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인천경제자유구역]] [include(틀:대한민국의 경제자유구역)] [include(틀:인천경제자유구역)] ||<-4>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크기=20)] [[대한민국|{{{#000000,#dddddd 대한민국}}}]]의 [[경제자유구역|{{{#000000,#dddddd 경제자유구역}}}]]'''[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인천경제자유구역 엠블럼.svg|height=65]]}}}||{{{#!wiki style="margin: -5px 0" '''{{{+1 인천경제자유구역}}}'''[br]仁川經濟自由區域[br]{{{-1 Incheon Free Economic Zone:'''IFEZ'''}}}}}}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송도 영종 청라 국제도시.png|width=100%]]}}} || ||<-2> [[인천경제자유구역청|{{{#ffffff '''경제청 소재지'''}}}]] ||<-2> [[연수구]] [[아트센터대로]] 175 || ||<-2> '''투자지구''' ||<-2> 3개 지구 || ||<-2> '''면적''' ||<-2> 123.65㎢ || ||<-2> '''인구''' ||<-2> 410,701명[* 2022년 6월 말 기준, 외국인 6,525명 포함 [[http://www.ifez.go.kr/noti002/2003024|IFEZ 인구통계 현황 기준]]] || ||<-2> '''인구 밀도''' ||<-2> 3,280.91명/㎢ || ||<-2> [[인천경제자유구역청|{{{#ffffff '''청장'''}}}]] ||<-2> [[김진용(정치인)|김진용]] || ||<-4> [[https://www.ifez.go.kr|[[파일:인천경제자유구역청 CI.svg|width=40]]]] {{{#0a1e64,#fff |}}} [[https://blog.naver.com/ifezucity/|[[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FEZ 종합안내도.png|width=100%]]}}} || || {{{#fff '''3개지구 통합 구획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lFuuQHbDc4, width=100%)]}}} || || {{{#fff [[인천경제자유구역청|{{{#fff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의 인천경제자유구역 홍보영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인천광역시]]에 지정된 [[경제자유구역]]이다. 총 122.43㎢ 부지에 537,743명을 수용하고 사업비 81조 5,230억원을 들인다. 송도는 비즈니스, IT·BT 기능을, 영종은 물류, 관광 기능을, 청라는 금융, 레저 기능을 맡는다. [[https://www.ifez.go.kr/ivt072|IFEZ 개발 개요]] IFEZ 개발 개요에 따르면 송도국제도시의 주요개발계획은 국제업무단지, 지식정보산업단지, 바이오단지, 송도국제화복합단지, 첨단산업클러스터, 송도랜드마크시티, [[인천신항]]이며 영종국제도시는 [[인천국제공항]] 2, 3, 4단계 사업, [[영종하늘도시]], [[미단시티]], 용유무의 복합도시이다. 청라국제도시의 주요개발계획은 국제업무단지, 테마파크형 골프장, [[인천하이테크파크]], [[인천로봇랜드]], 유통산업이다.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2005년 송도신도시를 송도국제도시로 명명했다.[[https://www.ifez.go.kr/noti004/11606|#]]][* 2014년 송도지구에서 송도국제도시로 명칭을 변경하였다.[[https://www.ifez.go.kr/noti004/1522039|#]]], [[중구(인천)|중구]] [[영종국제도시]][* 2018년 영종지구에서 영종국제도시로 명칭을 변경하였다.[[https://www.ifez.go.kr/noti004/1720332|#]]], [[서구(인천광역시)|서구]] [[청라국제도시]][* 2011년 청라지구에서 청라국제도시로 명칭을 변경하였다.[[https://www.ifez.go.kr/noti004/1505158|#]]]의 3개 지구 개발사업이 진행 중이며 송도국제도시는 53.36㎢부지에 계획인구 26만 5611명, 영종국제도시는 52.30k㎡ 면적에 계획인구 18만 3762명, 청라국제도시는 17.81㎢에 계획인구 9만명으로 예정되어 있다. 현재 [[송도국제도시]]는 9, 10, 11공구 개발사업이 급속도로 진행 중이며, 영종국제도시의 영종2지구 개발사업이 꾸준히 진행중이다. 청라국제도시는 주거지구 개발이 거의 마무리되어가고 있다. 경제자유구역 사업의 취지에 가장 알맞게 진행되고 있는 곳이다. 인천경제자유구역을 제외한 나머지 구역은 본 취지인 국제기구 유치나 금융업무단지 조성을 통한 국제도시를 만드는 것보다는 산업단지의 확충과 지방균형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사업 구역 == === [[송도국제도시|{{{#CF007F 송도국제도시}}}]] === * [[송도국제도시]] 문서 참고. >IT·BT의 첨단 지식 및 서비스산업의 글로벌 거점으로 육성되고 있습니다. >15개의 국제기구와 해외 명문대들이 한 곳에 집중되어 클러스터를 이루고, >고부가가치 MICE산업에 가속도를 더할 송도컨벤시아 2단계가 준공되었습니다. 송도국제도시는 초기 청사진보다 느리지만 계속적으로 개발되고 있고 각종 대학 캠퍼스와 기업들이 들어오고 있다. 현대프리미엄아울렛, [[트리플스트리트]], 등 다양한 쇼핑몰과 아울렛이 있어 상권이 뛰어나다. 추후 9공구 [[골든하버]]에는 카지노 복합 마리나 리조트가, 10공구에도 복합 마리나 리조트가 들어설 예정이다. 연세대 [[송도세브란스병원]]도 개원 예정이다. 다양한 국제기구가 위치해 있다, [[GTX-B]][* 2020년 12월, 인천시 교통국은 GTX-B 노선과 [[남부광역급행철도]]의 환선 요구에 대해 "두 사업의 추진 일정이 달라 현재로서는 청원 내용을 검토하기에 어려움이 있다"며 "앞으로 서울남부광역급행철도 사업이 국가철도망계획에 반영되고 예타 통과 등 정상적으로 추진될 경우 환선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답했다.[[http://www.kiho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903611|#]]] 및 [[인천 도시철도 송도트램|송도트램]], [[주안송도선]]의 개통이 예정되어 있으며, 환승을 통해 [[송도역]]에서 [[인천발 KTX]]와 [[제2공항철도]], [[경강선]] [[월곶판교선|월곶~판교 구간]] 등이 연계될 예정이다. 신개념 수요응답형 버스 [[I-MOD]]가 2021년 7월부터 운행중이다. [[제2경인고속도로]] [[송도IC]]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인천대교]]를 통해 단시간에 [[인천국제공항]]에 갈 수 있다. [[아암대로]], [[송도해안도로]]와 [[제3경인고속화도로]]를 연계해 송도와 타 지역을 빠르게 연결한다. 2029년에는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의 인천~안산 구간이 개통될 예정이다. === [[영종국제도시|{{{#00A0C6 영종국제도시}}}]] === * [[영종국제도시]] 문서 참고. > 인천국제공항이 있는 영종은 미단시티에 국내 처음으로 해외자본의 카지노 복합단지 개발사업이 사전허가되면서 성장의 기폭제가 되었습니다. > ‘한국판 라스베이거스’라는 화려한 타이틀과 함께 외국인 전용 카지노, 호텔, 컨벤션, 쇼핑몰의 복합리조트와 마리나를 연계한 복합레저관광도시로 육성되고 있습니다. 영종국제도시는 파라다이스시티, [[인스파이어 복합리조트]], [[영종드림아일랜드]] 등 리조트와 카지노 위주로 개발될 예정이다. 파라다이스시티는 현재 1단계 시설물이 모두 개장해 정상적으로 운영 중이며, [[인스파이어 복합리조트]]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국내 최초의 글로벌 테마파크인 [[파라마운트]] 테마파크[* 실내 2025년, 야외 2031년 개장] 및 1만 5천석 규모의 아레나, 5성급 호텔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영종드림아일랜드]] 역시 현재 부지조성공사를 진행 중이다. 핵심 시설인 [[인천국제공항]] 역시 4단계 확장을 진행하는 등 규모를 키워나가고 있다.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및 신개념 수요응답형 버스 [[I-MOD]]가 현재 운행 중이며, 추후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와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간의 직결운행 및 [[영종트램]] 개통이 예정되어 있다. 이외에도 인천시는 [[제2공항철도]],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2/3단계 사업 또한 추진 중에 있다. [[제2경인고속도로]]와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가 영종과 타 지역을 빠르게 연결한다. 이 두 도로는 민자도로이나, 2022년경 재정 고속도로의 1.1배 수준으로 통행료가 인하될 예정이다. 영종과 타 지역을 연계하는 무료도로[*주민한정]가 될 예정인 [[제3연륙교]]는 2020년 12월 22일 착공했으며, 2025년 12월 개통할 예정이다. === [[청라국제도시|{{{#7FC31C 청라국제도시}}}]] === * [[청라국제도시]] 문서 참고. >청라는 국제 금융·유통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br]하나금융타운의 통합데이터센터가 운영중이며, 청라의 랜드마크가 될 시티타워와 신세계 교외형 복합쇼핑몰이[br]각각 2027년에 완공될 예정으로 신개념 주거단지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청라국제도시는 공동주택 부지의 분양을 모두 마쳤으며 대형 야외 스트리트몰이자 녹지공원인 [[커낼웨이]]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스타필드(쇼핑몰)|스타필드]]와 코스트코 등 대형 상업시설의 입점이 확정되었다. 높이 448m의 국내에서 가장 높은 타워[* 법적 구분 상 [[마천루]]와 '타워'는 다르다. [[롯데월드타워]]는 이름에 타워가 들어가지만 법적으로 [[마천루]]이므로 청라시티타워는 완공될 시 국내에서 가장 높은 '타워'이다. 마천루와 타워의 명확한 법적 구분이 필요한 경우 [[마천루]] 항목 참조. 청라 내부의 [[마천루]]는 [[청라 푸르지오]]와 [[청라 더샵 레이크파크]], [[청라 엑슬루타워]]가 있다.]가 될 예정인 [[청라시티타워]]는 2022년 현재 건설 중이다. 2027년 완공예정인 청라 [[스타필드(쇼핑몰)|스타필드]]에 [[신세계그룹]]의 부회장인 [[정용진]]이 '''돔 야구장'''을 짓겠다는 계획을 발표해 [[고척 스카이돔]]에 이어서 대한민국에서 2번째로 돔 구장이 생길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이기도 하다. 자세한 내용과 관련 논의는 [[청라 돔 야구장]] 항목 참조. [[서울아산병원]]이 청라의료복합단지 우선협상자 권리를 취득하면서 800병상 규모의 분원을 지을 예정이다. 2021년 9월부터 '''서울아산병원-청라분원'''이라는 이름으로 서울아산병원에서 계획을 추진한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아산병원]] 항목 참조. [[청라-강서 BRT|간선급행버스]]가 현재 운영 중이며, 청라 전역을 관통하는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이 2027년 개통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인천시는 [[대장홍대선]] 청라 연장을 추진중이다.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청라IC]]를 이용할 수 있으며, [[봉오대로]] 중앙차로의 [[경인고속도로]]가 지정이 추진중이다. 2021년 4월 개통할 [[서울제물포터널]]의 간접 영향권에 들어 서울 접근성이 한층 개선될 것으로 보이며, 2025년 제3연륙교가 개통하면 인천국제공항 접근성 역시 좋아질 것이다. == 현황 == 송도국제도시, 영종국제도시, 청라국제도시 삼각 벨트를 통해 인천광역시의 도시 구조를 재편하려는 계획이다. [[서울특별시]]로의 교통이 불편하다는 불만이 제기되기도 하는데, 인천경제자유구역은 '''대규모 업무지역을 보유한 자족도시로 계획'''되었으며, 인천경제자유구역의 주거지역은 서울의 [[베드타운]]이 아닌 자체적인 주거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주택들이므로 처음부터 서울 통근을 상정하고 만든 [[신도시]]보다 서울 접근성이 떨어지는 게 당연하다. 인천광역시 내부나 인천권[* [[부천시]], [[시흥시]], [[김포시]] 등]에 직장을 둔 사람들은 서울 통근자들에 비해 확연히 생활 만족도가 높다. 다만 주거지역의 조성이 업무지역보다 매우 빨랐기 때문에 주거지역의 입주민들은 대부분 서울 통근자였고, 이들의 지속적인 문제 제기에 힘입어 2021년 현재는 왠만한 [[2기 신도시]] 급으로 서울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2019년 4월 29일, SK텔레콤과 인천경제자유구역청(IFEZ)은 송도동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서 '5G 기반 자율주행 인프라 구축 및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277&aid=0004458250|#]] 양측은 인천경제자유구역을 5G스마트시티로 확대 발전시킬 계획이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2021년 4월말 현재, 외국인 직접투자액(FDI)이 목표액(6억 5,600만 달러, 신고액 기준) 대비 52%(3억 4,400만 달러)를 넘어섰으며, 올 연말까지 목표액의 80%(5억 2,500만)를 초과 달성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8일 밝혔다. [[http://press.incheon.go.kr/citynet/jsp/sap/SAPNewsBizProcess.do?command=searchDetailSvp&sido=&matOfYmd=20201008&matSno=7&flag=&viFlag=in|#]]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서 공지한 2023년 5월 기준 주민등록인구는 아래와 같다. || '''지역명''' || '''인구 전체''' || '''외국인''' || ||<#CF007F> [[송도국제도시|{{{#fff '''송도국제도시'''}}}]] || 200,511 || 4,764 || ||<#00A0C6> [[영종국제도시|{{{#fff '''영종국제도시'''}}}]] || 113,296 || 2,018 || ||<#7FC31C> [[청라국제도시|{{{#fff '''청라국제도시'''}}}]] || 114,259 || 1,140 || || 합계 || 428,066 || 7,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