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숙종 시기 왕비, rd1=인현왕후)] [include(틀:조선 추존 왕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조선 원종의 왕비[br]{{{+1 인헌왕후|仁獻王后}}}'''}}}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a122d, #6d1b43 20%, #6d1b43 80%, #4a122d)" {{{#ffd400 '''조선 정원군의 부인|조선 인조의 생모[br]{{{+1 연주부부인|連珠府夫人}}}'''}}}}}}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포 장릉.jpg|width=100%]]}}} || ||<-2> {{{#ffd400 {{{-2 장릉 전경}}} }}} || ||<|2> '''출생''' ||[[1578년]] [[6월 2일]]^^([[음력]] [[4월 17일]])^^ || ||[[조선]] [[한성부]][br](現 [[서울특별시]]) || ||<|2> '''사망''' ||[[1626년]] [[2월 10일]]^^([[음력]] [[1월 14일]])^^[br]{{{-2 (향년 49세)}}}[* [[원종(조선)|정원군]]이 [[조선/왕사|왕]]으로 [[추존]]되기 전에 사망했기에, 생전에 [[왕대비]]였던 적은 없다.] || ||[[조선]] [[한성부]] [[경희궁 회상전|경덕궁 회상전]][* 훗날 [[경희궁]]으로 바뀐다.][br](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45) || || '''능묘''' ||[[장릉(김포)|흥경원]](興慶園) → [[장릉(김포)|장릉]](章陵)[* 육경원(毓慶園)[br]→ 흥경원(興慶園)[br]→ '''[[장릉(김포)|장릉]](章陵)''']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능성 구씨]] || || '''휘''' ||□완(□婉) || || '''부모''' ||부친 능안부원군 [[구사맹]][* [[세종(조선)|세종]]의 적8남 [[영응대군]]의 외고손자.][* [[영응대군]] → 길안현주 → 구희경 → 구순 → 구사맹] (綾安府院君 具思孟, {{{-3 1531 ~ 1604}}}) 모친 평산부부인 [[평산 신씨|신지향]][* [[세종(조선)|세종]]의 서차남 [[계양군]]의 외고손녀.][* [[계양군]] → 부림군 → 이씨부인 → 신화국 → 신지향] (平山府夫人 申芝香, {{{-3 1538 ~ 1622}}}) || || '''형제자매''' ||{{{#!folding 4남 6녀 중 5녀 [ 펼치기 · 접기 ] 오빠 - 구성(具宬, {{{-3 1558 ~ 1618}}}) 오빠 - 구횡(具宖, {{{-3 1562 ~ ?}}}) 언니 - 구경완(具敬婉, {{{-3 1563 ~ 1620}}}) 언니 - 구효완(具孝婉, {{{-3 1567 ~ ?}}}) 언니 - 구정완(具靜婉, {{{-3 1568 ~ ?}}}) 오빠 - 구용(具容, {{{-3 1569 ~ 1601}}}) 언니 - 구장완(具莊婉, {{{-3 1571 ~ ?}}}) 오빠 - 구굉(具宏, {{{-3 1577 ~ 1642}}}) 여동생 - 구신완(具愼婉, {{{-3 1582 ~ ?}}}) }}} || || '''배우자''' ||[[원종(조선)|원종]] || || '''자녀''' ||3남[* [[인조]], [[능원대군]], [[능창대군]].] || || '''작호''' ||연주군부인(連珠郡夫人)[br]→ 연주부부인(連珠府夫人) || || '''전호''' ||계운궁(啓運宮) || || '''휘호''' ||경의정정(敬毅貞靖) || || '''시호''' ||'''인헌왕후(仁獻王后)'''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의 [[추존]] [[왕비]]. [[조선]] 16대 [[조선/왕사|국왕]] [[인조]]의 모후로, 14대 국왕 [[선조(조선)|선조]]의 5남인 [[원종(조선)|정원군]]의 부인이다. 능안부원군(綾安府院君) 구사맹(具思孟)의 딸로 본관은 능성이다. 정원군과 혼인하여 연주군부인(連珠郡夫人)에 봉해졌다가 인조반정 후 남편 정원군이 대원군에 추존되면서 부부인으로 격상되었다. 궁호는 '계운궁(啓運宮)'이고, 정식 [[시호]]는 '''경의정정인헌왕후(敬毅貞靖仁獻王后)'''이다.[* 《[[조선왕조실록]]》 인조 26권, 10년([[1632년]], 임신 / 명 숭정(崇禎) 5년) 5월 3일(경자) 1번째기사.] == 생애 == [[1578년]](선조 11년)에 의정부 좌찬성을 지냈으며 [[세조(조선)|세조]] 때 [[영의정]]이었던 [[구치관]](具致寬)의 동생 구치홍(具致洪)의 현손자인 아버지 능안부원군 [[구사맹]](具思孟)[* 구사맹의 형인 구사안(具思顔)은, [[중종(조선)|중종]]과 [[문정왕후]]의 딸인 [[효순공주]](孝順公主)와 결혼했다.]과 어머니 평산부부인 [[평산 신씨|신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참고로 인헌왕후의 증조모가 [[거창 신씨]]인데, [[연산군]]의 정비 [[폐비 신씨]]의 조카딸 관계가 된다. [[정원군]]과 [[결혼|혼인]]하고 처음에는 '연주군부인(連珠郡夫人)'에 봉해졌다가 [[1623년]](광해군 15년), [[인조반정]]으로 장남 능양군이 [[인조]]로 즉위한 뒤엔 '연주부부인(連珠府夫人)'으로 불렸으며, 이후 머물던 궁의 이름을 따서 '[[이현궁|계운궁]](啓運宮)'으로도 지칭되었다. 이후 [[이괄의 난]]으로 [[창경궁]]이 소실되자 [[인조]]가 [[경희궁|경덕궁]][* 현재의 [[경희궁]].]으로 거처를 옮기면서 어머니인 구씨도 함께 모셔갔고[* 반면에 대왕대비였던 [[인목왕후]]는 [[인경궁]]으로 보내 버렸다. 대비께서 머물기 좁다는 이유였지만 아무래도 [[인조반정|반정]]의 명분을 쥐고 있던 [[인목왕후|그녀]]가 껄끄러웠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 곳에서 거주하다가 [[1626년]](인조 4년) [[2월 10일]]에 [[경희궁 회상전|경덕궁 회상전]]에서 48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장례 때 [[인조]]는 자신이 상주가 되려고 하다가 [[조선/왕사|임금]]이 [[정원군|왕자]] 부인의 [[장례]]를 치를 수 없다는 이유로 무산되었고[* 아직 [[정원군]]이 [[조선/왕사|왕]]으로 [[추존]]되기 전이다.] 대신 명목상 [[의안군]]의 봉사손이었던 둘째 아들 [[능원대군|능원군]]이 돌아와 상주가 되었다. == 가족 관계 == * '''친정([[능성 구씨]])''' * 아버지: 능안부원군(綾安府院君) [[구사맹]](具思孟) * 어머니: 평산부부인 [[평산 신씨|신씨]][* [[신립]]의 여동생이다.](전모 : 청주부부인 [[청주 한씨|한씨]]) * '''시가([[조선/왕실|전주 이씨]])''' * '''시조부 : [[명종(조선)|명종]](明宗) 이환(李峘)''' * '''시조모 : [[인순왕후]] [[청송 심씨|심씨]](仁順王后 沈氏)''' * '''시아버지: [[선조(조선)|선조]](宣祖) 이균/이연(李鈞/李昖)''' * '''시어머니: [[의인왕후]], [[인목왕후]], [[인빈 김씨]]'''[* [[정원군]](원종)의 생모는 [[선조(조선)|선조]]의 [[후궁]]인 [[인빈 김씨]]이지만, 법적인 어머니, 즉 적모(嫡母)는 [[선조(조선)|선조]]의 정실인 [[의인왕후]]와 [[인목왕후]]이다.] * '''배우자 / 자녀''' * 남편: [[원종(조선)|원종]] * 아들: [[인조]], [[능원대군]], [[능창대군]] [[능성 구씨]]와 조선 왕실과의 관계가 사뭇 화려한데 [[태종(조선)|태종]]의 아들인 [[효령대군]]과 [[세종(조선)|세종]]의 후손들이 이리저리 연결된다. 먼저 [[효령대군]]의 증손자 의신군(이징원)의 딸이 구엄이라는 인물과 혼인하는데, 구엄의 아들이 인헌왕후의 아버지 [[구사맹]]이다. 구엄은 [[연산군]]의 사돈이었던 구수영의 손자인데, 구수영이 세종의 아들 영응대군의 딸인 길안현주 이씨와 결혼하여 낳은 아들 중 구희경의 아들이 구순이다.[* 구수영의 또다른 아들인 구문경은 [[연산군]]의 딸인 [[휘신공주]]와 혼인한다.] 즉 구순과 부인 이씨는 외8촌이다. 구순의 아들 중 구사안은 [[중종(조선)|중종]]과 [[문정왕후]]의 딸 [[효순공주]]와 결혼한다. 촌수로 따지면 10촌이다. 구수영의 막내아들인 구신경의 아들인 구한은 [[중종(조선)|중종]]과 숙의 김씨의 딸인 숙정옹주와 혼인한다. 그런데 이들의 촌수가 9촌이다.[* 세종 - 영응대군 - 구수영(길안현주) - 구신경 - 구한, 세종 - 세조 - 의경세자 - 성종 - 중종 - 숙정옹주] 연주부부인(추존 인헌왕후) 구씨와 정원군(추존 원종)의 혼인은 세조의 후손과 영응대군의 후손과의 만남인데 연주부부인 구씨는 영응대군의 외손(영응대군-길안현주(구수영)-구희경-구순-구사맹-인헌왕후)의 후손이며, 정원군은 세조의 후손(세조-의경세자-성종-중종-덕흥군-선조-정원군)이다. 촌수로 따지면 13촌이다. 연주군부인의 오빠인 구성(인조의 큰외삼촌)의 딸(죽수군부인 구씨)은 풍해군과 혼인을 하는데 풍해군은 영양군의 손자이다. 영양군의 동생이 덕흥대원군 즉 선조의 아버지니 풍해군과 정원군은 6촌이며 인조와 풍해군은 7촌이다. 더불어 풍해군의 부인은 인조에게 재당숙모가 되는데 외가 쪽으로 보면 외사촌이다.[* 중종의 적서자녀 중 효순공주, 영양군, 덕흥대원군 모두 본인(효순공주-구사안)이나 그 후손(영양군의 손자 풍해군-죽수군부인 구씨, 덕흥대원군의 손자 정원대원군(추존 원종)-연주군부인(추존 인헌왕후) 구씨)이 능성 구씨와 혼인관계가 성립된다. 정확히 따지면 풍해군의 친아버지는 무산군(성종과 명빈 김씨의 아들(서12남))으로 영양군이 후사가 없어 입적된 것이다. 항렬로 치면 성종의 손자로 양아버지 영양군과 동항렬이다.] 즉 [[능성 구씨]] 시조기준 10 ~ 16대, 구수영 이래 죽수군부인 구씨까지 6대에 걸쳐 구성원 중 한 명은 꼭 [[조선/왕실|왕실]]([[전주 이씨]])와 혼인 관계가 성립되는 가문인 셈이다. 조선 16대 임금 [[인조]]부터 마지막 27대 임금 [[순종(대한제국)|순종]]까지 모두 인헌왕후의 핏줄이다. 참고로 인헌왕후의 숙부 구사민의 12세손이 [[LG]]를 창업한 [[구인회(기업인)|구인회]]이다. == 사후 == 인헌왕후의 능은 남편 [[원종(조선)|원종]]과 합장릉인 '''[[장릉(김포)|장릉]](章陵)'''이다. [[경기도]] [[김포시]] [[풍무동]]에 위치해 있다. 그녀가 죽고 1년 후에 [[정묘호란]]이 발발하게 되는데, 당시 [[후금]]은 [[정묘호란]]의 형제의 예의 화친 조건으로 [[인조]]가 직접 말의 피를 마시며 형제의 의맹을 맺을 것을 강요했다. 이에 조정에서는 난색을 표했고, [[후금]]은 [[인조]]의 모후의 상을 이유로 조건을 완화해서 신하가 피를 마시게 하고 ~~신하는 무슨죄~~대신 [[인조|임금]]이 직접 향을 태우는 것으로 바꿔 형제의 예를 맺게 했다. == 참고 문서 == * [[경희궁|경덕궁]] * [[광해군]] * [[광해군일기]] * [[구사맹]] * [[능원대군]] * [[능창대군]] * [[원종(조선)|원종]] * [[이괄의 난]] * [[인목왕후]] * [[인조]] * [[인조반정]] * [[인조실록]] * [[장릉(김포)|장릉]] * [[정묘호란]] [각주] [[분류:조선의 왕비]][[분류:1578년 출생]][[분류:1626년 사망]][[분류:능성 구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