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유희왕/OCG]] [목차] = 개요 = [[유희왕]]에 존재하는 인형이란 이름이 붙은 카드들. 현재까지 카드군으로 지정된 적은 없다. 국내에서는 성스러운 인형 이후로 인형(人形) 혹은 인형(ぐるみ) 또는 돌(ドール)이 인형 또는 돌로 번역되고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본래 카드명이 '돌'이 되는 카드도 추가로 서술한다. = [[일반 몬스터]] = == 성스러운 인형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RogueDoll-V3-JP-R.jpg]] || 한글판 명칭 ||||||||'''성스러운 인형'''|| || 일어판 명칭 ||||||||'''ホーリー・ドール'''|| || 영어판 명칭 ||||||||'''Rogue Doll'''|| ||||||||||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빛]] || [[마법사족]] || 1600 || 1000 || ||||||||||성스러운 힘을 다루는 인형. 어둠 속에서 공격은 더욱 강력해진다.|| 원작에서 [[페가서스 J. 크로퍼드|페가수스]]가 [[어둠의 유우기]]와의 첫 듀얼에서 사용한 카드.[*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RogueDoll-JP-Manga-DM-NC.png]] [br] 이 카드의 구도는 원작인 8권의 22 페이지 쪽에 있는 구도] 유우기의 패에 있는 [[저주받은 하인|언데드 워리어]]를 노리고 소환한 카드이지만, 정작 유우기가 소환한 카드는 [[블랙 매지션]]이었기에 역으로 털리고 만다. 이후 애니판에서는 [[레어 헌터]]인 어둠의 가면이 효과 문제상 나올 수 없는 [[여사신 누비아]]를 대신하여 사용하고, 원작의 누비아처럼 [[푸른 눈의 백룡]]에게 털리게 된다. 이로서 원작과 애니판 다 통틀어서 일개 바닐라가 각 주연들의 에이스 몬스터에게 한 번씩 털리는 영광을 얻은 카드이다. == [[킬러돌]] == == 식인 곰인형 == [[파일:card100004452_1.jpg]] || 한글판 명칭 ||||||||'''식인 곰인형'''|| || 일어판 명칭 ||||||||'''くいぐるみ'''|| || 영어판 명칭 ||||||||'''Stuffed Animal'''|| ||||||||||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속성|땅]] || [[전사족]] || 1200 || 900 || ||||||||||사랑스러운 곰인형으로 보이지만, 지퍼 모양의 입으로 덥석 깨문다.|| 일본어판 이름은 쿠이구루미(くいぐるみ)인데 이는 먹다. 라는 뜻의 쿠이(食い、くい)랑 봉제인형을 뜻하는 누이구루미(ぬいぐるみ)를 조합한 말장난이다. [[전장의 수의|소리의 여인]]과 모든 능력치가 일치하는 몬스터. 다만 [[전장의 수의]]의 융합 소재인 덕분에 [[융합 준비]]의 서포트를 받을 수 있는 해당 몬스터와는 달리 이 카드는 그런 해당 사항이 없으므로 실질적인 하위호환이나 다름없다. 땅 속성, 전사족, 로우 레벨, [[일반 몬스터]]에 속하는 만큼 무궁무진한 서포트를 자랑하지만 그 만큼 흔한 부류이기에 경쟁자 또한 무궁무진하다는 것이 걸림돌. 거기다 2009년 토너먼트 팩에서 노멀로 발매되기 전까지 시크릿 울트라 레어라는 쓸데 없이 높은 레어도로 나왔기 때문에 구하기도 여간 어려운 편이 아니었다. = 효과 몬스터 = == 마법의 꼭두각시 인형 == * 관련 문서 : [[마력 카운터]]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7613_1.jpg]] || 한글판 명칭 ||||||||'''마법의 꼭두각시 인형'''|| || 일어판 명칭 ||||||||'''[ruby(魔法の操り人形, ruby=マジカル・マリオネット)]'''|| || 영어판 명칭 ||||||||'''Magical Marionette'''||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속성|어둠]] || [[마법사족]] || 2000 || 1000 || ||||||||||자신 또는 상대가 마법을 발동할 때마다, 이 카드의 [[마력 카운터]]를 1개 얹는다. 이 카드에 얹혀 있는 마력 카운터 1개당, 이 카드의 공격력은 200 포인트 올린다. 또한, 마력 카운터를 2개 제거하는 것으로, 필드 위의 몬스터 1장을 파괴한다.|| 상급이면서도 공격력은 미덥지 않고, 효과가 마력 카운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일단 마력 카운터를 쌓는것이 급선무. 다행스럽게도 상대든 자신이든 마법만 발동하면 마력 카운터가 올라가기 때문에 마력 카운터를 쌓기는 쉽다. 하나 흠좀무한게, 마력 카운터 개수에 '''제한이 없다...''' 즉, 이론상 이 카드가 무사하기만 하다면 공격력이 무한정 상승할 수 있다는 말. ~~그게 쉬워야 말이지~~ 만약 신판마도같은 연속으로 마법카드를 쓰는 덱에 투입된다면 말그대로 무지막지한 공격력뻥튀기를 볼수도 있을듯 [[툰 목차]]나 [[테라포밍(유희왕)|테라포밍]]같은걸 쓰면 쉽게 공격력을 올릴 수 있고, 마침 공격력이 적절하게 2000이라 [[매지션즈 서클]]에 대응된다. 물론 [[디멘션 매직]]도 가능. [[나비의 단검-엘마]]가 무제이던 시절에는 [[철의 기사 기어프리드]]와의 조합으로 무한 루프를 해 공격력을 미친듯이 뿔린후에 유유히 필드 클린을 하고 원턴 킬을 날리는 콤보가 악명을 떨치기도 했다. 엘마가 금지를 먹어서 망하긴 했지만. 참고로 제거효과는 턴당 제한이 없으므로 다크 발키리어와 마찬가지로 [[마법도시 엔디미온]]을 사용해서 [[번개(유희왕)|번개]]를 쏠 수 있다(......) 다만 카운터 소모는 이쪽이 더 심하고, [[매지션즈 서클]]로 불러내지 않으면 좀 손해라... 그리고 능력치만 보면 [[아캐나이트 매지션]]의 상호호환격이라고 볼 수 있는 카드. 이 카드는 자체 효과로 마력 카운터를 충전해 공격력을 올릴 수 있고, 아캐나이트 매지션은 마력 카운터 1개로 아무 카드나 부술 수 있다. 이 카드에 레벨 2 튜너를 싱크로해 아캐나이트 매지션을 뽑을 수 있으므로 두 카드를 콤보로 쓰면 꽤나 좋다. == [[기믹 퍼핏|기믹 퍼핏-네크로 돌]] == == [[기믹 퍼핏|기믹 퍼핏-마그네 돌]] == == [[고스트릭|고스트릭의 인형]] == == [[킬러돌|원한의 킬러돌]] == = 마법 카드 = == [[저주인형]] == == 제물 인형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TributeDoll-EE1-JP-C.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제물 인형'''|| || 일어판 명칭 ||||||||'''[ruby(生, ruby=い)]け[ruby(贄, ruby=にえ)][ruby(人形, ruby=ドール)]'''|| || 영어판 명칭 ||||||||'''Tribute Doll'''|| |||||||||| 일반 마법 || ||||||||||자신 필드 위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한다. 패에서 일반 소환 가능한 레벨 7의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그 몬스터는 이 턴에는 공격할 수 없다.|| ~~[[마스터 룰|릴리스]] 인형~~ [[매지션의 힘]]에서 발매된 카드. 하급 몬스터를 소환한 턴에 바로 최상급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있지만, 레벨 7로 한정되어 있는데다가, 소환된 턴에는 공격할 수 없다는게 대략 난감한 디메리트가 있다. 제대로 활용하려면 공격하지 않아도 효과로 먹고 들어가는 몬스터를 쓰던가, [[싱크로 소환]]이나 [[엑시즈 소환]]의 소재로 쓰는 등의 대처법을 강구해야 할 듯. 네오스, 블랙 매지션, 붉은 눈의 흑룡 등, 자체 능력은 별로이지만 다양한 서포트와 진화형을 가지고 있는 카드들 소환 용으로도 제격. 그리고 첫 턴에 사용한다면 해당 디메리트가 없는거나 마찬가지. 기본적으로 해당 턴 공격불가 패널티가 부여되는 크로스소울이나 툰 몬스터, 혹은 두가지 모두를 혼용해서 쓰는것도 괜찮다. 당연하지만 특수소환 할 수 없는 [[스피릿(유희왕)|스피릿]] 등의 몬스터는 이 카드로 특수소환 할 수 없다. [[게이트 가디언]]의 소환에 필요한 마신들의 레벨 7인 덕분에 [[유희왕 GX]]에서 [[미궁 형제]] [[유우키 쥬다이]]와 [[마루후지 쇼]]와의 태그 듀얼에서 사용하여 마신들을 빠르게 불러내기도 했으며, 그대로 [[게이트 가디언]]으로 연결했다. = 관련 카드 = '인형' 카드명은 없지만 인형 형태인 몬스터. == [[머더 서커스|데블 박스]] == == [[마법의 어릿광대]] == == [[다크 네크로피어]] == == 대포 오뚜기 ==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a804687f.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대포 오뚜기'''|| || 일어판 명칭 ||||||||'''大砲だるま'''|| || 영어판 명칭 ||||||||'''Dharma Cannon'''|| ||||||||||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2 || [[유희왕/속성|어둠]] || [[기계족]] || 900 || 500 || ||||||||||대포로 무장한 기계 오뚜기. 목표물은 놓치지 않는다.|| 모티브는 [[다루마]]. 레벨 2 / 기계족 [[일반 몬스터]] 치고는 가장 높은 공격력을 가졌지만, [[트라이앵글 파워]]에 대응하는 [[배트]]나 [[트라이클러|언사이클러]]를 쓰는 쪽이 화력도 높고 돌아오는 이익도 크다. 채용할 경우엔 [[로우 레벨]] 덱에 채용하는 편이 낫다고 볼 수 있겠지만 기계족으로서 가지는 이점도 딱히 큰 편은 아니며, 화염족을 섞거나 해서 [[중폭격금 폭탄 페넥스]]의 소재로 쓰는 방법도 있지만 전용 서포트 카드에 [[기계 복제술]]도 대응하는 [[마장기관차 데코이치|마화물차량 보코이치]]라는 카드가 존재한다. 해외판에서는 대포나 피스톨이 붙은 일러스트가 레이저포로 바뀌는 경우가 다반사지만 드물게도 이 카드는 변경되지 않았다. 하지만 게임 등에서 등장하는 일러스트에는 얄짤없이 배색이 변경되었다. == [[리그라스 리퍼]] == == [[토이 매지션]] == == [[네크로페이스]] == == [[기믹 퍼핏]] == == [[토이 매지션|토이나이토]] == == [[장난감상자]] == == [[프린세스 코롱]] == == [[퍼니멀]] == == [[점술공주|점술공주 위저모리간]] == == [[다이너소어잉]] == == [[섀도르]] == = 인형이란 이름이 있는 몬스터 = == [[의문의 인형술사]] == [[분류:유희왕/OCG/시리즈 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