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인천광역시 간선버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G_6178.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화10번_뉴슈퍼개선형.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10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10_인천_0116기준.png|width=100%]]}}} || ||<-2> 기점 || 인천광역시 중구 북성동1가(월미도) ||<-2> 종점 || 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동(삼산주공1단지) || ||<|2> 종점[br]행 || 첫차 || 05:00 ||<|2> 기점[br]행 || 첫차 || 05:00 || || 막차 || 23:00 || 막차 || 23:00 || ||<-2> 평일배차 || 13~16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16~20분 / 공휴일 20~23분 || ||<-2> 운수사명 || [[동화운수(인천)|동화운수]] ||<-2> 인가대수 || 15대(예비 1대)[* 토요일 14대 / 공휴일 12대 운행.] || ||<-2> 노선 ||<-4> [[월미도]] - (→ 월미테마파크 → 해사고등학교 → /← 대한제당 ←) - [[월미공원역]] - 인천제8부두 - [[인천역]]([[차이나타운(인천)|차이나타운]]) - 개항동어울터 - [[동인천역]] - (→ 동구청 → 송림시장 →/← 배다리 ← 송림오거리 ←) - 동산고등학교 - [[제물포역]] - 정부인천지방합동청사 - [[주안역]] - [[간석역]] - [[동암역]] - 인천십정초등학교 - 십정고개 - 상정고등학교 - 부평도서관 - 2001아울렛 - [[부평역]] - 부평시장 - 부흥오거리 - [[굴포천역]] - 삼산사거리 - 대보아파트 → 삼보아파트 → 삼산농산물시장 → 미래타운5단지 → 삼산주공1단지 → 대보아파트 → 이후 역순 || ||<-2> {{{#fff '''중간 출발 정류장'''}}} || || '''삼산동''' 방향 || 동인천역, 주안역, 부평역(대한극장) || || '''월미도''' 방향 || 2001아울렛, 간석종합시장, 신태양아파트 || == 개요 == [[동화운수(인천)|동화운수]]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7.8km다. [[http://map.naver.com/?busId=21009&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1990년대 후반까지는 종점이 신복사거리 인근의 부평어울림센터 앞이었다. 또한 독정이 구간에서는 '독정이 - 남부역 - 제2국제여객터미널 - 중구청 - 인천역'으로 다녔다. * 2001년 개별 배차제가 시행 때 동화운수에서 운행하고 '독정이 - 남구청 - 도원역 - 동인천역'으로 변경되어 [[동인천역]] 구간을 2회 왕복하게 되었다. * 2009년 2월 25일에 갈산동 구간이 직선화되었고 계산택지 구간이 단축되었다. * 2012년 8월 6일에 본래 회차지점이던 수봉각[* 당시 존재했던 중국집. 2021년에 폐점했고 그 자리에는 [[세븐일레븐]] 미추홀수봉점이 새로 들어왔다.]이 정식으로 정류장 인가를 받았다. * 금곡로 구간의 하수도 및 도로정비 공사로 인해 2014년 8월 1일부터 20일까지 삼산동 방향도 수봉로를 경유하였다. * 만석고가교 교면포장공사에 따라 2015년 11월 7일부터 21일까지 동인천역에서 회차하였다. || [[파일:인천!10 변경.jpg|width=100%]] || * 2016년 7월 30일 시내버스 개편으로 기점이 월미도로 연장되었다. 기점 연장으로 충전을 위해 월미도까지 회송하는 불편이 해소되었다. 노선 변경으로 들어가지 않게 된 '동일방직~동인천역' 구간은 [[인천 버스 2|2번]]이 대체하고, '배다리청과물시장~수봉각' 구간은 [[인천 버스 506|506번]]이 대체한다. 배차간격은 10~14분으로 조정되었다. * 2020년 12월 31일 시내버스 개편으로 3대가 감차되어 배차간격이 평일 10~14분/토요일 13~18분/공휴일 15~21분에서 평일 13~16분/토요일 16~20분/공휴일 20~23분으로 늘어났다. == 특징 == * 전반적으로 굴곡 없이 직선인 노선으로, 부평역 이북 지역에서 원도심으로 가기에 최적화 된 노선이다. * '동인천~간석종합시장' 구간은 [[인천 버스 62|62번]]과 배다리 골목길 구간을 제외하면 전 구간이 중복된다. 노선의 절반 정도 되는 구간이며 배차간격이 62번이 더 좋은 편이라 이 구간의 승객들은 62번을 더 선호한다. * 인천역부터 부평역까지 수도권 전철 1호선과 병주한다. 다만 백운역은 부평도서관 정류장에서 내려서 조금 걸어가야 하고, 도원역은 경유하지 않는다.[* 2016년 개편 전에는 경유했으나 노선이 바뀌면서 미경유로 바뀌었다.] * 제물포역 인근 선인재단 학생들의 통학 시간대를 제외하고는 승객들의 호응도가 그렇게 높지 않다. * 부평로데오거리나 테마의거리에서 삼산동 방면으로 이동하는 수요가 많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인천역]], [[동인천역]], [[제물포역]], [[주안역]], [[간석역]], [[동암역]], [[부평역]] * [[파일:Incheonmetro1_icon.svg|width=17]]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부평역 * [[파일:Incheonmetro2_icon.svg|width=17]]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주안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굴포천역]] *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인천역 [[분류:인천광역시의 간선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