금만은 이 죄를 가슴에 품어 || || '''ただ閉じた目蓋の奥にも誰かを探してる''' || || 감은 눈꺼풀 속에도 단지 누군가를 찾고 있어 || || '''この暗い夜の先に見えた貴方という火を''' || || 이 어두운 밤 끝에 보인 그대라는 불을 || || '''出会えば離れてく僕ら振り子のよう''' || || 진자처럼 만나면 멀어져가는 우리 || || '''傷付けて愛されて また月が昇る''' || || 상처입고 사랑받고 또 달이 솟아 || || '''歌え 折れたとて貴方の心だけは失くさないで''' || || 부러진다 해도 노래해 당신의 마음만은 잃어버리지 말아 || || '''微かに痛みあれ 今も罪の中を泳ぐ痛みあれ''' || || 희미하게 아픔이 있어 지금도 죄 속을 헤엄치는 아픔이 있어 || || '''今を生きるなら忘れないで''' || || 지금을 산다면 잊지마 || || '''叫べ あの空の先でもう夜が明ける''' || || 소리쳐 저 하늘 끝에서 벌써 동이 트네 || || '''僕らはまだ 僕らはまだ''' || || 우린 아직 우린 아직 || || '''夜明けに差す光に焦がれる''' || || 새벽에 비치는 불빛을 갈망해 || || '''光を待つ 光を待つ''' || || 빛을 기다려 빛을 기다려 || || '''貴方の瞳に差すその日を''' || || 당신의 눈동자에 비추는 그 날을 || || '''叫べ もう二度と貴方の明日だけは忘れないで''' || || 소리쳐 이제 두 번 다시 너의 내일만은 잊지 말아줘 || || '''微かに光あれ 夜の闇の中を照らす光あれ''' || || 희미한 빛이 있어라 밤의 어둠 속을 비추는 빛이 있어라 || || '''今はこの指を離さないで''' || || 지금은 이 손 놓지 마 || || '''叫べ 今だけはこの罪を胸に抱く''' || || 소리쳐 지금만은 이 죄를 가슴에 품어 || || '''僕らはまだ 僕らはまだ''' || || 우린 아직 우린 아직 || || '''夜明けに差す光に焦がれる''' || || 새벽에 비치는 불빛을 갈망해 || || '''光を待つ 光を待つ''' || || 빛을 기다려 빛을 기다려 || || '''貴方の瞳に差すその日を''' || || 당신의 눈동자에 비추는 그 날을 || || '''光を待つ 光を待つ''' || || 빛을 기다려 빛을 기다려 || || '''僕らはまだ光に焦がれる''' || || 우리들은 아직 빛을 갈망해 || || '''夜明けに差す 夜明けに差す''' || || 새벽을 향해 새벽을 향해 || || '''貴方の瞳に差すその日を''' || || 당신의 눈동자에 비추는 그 날을 || || '''원어 가사 출처: [[https://www.lyrical-nonsense.com/lyrics/akihito-okano/hikari-are/|[[파일:Lyrical Nonsence Logo.png|height=20]] {{{#ffffff,#ffffff LYRICAL NONSENSE}}}]]''' || }}} || 오프닝은 전체적으로 봤을때는 호평이다. 실제로 노래가 선행 공개됐을 때 평가가 좋았으며, 3기 1쿨 오프닝과 다르게 4기 스토리 전개에 대한 복선과 떡밥이 들어가있으며, 노래 가사가 멜리오다스를 잘 표현했다면서 평이 좋다. 하지만 영상에 나오는 연출 방식은 3기와 똑같아서 평가가 안좋지만, 반이 엘레인을 끌어안고 사라졌을때의 연출은 현재 반의 심정을 잘 표현했다면서 평가가 좋으며 작화 부분에서도 조금씩 작붕이 있지만 3기보다는 눈에 거슬리지는 않을 정도라서 괜찮다는 평가가 있다. === ED1 === ||<-2>
'''{{{#ffffff,#ffffff ED1[br]tim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JPaCRVhJ9MM, width=100%)]}}} || ||<-2> '''{{{#ffffff,#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VYVmUOGPT_M,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 [[사와노 히로유키|SawanoHiroyuki]][nZk]:[[ReoNa]] || || '''작사''' || [[http://www.ksp-songs.com/canon.html|cAnON.]] || || '''작곡''' ||<|2> [[사와노 히로유키]]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소에노 메구미(添野 恵) || || '''연출''' || || '''작화감독''' || 아오키 마호(あおきまほ) || }}}}}}}}} || ||<-2> {{{#!folding 가사 (TV ver.) ▼ ||
'''So that’s how you’ll find me anytime anywhere''' || || 그래야 언제 어디서든 날 찾을 수 있어 || || '''重く冷たい渦に飲み込まれても''' || || 무겁고 차가운 소용돌이에 삼켜져도 || || '''What’s it for? ぶつけ合うばかりのチカラの使い道を''' || || 뭐에 쓰는 거야? 부딪치기만 하는 힘의 쓰임새를 || || '''気に病んでたって何も[ruby(同調, ruby=ハモ)]れはしないんだろう''' || || 속상해 해봤자 아무 것도 조화되지 않겠지 || || '''Look in my eyes''' || || 내 두 눈을 봐 || || '''No more cheap lies''' || || 더 이상 뻔한 거짓말은 하지 마 || || '''そばにいたい''' || || 곁에 있고 싶어 || || '''Just be brave like you, I must be stronger''' || || 너처럼 용감하게 살아라, 난 더 강해져야 해 || || '''Hey look here’s what I got''' || || 이봐, 이것 좀 봐 || || '''目の奥に見つけた cords of love''' || || 내 눈 속에 보았어 사랑의 끈 || || '''きっと何度でも繰り返す暁を差す''' || || 반드시 몇 번이고 되풀이하는 새벽을 가리켜 || || '''Flash my rays According to you 気高く''' || || 당신의 말에 따르면 내 광선을 비처줘 고상하게 || || '''Clocking tick’n’tock''' || || 시계태엽이 켜지지 않아 || || '''You flick the badness, slip away from my wings and memories''' || || 넌 나쁜 짓을 하고, 내 날개와 기억에서 사라졌어 || || '''交わした約束の最後を 思い焦がすだろう''' || || 나눈 약속의 마지막을 애타게 만들겠지 || || '''There ain’t no way, I will always be there for you''' || || 그럴 리가 없어, 난 항상 네 곁에 있을 거야 || || '''いたずらに結ばれるカルマの糸''' || || 헛되이 맺어지는 업의 실 || || '''Time will tell, rewind that sight''' || || 시간이 말해줄거야, 그 광경을 되감아줘 || || '''Time will tell if we are right''' || || 시간이 말해줄거야 우리가 옳다면 || || '''원어 가사 출처: [[https://www.lyrical-nonsense.com/lyrics/sawanohiroyukinzk-reona/time/|[[파일:Lyrical Nonsence Logo.png|height=20]] {{{#ffffff,#ffffff LYRICAL NONSENSE}}}]]''' || }}} || 연출쪽에서 나쁜평가를 받고있는 오프닝과 다르게 엔딩곡은 몹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ReoNa]]와 [[사와노 히로유키]]가 엔딩곡을 맡는다는 사실이 발표되었을 때 많은 기대를 받았으며, 노래가 공개되고 실제로 평가가 좋았다. 엔딩에 나오는 영상에 연출 방식은 몽환적인 분위기를 잘살려냈다는 호평을 받으면서 팬들 사이에서는 역대급 엔딩곡이 나왔다는 평이 있을 정도로 대호평이다. === OP2 === ||<-2>
'''{{{#ffffff,#ffffff OP2[br]永遠のAria[br]영원의 Ari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tGBKjMpnnyA, width=100%)]}}} || ||<-2> '''{{{#ffffff,#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6jJS--3DcGY,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 [[아마미야 소라]] || || '''작사''' || 우에사카 리사(上坂梨紗) || || '''작곡''' || 이에하라 마사키(家原正樹)[br]Giz'Mo || || '''편곡''' || 이에하라 마사키(家原正樹)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소에노 메구미(添野 恵) || || '''연출''' || || '''작화감독''' || 아오키 마호(あおきまほ) || || '''총 작화감독''' || [[코바야시 토시미츠]][br]니시다 미야코(西田美弥子)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1쿨 오프닝과 같이 호평을 받는데 역대급 오프닝이 나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1쿨 오프닝에서 지적받았던 작화와 연출이 눈에 보일 정도로 개선되어 1,2기와 동급의 평가를 받는등 수준급의 연출을 보여주었다. ==== [[CHUNITHM]] ==== ||<-5> [[CHUNITHM NEW]] 시리즈 난이도 체계 || || 곡명 ||<-4> '''永遠のAria''' || || 아티스트 ||<-4> 雨宮天 「七つの大罪 憤怒の審判」 || || BPM ||<-4> 164 || ||<|2> 버전 || 일본 내수판 ||<-4> [[CHUNITHM NEW|{{{#deab00,#ffcc21 CH}}}{{{#0050ce,#3182ff U}}}{{{#54c320,#6fdf3c NI}}}{{{#deab00,#ffcc21 T}}}{{{#fd006b H}}}{{{#d0f M}}} {{{#556688 NEW}}}]] (2021/11/04) || || 해외 수출판 ||<-4> [[CHUNITHM NEW|{{{#deab00,#ffcc21 CH}}}{{{#0050ce,#3182ff U}}}{{{#54c320,#6fdf3c NI}}}{{{#deab00,#ffcc21 T}}}{{{#fd006b H}}}{{{#d0f M}}} {{{#556688 NEW}}}]] (2022/03/03) || ||<|2> 난이도 ||<#22ac38> BASIC ||<#f39800> ADVANCED ||<#e5004f> EXPERT ||<#af0bd2> MASTER || || 3 || 5 || 8+ || 12+ || || 노트 수 || 509 || 733 || 1241 || 1796 || || 노트 디자이너 || - || - || じゃこレモン || ロシェ@ペンギン || * 칭호 * 残飯処理騎士団団長 (잔반처리 기사단 단장)[* [[호크(일곱 개의 대죄)|호크]]의 자칭 별명(...)이다.] - MASTER 난이도 미만 모든 난이도 플레이. * それが お前の罪だぜ - 2인 이상 점내매칭/플레이시 1 Miss 기록. 아케이드 리듬게임인 [[CHUNITHM NEW]] 런칭곡으로 수록되었다. === ED2 === ||<-2>
'''{{{#ffffff,#ffffff ED2[br]NAMEL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LZa9Wc3XNCk, width=100%)]}}} || ||<-2> '''{{{#ffffff,#ffffff 13화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CnL_mMJoQ9o, width=100%)]}}} || ||<-2> '''{{{#ffffff,#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n15AM2q3ZIM,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 [[UVERworld]] || || '''작사''' || TAKUYA∞ || || '''작곡''' || 아키라(彰)[br]Yuzuru Kusugo[br]Satoshi Shibayama || || '''편곡''' || [[UVERworld]][br]히라데 사토루(平出 悟)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소에노 메구미(添野 恵) || || '''연출''' || || '''작화감독''' || 아오키 마호(あおきまほ) || || '''원화''' || 지펑우(武 志鵬)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1쿨과 같이 평가가 엄청 좋으며 충격적이다라는 평가가 많다. 엔딩 영상은 멜리오다스와 엘리자베스를 귀여운 작화로 표현했지만 영상의 내용은 엘리자베스의 죽음을 굉장히 비극적으로 연출했다. '''[[고인드립|그런데 엔딩 영상이 첫공개된 회차가 14화인데 영상이 등장한 시점이 하필이면 엘리자베스가 바위에 깔리는 장면이 나온 직후였다.(...)]]'''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넷플릭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 {{{-3 제1화}}} || {{{-3 煉獄より[br][[반(일곱 개의 대죄)|연옥에서]]}}} ||<|5> {{{-3 이케다 린타로[br](池田臨太郎)}}} ||<-2> {{{-3 [[니시모토 유키오(애니메이션 감독)|니시모토 유키오]]}}} || {{{-3 아오키 마호[br](あおきまほ)[br]츠즈쿠 류지[br](都竹隆治)}}} || {{{-3 [[코바야시 토시미츠]]}}} || {{{-3 2021.01.13.}}} || || {{{-3 제2화}}} || {{{-3 未知との遭遇[br]미지와의 조우}}} || {{{-3 [[니시노 리에]]}}} || {{{-3 마노 아키라[br](真野 玲)}}} || {{{-3 하나부사 야스타카[br](華房泰堂)}}} || {{{-3 타니자와 야스시[br](谷澤泰史)}}} || {{{-3 2021.01.20.}}} || || {{{-3 제3화}}} || {{{-3 一途なる思い[br]변치 않는 사랑}}} || {{{-3 [[니시자와 스스무]]}}} || {{{-3 토노카츠 히데키[br](殿勝秀樹)}}} || {{{-3 지펑우[br](武 志鵬)[br]모리 에츠히토[br](森 悦史)[br][[이카이 카즈유키]]}}} || {{{-3 니시다 미야코[br](西田美弥子)}}} || {{{-3 2021.01.27.}}} || || {{{-3 제4화}}} || {{{-3 聖戦の犠牲者[br][[마엘|성전의 피해자]]}}} || {{{-3 [[카게야마 시게노리]]}}} || {{{-3 카도타 히데히코[br](門田英彦)}}} || {{{-3 [[미나미 신이치로]][br]권용상}}} || {{{-3 오노 히로미[br](小野ひろみ)[br]타니자와 야스시}}} || {{{-3 2021.02.03.}}} || || {{{-3 제5화}}} || {{{-3 悲しき一撃[br][[마엘|비극의 일격]]}}} || {{{-3 아오키 마호}}} || {{{-3 스즈키 요시나리[br](鈴木芳成)[br]하타 요시토[br](秦 義人)}}} || {{{-3 [[아오노 아츠시]][br][[타나카 히로노리]][br]우츠기 이사오[br](宇津木 勇)[br]아오키 마호}}} || {{{-3 코바야시 토시미츠}}} || {{{-3 2021.02.10.}}} || || {{{-3 제6화}}} || {{{-3 絶望に立ち向かえ[br][[마엘|절망]]에 맞서}}} || {{{-3 오오쿠사 요시키[br](大草芳樹)}}} || {{{-3 토노카츠 히데키}}} || {{{-3 마노 아키라}}} || {{{-3 하나부사 야스타카}}} || {{{-3 오노 히로미}}} || {{{-3 2021.02.17.}}} || || {{{-3 제7화}}} || {{{-3 希望と葛藤と絶望[br][[킹(일곱 개의 대죄)|희망]]과 [[마엘|갈등]], [[찬드라(일곱 개의 대죄)|절망]]}}} || {{{-3 미야오 유리카[br](宮尾百合香)}}} ||<-2> {{{-3 첸 달리[br](陳 達理)}}} || {{{-3 이카이 카즈유키[br]모리 에츠히토[br]카타오카 에미코[br](片岡恵美子)[br]우츠기 이사오}}} || {{{-3 코바야시 토시미츠[br]니시다 미야코}}} || {{{-3 2021.02.24.}}} || || {{{-3 제8화}}} || {{{-3 希望への扉[br]희망으로 가는 문}}} || {{{-3 이케다 린타로}}} || {{{-3 보브 시라하타[br](ボブ白旗)}}} || {{{-3 카도타 히데히코}}} || {{{-3 미나미 신이치로[br]권용상}}} || {{{-3 타니자와 야스시}}} || {{{-3 2021.03.03.}}} || || {{{-3 제9화}}} || {{{-3 集結するものたち[br][[틀:일곱 개의 대죄 기사단|그들]]이 모이면}}} ||<|2> {{{-3 오오쿠사 요시키}}} ||<-2> {{{-3 니시모토 유키오}}} || {{{-3 지펑우[br]세오 야스히로[br](瀬尾康弘)}}} || {{{-3 코바야시 토시미츠[br]니시다 미야코}}} || {{{-3 2021.03.10.}}} || || {{{-3 제10화}}} || {{{-3 太陽の救済[br][[에스카노르|태양]]의 [[마엘|구원]]}}} || {{{-3 [[오오하타 코이치]]}}} || {{{-3 후지시로 카즈야[br](藤代和也)}}} || {{{-3 츠즈쿠 류지[br]모리 에츠히토[br]모리모토 히로후미[br](森本浩文)[br]야마다 유이치로[br](山田雄一郎)[br]니시다 미야코}}} || {{{-3 코바야시 토시미츠}}} || {{{-3 2021.03.17.}}} || || {{{-3 제11화}}} || {{{-3 神と対峙する人[br][[마신왕(일곱 개의 대죄)|신]]과 맞서는 [[반(일곱 개의 대죄)|자]]}}} ||<|2> {{{-3 미야오 유리카}}} || {{{-3 카게야마 시게노리}}} || {{{-3 나가오 토시히로[br](長尾聡浩)}}} || {{{-3 이카이 카즈유키[br]츠즈쿠 류지}}} || - || {{{-3 2021.03.24.}}} || || {{{-3 제12화}}} || {{{-3 みんながキミの力になる[br][[틀:일곱 개의 대죄 기사단|우리]]가 [[멜리오다스|너]]의 힘이 되어}}} || {{{-3 오오조라 마사키[* 오쿠와키 마사하루(奥脇雅晴)의 필명.][br](大宙征基)}}} || {{{-3 누마야마 마유[br](沼山茉由)}}} || {{{-3 야마무라 토시유키[br](山村俊了)[br]핫토리 마스미[br](服部益実)[br]하나부사 야스타카[br]나가사카 아야코[br](長坂綾子)[br]타케구치 켄지[br](武口憲司)[br]후쿠시마 토요아키[br](福島豊明)}}} || {{{-3 오노 히로미}}} || {{{-3 2021.03.31.}}} || || {{{-3 제13화}}} || {{{-3 永き旅の終着[br][[멜리오다스|긴 여정의 끝]]}}} || {{{-3 오오쿠사 요시키}}} || {{{-3 아오키 마호}}} || {{{-3 하타 요시토}}} || {{{-3 아오키 마호[br]모리모토 히로후미[br]타카하시 나기사[br](たかはしなぎさ)[br]타키가와 카즈오[*A 액션][br](瀧川和男)}}} || {{{-3 코바야시 토시미츠}}} || {{{-3 2021.04.07.}}} || || {{{-3 제14화}}} || {{{-3 さよなら<七つの大罪>[br][[틀:일곱 개의 대죄 기사단|일곱 대죄]]여, 안녕}}} || {{{-3 미야오 유리카}}} || {{{-3 보브 시라하타}}} || {{{-3 카도타 히데히코}}} || {{{-3 타케구치 켄지[br]권용상}}} || {{{-3 타니자와 야스시}}} || {{{-3 2021.04.14.}}} || || {{{-3 제15화}}} || {{{-3 宿命の兄弟[br][[멜리오다스|운명]]의 [[젤드리스|형제]]}}} ||<|3> {{{-3 이케다 린타로}}} ||<-2> {{{-3 첸 달리}}} || {{{-3 모리모토 히로후미[br]지펑우[br]이케가미 리에[br](池上理恵)[br]후쿠에 미츠에[br](福江光恵)[br]히사토시 히로시[br](久利 弘)[br]테라타니 루코[br](寺谷瑠宇公)[br]아쿠사와 아키히사[br](阿久沢晃久)[br]타카하시 마호[br](高橋真帆)}}} || {{{-3 니시다 미야코}}} || {{{-3 2021.04.21.}}} || || {{{-3 제16화}}} || {{{-3 最終戦争[br][[마신왕(일곱 개의 대죄)|마지막 전쟁]]}}} ||<-2> {{{-3 토노카츠 히데키}}} || {{{-3 이카이 카즈유키[br]모리 에츠히토[br]후지키 야스시[br](藤木泰史)[br]카타오카 에미코[br]于 慧海[br]陳 潔掠[br]胡威[br]王敏}}} || {{{-3 지펑우}}} || {{{-3 2021.04.28.}}} || || {{{-3 제17화}}} || {{{-3 キミの名を呼ぶ声[br][[젤드리스|너의 이름]]을 부르는 [[멜리오다스|소리]]}}} || {{{-3 유키히로 마츠시타[br](ユキヒロマツシタ)}}} || {{{-3 사사키 스미토[br](佐々木純人)}}} || {{{-3 타나카 슈지[br](田中秀治)}}} || - || {{{-3 2021.05.05.}}} || || {{{-3 제18화}}} || {{{-3 王は孤独に歌う[br]왕은 홀로 노래하고}}} || {{{-3 미야오 유리카}}} || {{{-3 니시모토 유키오}}} || {{{-3 마노 아키라}}} || {{{-3 모리모토 히로후미[br]츠즈쿠 류지[br]XIEMEI[br]赵青云}}} || {{{-3 코바야시 토시미츠}}} || {{{-3 2021.05.12.}}} || || {{{-3 제19화}}} || {{{-3 あがき[br][[마신왕(일곱 개의 대죄)|몸부림]]}}} || {{{-3 오오쿠사 요시키}}} || {{{-3 오오조라 마사키}}} || {{{-3 타카다 마사히로[br](高田昌宏)}}} || {{{-3 야마무라 토시유키}}} || {{{-3 오노 히로미}}} || {{{-3 2021.05.19.}}} || || {{{-3 제20화}}} || {{{-3 倶に天を戴かず[br]깊은 원한}}} ||<|2> {{{-3 이케다 린타로}}} ||<-2> {{{-3 토노카츠 히데키}}} || {{{-3 마스다 토시히코[br](増田敏彦)[br]모리모토 히로후미[br]후쿠에 미츠에[br]이카이 카즈유키}}} || {{{-3 니시다 미야코}}} || {{{-3 2021.05.26.}}} || || {{{-3 제21화}}} || {{{-3 魔女が求め続けたもの[br][[멀린(일곱 개의 대죄)|마녀]]가 언제나 원했던 것은}}} || {{{-3 오오하타 코이치}}} || {{{-3 카도타 히데히코}}} || {{{-3 타케구치 켄지[br]권용상}}} || {{{-3 타니자와 야스시}}} || {{{-3 2021.06.02.}}} || || {{{-3 제22화}}} || {{{-3 混沌の一端[br]혼돈의 끝}}} || {{{-3 미야오 유리카}}} || {{{-3 보브 시라하타}}} || {{{-3 하타 요시토}}} || {{{-3 츠즈쿠 류지[br]모리모토 히로후미[br]후지키 야스시[br]曹建华[br]陳潔瓊[br]胡威[br]林雪春}}} || {{{-3 지펑우}}} || {{{-3 2021.06.09.}}} || || {{{-3 제23화}}} || {{{-3 永遠の王国[br]영원한 왕국}}} || {{{-3 오오쿠사 요시키}}} || {{{-3 토노카츠 히데키}}} || {{{-3 마에조노 후미오[br](前園文夫)}}} || {{{-3 이카이 카즈유키}}} || {{{-3 오노 히로미}}} || {{{-3 2021.06.16.}}} || || {{{-3 제24화}}} || {{{-3 継がれゆくもの[br][[트리스탄 리오네스|그 길 이어가며]]}}} || {{{-3 이케다 린타로}}} || {{{-3 유키히로 마츠시타}}} || {{{-3 와카바야시 칸지[br](若林漢二)}}} || {{{-3 아오키 마호[br]니시다 미야코}}} || {{{-3 코바야시 토시미츠}}} || {{{-3 2021.06.23.}}} || == 평가 == 2021년 1월 13일 1화가 방영됨에 따라 전작 [[일곱 개의 대죄: 신들의 역린|3기]]보단 작붕이 현저히 줄어들었고, 캐릭터 작화 자체는 좋아졌다. 오프닝과 엔딩도 3기 1쿨에 비하면 압도적 호평을 받았다. 다만 액션씬을 반복 액션으로 채웠고, [[뱅크신]]으로 대체한 것이 있다. 액션 판타지 만화에서 액션이 빈약해진것. 작화가 아무리 좋아진들 액션이 3기에서 그다지 나아지지 않아서 평가가 엇갈린다. 전반적으로는 3기보다는 작화가 나아졌지만 여전히 1, 2기급은 보이지 못해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반응이 좋지 않다]]. 박한 평가를 받는 이유는 전작 3기에서도 지적 받은 작화의 이질성이다. 당장 [[멀린(일곱 개의 대죄)|멀린]]의 퍼펙트 큐브나 [[킹(일곱 개의 대죄)|킹]]의 팔렌 가든만 봐도 느껴지는데 1, 2기에 반해 단색 위주의 구성이거나 빈약한 연출을 보여주며, 전작 [[일곱 개의 대죄: 신들의 역린|3기]]는 일곱 개의 대죄 시리즈 중에서도 최악의 [[작화 붕괴]]를 보여준 적이 있었기에 대차게 말아먹은 전적이 있다. 따라서 이번 4기에선 개선을 했어야 하는데 '''그런 게 단 한 개도 없다.''' 물론 A1도 그랬지만 굳이 넣어도 되는 원작의 장면을 많이 생략한다는 지적이 있다. 예를 들면 멀린이 [[마신왕(일곱 개의 대죄)|마신왕]]에게 페이크 공격을 넣는 장면 등등. 아무리 좋은 평가가 있어도 [[니시자와 스스무|같은 감독]]과 [[스튜디오 딘|같은 제작사]]가 만든 [[일곱 개의 대죄: 신들의 역린|전작]]의 여파로 다음 화가 준수하게 나와도 칠대죄 4기를 평작 이상으로 판별하지 않고 미세한 작붕만 나도 비판이 나오게 되어버렸다. --업보-- 그리고 10화부터는 다시 3기의 재림이라고 할 정도의 심각한 저퀄리티 영상이 나오며 다시 반응이 나락으로 떨어지기 시작했다. 결론만 말하면 3기와 마찬가지로 BGM과 성우만 좋은 애니가 되버렸다. 하지만 스토리가 좋다 보니 이 악물고 계속 보는 팬들도 있는 편이다. 이처럼 퀄리티 논란이 계속되는 와중에도 성우들의 연기와 BGM은 욕하는 거 없이 최고의 호평을 받고 있다. 그러나 확실하게 호평 받는 부분도 약간은 있다. 오프닝의 경우 3기와 비교한다면 확실히 퀄리티가 올라갔으며 연출도 괜찮은 편이다. [[마엘]]이 [[에스타롯사]]로 변하는 작화와 연출은 훌륭하다고 평가 받고 있으며, 많은 우려와 달리 더원 얼티밋도 나름 준수하게 나왔다. 그리고 [[에스카노르]]와의 작별씬이 나오는 20화에서는 에스카노르와 멀린의 고별의 키스신의 연출이 상당히 화려하고 원작 이상으로 애절하게 나왔기에 3, 4기 최고의 명장면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일곱 개의 대죄(애니메이션 1기)|1]], [[일곱 개의 대죄: 계명의 부활|2기]]급의 호평이 나오고 있다. 심지어 원작 내용을 다 알고 보는 시청자 중에서도 이 장면을 보고 눈물이 쏟아졌다는 후일담이 많이 나오고 있다. 결론은 3기와 4기는 준수한 스토리, OST, 성우를 가졌지만 '''퀄리티 하나 때문에''' 수없이 많은 욕을 먹은 비운의 작품. === 방영 중 === * 1화 * 전술했듯, 반복 씬으로 채운 [[뤼드시엘]] vs [[젤드리스]], [[반(일곱 개의 대죄)|반]] vs 용 괴물로 변한 [[멜리오다스]]. * 뤼드시엘과 젤드리스가 마주보며 검을 휘두를 때, 팔 그림을 그냥 지워버렸다. * 뤼드시엘이 기술 시전 때의 팔을 휘두르는 장면이 부자연스럽다. * [[주객전도|쿠키 영상은 작화가 매우 부드럽다.(?)]] * 2화 * 1화에 비해 연옥의 장면들이 많이 나오는데, 멜리오다스와 반의 복장이 정말 호불호가 갈리는 중이다. * 반의 기술 크레이지 헌트 기술씬 반복 씬이 존재. * 3화 * 멜리오다스의 회상 장면에서 멜리오다스와 [[엘리자베스 리오네스|엘리자베스]] 첫 만남의 멜리오다스 작붕 존재 * 4화 * 마신왕을 바라보는 멜리오다스에 미미한 작붕 존재. 그래도 작붕이 많이 없어졌다. * 뤼드시엘 vs 큐잭 전투씬 화면을 어둡게 처리하여 반복씬으로 채웠다. * 5화 * [[데리엘리]] vs 마엘 전투씬을 어둡게 처리하고 반복씬으로 채움 * 6화 * 만화처럼 부분부분 [[킹(일곱 개의 대죄)|킹]]의 각성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아닌 처음에 전체 모습이 나와 아쉬운 평이다. 즉, 작화는 선방했지만 연출이 망했다. * 초반 부분에서 [[제리코]]의 얼굴이 작붕 비스무리하게 표현 되었다. * 킹의 각성 모습의 얼굴이 원작과 괴리가 심하다. 장면이 한 개만 나왔기 때문에 작붕이라고 판단하기에는 어렵다. * 7화 * 킹 vs 마엘 전투씬 중 킹 얼굴 작붕 존재 * [[고서]], 마엘 대화씬 중 마엘 얼굴 작붕 존재 * 원초의 마신~마신왕전 장면은 초중반 장면들보다 색감도 양호하고, 작붕 없이 깔끔하게 나왔다. * 8화 * 이번화는 작화가 준수하게 뽑혔으나, [[엘레인(일곱 개의 대죄)|엘레인]] 빈사 상태 부분 연출이 망했다. * 9화 * 이번 화도 눈에 띄는 작붕은 보이지 않지만, 액션씬과 연출을 반복씬으로 채워서 역시 평가는 최악이다. * 10화 * 초반부 대화씬의 작화는 준수하지만 후반부인 젤드리스, 원초의 마신 vs 일곱 개의 대죄, 마엘, 뤼드시엘 전투씬의 작화와 연출은 전작의 12화를 떠올리게 만들 정도로 작붕이 넘쳐나면서 액션씬과 연출 모두 한 번에 망했다. * 11화 * [[반(일곱 개의 대죄)|반]]과 [[엘레인(일곱 개의 대죄)|엘레인]]이 대화를 나누는 씬에서 엘레인 얼굴 작붕 존재 * [[다이앤(일곱 개의 대죄)|다이앤]]의 신기 풍차 돌리기씬 존재 * 마신왕 vs 반 전투씬 다수 반복씬 존재 * 전, 중반부는 작붕이 많았지만, 후반부 멜리오다스 vs 마신왕 전투씬은 그래도 양호함 * 12화 * 11화보단 전투씬이 나아졌으나 어둡게 처리한 씬이 많았다. * 13화 * 눈에 띄는 작붕을 제외한 대화씬에서조차 작붕이 보인다. * 14화 * 일상이 대부분인 회차라 눈에 띄는 작붕은 없다. * 15화 * 인물들의 외형의 뭉개짐을 제외하면 눈에 띄는 작붕은 없다. * 16화 * 전투씬은 정지컷의 사용이 많으나 양호한 편이다. * 마엘이 에스카노르에게 은총을 빌려주는 부분에서 연출이 밋밋하다는 평이 많다. * 17화 * 전체적인 작화는 매우 좋지 않다. * 전투씬에 많은 정지컷과 날림컷이 많으며 그 컷들조차 작붕이 많다. * 대부분의 반응은 4기의 문제점들이 전부 나온 에피소드라는 반응이다. * 그나마 에스카노르의 더 원 씬은 호평이 많다. 특히 에스카노르와 로자가 죽은 자들의 도시에서 재회했을 때 '멜리오다스의 시련' 브금을 [[피아노]]로 리메이크해서 삽입한 것은 호평 받는다. * 18화 * 전체적인 평가가 괜찮은 편 * 바로 전 17화를 망친 탓인지 초반부 마신왕과 에스카노르의 전투씬은 동화가 꽤 들어간 괜찮은 퀄리티로 뽑혔다. * 에스카노르의 회상 속 멜리오다스 vs 에스카노르 씬에서 멜리오다스가 든 검이 바뀌는 작붕이 존재한다. * 후반부 더 원 얼티밋 씬은 깔끔한 작화, 연출, BGM이 어우러져 호평 일색이다. * 19화 * 에스카노르 vs 마신왕 주먹빵 반복씬 있음 * 20화 * 에스카노르 작별씬은 18화와 같이 깔끔한 작화, BGM, 연출이 한 몫해 호평이다. * 전반부에 힘 쓰지 않고 에스카노르 작별씬에 힘을 많이 써 유튜브 리뷰들을 보면 전부 호평이다. * 멀린의 턱 화상은 원작에 비해 옅게 그려졌다. * 원작에 없는 오리지널 연출이 많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일곱 개의 대죄/애니메이션, version=548, paragraph=6)] [[분류:일곱 개의 대죄/애니메이션]][[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21년 1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2021년 2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판타지 애니메이션]][[분류:일본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분류:스튜디오 딘]][[분류:넷플릭스 독점 판권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