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 [[파일:6780.jpg|width=100%]] || || 폐선 직전의 모습.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인천광역시 광역버스 6780번}}} || ||<-2> 기점 ||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부평역) ||<-2> 종점 ||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KTX광명역셔틀버스(지하)) || ||<|2> 종점방면 || 첫차 || 06:00 ||<|2> 기점방면 || 첫차 || 07:00 || || 막차 || 22:00 || 막차 || 23:00 || ||<-2> 평일배차 || 60분 ||<-2> 주말배차 || 60분 || ||<-2> 운수사명 || [[이삼화관광]] ||<-2> 인가대수 || 4대 || ||<-2> 노선 경유지 ||<-4> [[부평역]] - [[모래내시장역]] - [[만수역]] - [[남동구청역]] - [[서창JC]] - [[제2경인고속도로]] - [[일직JC]] - [[서해안고속도로]] - [[광명역IC]] - [[KTX]][[광명역]]셔틀버스(지하) || == 개요 == [[이삼화관광]]에서 운행했던 광역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8km이다. == 역사 == * 2018년 3월 2일에 [[인천 버스 6790|6790번]], [[인천 버스 6800|6800번]]과 함께 신설되었다. * 2018년 3월 13일에 첫/막차가 조정되었고 1일 39회 운행에서 32회로 감회되었다. * 2018년 6월 25일에 배차간격이 30분에서 1시간으로 늘어나 1일 17회로 감회되었으며 부평역 첫차가 5시 30분에서 6시로 조정되었다. [[https://blog.naver.com/daegun09/221303832316|#]] * 2018년 9월 8일에 적자 누적으로 폐선되었다.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80492|관련 게시물]] == 특징 == * 현금 승차가 불가능했던 노선이다. * 부평역과 만수동에서 광명역을 이어주는 KTX 셔틀버스 노선이였다. 하지만 배차간격이 좋지 못했고, 노선거리에 비해 요금이 비싸 타는 승객은 거의 없었다. * 왕복 운행거리는 웬만한 간선버스보다 짧은데도, 광역버스 요금을 받고 운행했었다. * [[현대 유니시티|유니시티]] 41인승 가스차량 4대로 운행했다. * 광명역에서는 셔틀버스 정류장(14455)과 광명역 동편(14220, 인천 방면만)에 정차했다. === 시간표 === 2018년 6월 25일 기준이었다. [[https://blog.naver.com/daegun09/221303832316|#]] 매시 정각에 [[부평역]], [[광명역]]에서 출발했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부평역]], [[광명역]] * [[파일:Incheonmetro1_icon.svg|width=17]]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부평역]] * [[파일:Incheonmetro2_icon.svg|width=17]] [[인천 도시철도 2호선]]: [[모래내시장역]], [[만수역]], [[남동구청역]]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광명역]]([[KTX]]) [[분류: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폐선]][[분류:2018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18년 폐지된 버스 노선]][[분류:현금 승차 제한 시내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