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과거 인천국제공항에서 시종착했던 KTX 운행계통, rd1=인천국제공항발 KTX)] [include(틀:미개통)] [include(틀:인천광역시/교통)] [include(틀:인천광역시의 교통)] || '''{{{#000000,#dddddd 인천발}}}''' [[KTX|[[파일:KTX BI.svg|width=60]]]] '''{{{#000000,#dddddd 운행계통 노선도}}}''' || ||<^|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word-break: keep-all;min-height:27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lding [ 노선도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 [[파일:KTX Routemap(Normal Theme)(Gyeongbu KTX Incheon).png|theme=light&width=100%]][[파일:KTX Routemap(Dark Theme)(Gyeongbu KTX Incheon).png|theme=dark&width=100%]][br]노선도 상단의 점선(송도~어천)이 신설되는 KTX 운행구간이다. || }}}}}}}}}}}} || [목차] == 개요 == [[인천광역시|인천]]발 KTX를 서술한 문서. == 운행 계통 == === [[경부선|경부]]/[[호남선]] 계통 ([[송도역|송도]] ~ [[부산역|부산]]/[[목포역|목포]]) === [[수인선]] [[송도역]]을 출발해 [[화성고속연결선]]에서 [[경부고속선]]과 합류할 예정인 [[KTX]]의 운행계통이다. 2023년 기준으로 전국 [[특별시]]·[[광역시]] 중 유일하게 고속철도가 다니지 않는[* 서울: [[서울역]], [[용산역]], [[영등포역]], [[수서역]], [[청량리역]], [[상봉역]] / 부산: [[부산역]], [[구포역]], --[[부전역(동해선)|부전역]]-- / 대구: [[동대구역]], [[서대구역]] / 광주: [[광주송정역]] / 대전: [[대전역]], [[서대전역]] / 울산: [[울산역]]] [[인천광역시]]의 교통 취약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물론 인천에 고속철도가 아예 지나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인천공항1터미널역]]-[[인천공항2터미널역]]을 출발해서 [[검암역]]에 정차한 뒤 [[인천국제공항철도]]와 [[수색직결선]]을 통해 [[서울역]]과 [[용산역]]으로 향하던 [[인천국제공항선 KTX]]가 있기는 했다. 이 노선은 2014년에 개통됐다가 저조한 수요와 비효율성으로 인해 [[2018 평창 동계올림픽]] 폐막 후 사라졌다.] 대안 노선 중 하나다. 민선 6·8기 [[인천광역시장]]인 [[유정복]]이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당시 공약한 바 있으며 [[안산선]] [[초지역]], [[수인선]] [[어천역]]을 개량하고 [[화성고속연결선]]을 신설해 [[경부고속선]]과 합류하도록 할 예정이다. ==== 연혁 ==== * 2020년 12월 20일, [[국토교통부]]에서 [[수원발 KTX]]와 함께 연내 착공에 돌입할 것임을 밝혔다. 2024년에 마무리되는 본 사업은 기존에 알려진 것과 같이 [[어천역]]과 [[경부고속선]] 사이에 직결선을 부설하는 것이 핵심으로, 완공 및 개통되면 [[송도역]]에서 [[부산역]]까지 2시간 20분, [[목포역]]까지 2시간 10분이면 도착할 수 있다고 하며 이를 위해 [[송도역]]과 [[초지역]], [[어천역]] 등 정거장 3개소를 개량할 예정이다. 6.15km 길이의 단선병렬 연결선을 신설하고 1.23km 구간의 일반선을 활용하는 등 공사 구간의 총연장은 7.38km이다. ==== 상세 ==== * [[인천국제공항]]을 출발해 [[검암역]]을 거쳐 운행했던 [[인천국제공항발 KTX]] 노선이 완전 폐지된 이후,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의 공약으로 인천발 KTX 사업이 추진되었고, [[국토교통부]]의 연구용역에서 타당성(B/C)값이 1.29로 나와 사업 추진이 확정되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7773014|출처]] 지금은 폐지된 인천공항발 KTX에 이어 인천광역시의 두 번째 KTX 개통 추진이다. * [[예비타당성 조사]] 보고서를 [[KDI]]에서 열람할 수 있다. [[https://kdi.re.kr/research/subjects_view.jsp?pub_no=14998|#링크]] *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이후 기본설계를 거쳐 [[2018년]] [[2월 28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8-121호를 통해 '수원·인천발 KTX 직결사업 기본계획' 고시와 함께 사업이 최종 확정되었다. [[국가철도공단]]은 이 사업 예산을 [[2018년]]내에 조기집행을 명시하였다. [[http://m.engdaily.com/news/articleView.html?idxno=8015|출처]] * 운행차량은 [[KTX-산천#s-3.1|110000번대 KTX-산천]] 24편성 240량, [[KTX-산천#s-3.4|140000번대 KTX-산천]] 15편성 150량을 활용할 계획이다. * 인천발 KTX 사업 완료 시 소요시간은 [[부산역|부산]]까지 2시간 40분([[인천국제공항선 KTX|과거 인천국제공항발 KTX]] 기준 60분 단축), [[광주송정역|광주]]까지 1시간 55분([[인천국제공항발 KTX|과거 인천국제공항발 KTX]] 기준 65분 단축) 등이 소요된다. 또한, [[경강선]]의 시점이라고 볼 수 있는 [[월곶-판교선|월곶-판교]] 구간이 개통된다면 [[광명역]]을 거쳐 [[송도역|인천]]발 [[강릉역|강릉]]행 [[KTX-이음]] 운행이 예정되어 있고 [[동해역|동해]], [[문경역|문경]], [[부전역(동해선)|부전]]행 고속열차를 어느정도 기대해 볼 수 있다. 또한, [[제2공항철도]] 노선이 개통된다면 [[인천국제공항발 KTX|인천국제공항발 고속철도]]가 재개통할 가능성도 있으며, 실제로 2020년 7월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인천광역시]]에 이 사업을 제안했다. * 인천·수원발 KTX 직결사업을 위한 환경영향평가(초안) 주민설명회를 2020년 5월 19일 진행한 [[국가철도공단|한국철도시설공단]]은 설명회가 별다른 쟁점 없이 마무리되었으며, 예정대로 2020년 연말에 착공이 유력하다고 밝혔다. 본 문서에서 다루는 인천발 KTX의 경우 상술한 것과 같이 화성 [[어천역]]에서 봉담읍의 [[경부고속선]]을 연결하는 3.1km의 '[[화성고속연결선]]' 신설이 골자이며, 3936억원을 들여 2024년 말까지 마무리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다. 또, 같이 추진되는 [[수원발 KTX]]와 동시 개통이 유력시되고 있다. * 해당 노선과 수원발 KTX가 개통하는 시점에서 경부고속선과 호남고속선이 중첩되는 평택-오송간의 선로용량이 포화될 것이 거의 확실해짐에 따라 [[평택-오송 고속철도]] 사업도 같이 궤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 [[제2공항철도]]가 개통할 시 [[인천광역시]]와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인천발 KTX를 [[인천국제공항]]으로 연장, 다시 말해서 [[인천국제공항발 KTX]]를 부활시킬 계획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518323?sid=102|#]] * [[2021년]] [[1월 9일]], [[국가철도공단]]에서는 [[수원발 KTX]]와 인천발 KTX 사업을 [[2020년]] [[12월 21일]] '''착공했음'''을 공개하였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기공식은 따로 시행하지 않았다고 한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21&aid=0005097985|기사]] * 2021년 4월 13일, 인천시는 국토교통부가 '인천발 KTX 직결사업'에 대한 실시계획을 승인했다고 [[http://news.kbs.co.kr/news/view.do?ncd=5161287|밝혔다.]] * 2021년 7월, 인천시는 출발역을 송도역에서 [[인천역]]으로 변경하고 추가 정차역으로 [[인천논현역]]을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전에 [[박남춘]] 시장은 시의회에서 "인천발 KTX의 출발역을 인천역으로 변경하는 방안에 대해 먼저 타당성을 확보하고 지역 정치권과 힘을 합쳐 실현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http://www.ifm.kr/news/314717|#]] * 2021년 8월, 인천시가 경강선 KTX-이음과 인천발 KTX 기점을 송도역에서 인천역으로 변경하는 사업의 타당성 검토 용역을 추진하자 [[연수구]] 원도심 및 [[송도국제도시]]를 비롯한 [[송도역]] 연선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http://www.isisa.net/news/articleView.html?idxno=210413|#]] 정승연 [[국민의힘]] [[연수갑]] 당협위원장도 '주민 의견 수렴 없이 용역을 진행한 인천시는 주민들에게 사과해야 한다'는 주장을 피력하면서, 연수구 정치권에서도 인천역 연장 사업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 2022년 1월, 인천시는 경강선 및 인천발 KTX의 기점을 송도역에서 인천역으로 연장하고, 경강선 KTX가 인천논현역에 추가 정차하는 방안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용역을 발주했다. 22년 말까지 용역을 진행한 뒤, 경강선 및 인천발 KTX의 인천역 연장과 경강선 KTX의 인천논현역 추가정차를 추진할 논리를 개발해 정부 설득에 나설 계획이다. [[http://www.incheonin.com/news/articleView.html?idxno=88011|#]] 하지만 2023년 2월에 나온 타당성 조사 용역 결과, 사업성이 낮다고 분석되면서 향후 추진 여부가 불투명해졌다. [[http://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183940|#]] * [[김정헌]] 중구청장이 KTX 인천역 유치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힌데 이어, 인천 중구에서는 2022년 9월~11월까지 KTX 인천역 유치를 위한 범구민 서명운동을 진행했다. [[https://blog.naver.com/icjunggu/222875485323|#]] [[동구(인천광역시)|동구]]와 힘을 합친 결과, 목표를 200% 초과하는 총 67,300명의 서명을 받았다. 2023년 1월 16일에 중구청과 동구청이 인천역 KTX 유치 추진 등 구도심 활성화를 위한 지역의 현안과 관련해 공동 대응하는 내용의 협약을 맺었다.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230116010002929|#]] * 고속열차 발주가 늦어지면서 개통이 2025년으로 미뤄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국내 유일의 고속철 제작업체인 현대로템에서 수익성이 낮아 입찰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발주가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493371?sid=102|#]] 현대로템은 유감을 표명했다. [[https://www.fnnews.com/news/202210110851563579|#]] 결국 2023년 2월에 160000호대(EMU-320) 17편성 136량이 한번에 발주되어 시운전 기간을 포함하면 2025년은 되어야 본격적인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경강선 KTX로 도입했다 KTX-이음(150000호대)로 대체된, 기존 경부&호남고속선에 투입되는 [[140000호대]] 열차를 인천발&수원발 KTX에 투입하면 정상운영이 가능하지만, '''안 그래도 자리가 모자란 기존 고속선 차량을 빼기는 매우 곤란할 것이다.''' 160000호대 17편성 중 인천발&수원발 KTX용 순증차분은 2편성이고, 나머지는 KTX-1 초도분 7편성의 대체분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 운행 계획 ==== 인천발 KTX 사업이 완료되면 모든 편성이 [[KTX-산천#s-3.1|110000호대 KTX-산천]], [[KTX-산천#s-3.4|140000호대 KTX-산천]][* 강릉선 KTX로 운행했으며, 2021년 8월 1일 부로 경강선에는 [[KTX-이음]]이 투입되었다. 고시된 계획으로는 140000호대가 전용하여 투입될 것이나 160000호대 EMU-320의 발주 물량으로 보건대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확실한 건 KTX-1 100000호대는 절대 투입되지 않는다는 것 뿐이다.]으로 운행할 계획에 있다. 2017년 기본계획(안)을 통해 1일 24회 운행이라는 기사가 떴으나, 정부에서는 확정되지 않았으며 다른 노선처럼 개통 2개월 전쯤 확정하겠다는 입장이다.[[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224257|#]] 이에 기본계획 고시에 운행횟수는 빠져서 고시되었고, 언론에서는 KDI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산정한 일 18회를 인용하고 있다.[[http://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074890|#]] 아래 내용도 예비타당성 보고서 pp.120~124의 내용을 인용한 것이다. * [[경부고속철도]](송도-부산): 단편성 8회 + 중련편성 5회[*분리 [[오송역]]에서 분리운행]로 '''총 13회''' * [[호남고속철도]](송도-목포): 중련편성[*분리] 5회로 '''총 5회''' * 두 가지 대안(대안1, 대안2)이 제시되었는데 인천발 KTX의 운행횟수는 차이가 없고, 기존 고속철도 운행횟수를 유지하는 안(대안1)과 축소하는 안(대안2)의 차이이다. 일단 예비타당성 조사안에 따르면 경부고속선과 호남고속선, 그리고 강릉선 KTX만 운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최근 기사에 따르면 전라선, 경전선, 동해선, 중앙선까지 대다수 계통의 KTX가 운행될 수도 있다는 기사가 나왔다. [[http://www.incheon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205356|#]] 2021년 1월 21일자, 같은 언론사의 후속보도에서는 전라선, 남부내륙선 등의 계통은 '''가능'''하다는 식으로 언급되고 있다. [[https://www.incheon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205643|#]] 즉, 경부선 호남선 계통은 운행이 확정적이며 그 외의 운행 계통은 [[코레일]]이 관계 기관과 협의하여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비슷한 지역의 노선은 [[복합열차]]로 편성해서 운행하면 되기 때문에 경전선은 경부고속선 열차와, 전라선은 호남고속선 열차와, 중앙선은 강릉선 열차와 연결해서 운행할 수 있다. ==== 역 목록 ==== [include(틀:철도 관련 정보/일러두기)] || ㎞ || 역명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노선 || 소재지 || || 0.0 || [[송도역|송 도]] || t || ─ || ⊙ || || [[인천광역시]] [[연수구]] || || 21.4 || [[초지역|초 지]] || T || ─ || ◑ ||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 || 43.4 || [[어천역|어 천]] || t || ─ || ○ || ||<|2> [[경기도]] [[화성시]] || || 44.6 || [[화성고속연결선|매송분기점]][* 여객취급은 하지 않으며, 순수히 분기점 역할만 할 예정이다.] || || || || [[경부고속선]] || === [[경강선]] 계통 ([[송도역|송도]] ~ [[강릉역|강릉]])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경강선)] [[수인선]] [[송도역]]을 출발해 [[월곶역]]에서 [[경강선]] [[월곶판교선|월곶~판교 구간]]과 합류할 예정인 [[KTX-이음]]의 운행계통으로, [[영동고속도로]]의 철도판이 될 노선이다. 2021년 2월 5일에는 인천-강릉 [[KTX-이음]]이 30분 배차간격으로 운행될 것이라는 기사도 등장했다. [[http://www.incheon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206036|#]] 현재 서울역 출발 [[강릉선]]의 배차간격이 1시간인 것에 비추어 볼 때 굉장히 낙관적인 예상으로 보인다. 이후 발표된 [[여주원주선]]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에서는 송도-강릉은 11회, 송도-원주[* 보고서상은 공사역명인 '남원주역'으로 표기하였다.]가 11회로 각각 98분 간격이다.[* 18시간을 11로 나눈 값.] 최근 공개된 자료에 의하면 편도 기준 송도-강릉 16회, 송도-동해 3회 운행 할 예정이라고 한다. [[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319969|#]][* 참고로 2022년 현재 서울-강릉은 평일 기준 14왕복, 서울-동해는 4왕복이 운행되고 있고, 주말에는 청량리 착발로 강릉 7왕복, 동해 3왕복이 추가된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당시 [[인천광역시장]] 후보였던 [[유정복]]이 1호 공약으로 인천항 내항을 재개발하는 '제물포 르네상스'를 내세우면서 경강선 KTX의 인천역 연장 운행 추진도 공약에 포함시킴에 따라 기점이 송도역에서 [[인천역]]으로 변경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20503000001|#]] 다만 송도역에서 출발하는 기존 인천발 경부·호남·경강선 KTX 계획부터 우선적으로 해결한 다음 인천역까지의 노선 연장을 추진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 관련 문서 == * [[화성고속연결선]] * [[수원발 KTX]] * [[인천역]] * [[송도역]] * [[초지역]] * [[어천역]]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운행계통]][[분류:수인선]][[분류:안산선]][[분류:경부고속선]][[분류:인천광역시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