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인창고등학교(경기))] [include(틀:고교야구 주말리그/경기B(전반기))] [include(틀:고교야구 주말리그/경기A(후반기))] ||<-2> [[파일:인창고등학교 로고.png|width=200]] || ||<-2> {{{#fff '''인창고등학교 야구부'''}}}[br]{{{#fff '''(Inchang High School)'''}}} || || {{{#fff '''창단'''}}} || [[2000년]] [[3월]] || || {{{#fff '''소속 리그'''}}} || 경기권 || || {{{#fff '''감독'''}}} || 송성수 || || {{{#fff '''우승 기록'''}}}[* 4대 메이저 + 협회장기] || 0회 || || {{{#fff '''홈페이지'''}}} || [[http://www.inchang.hs.kr/board.list?mcode=131610&cate=131610|[[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2> [include(틀:지도, 장소=구리인창고등학교, 너비=100%, 높이=225px)] || || {{{#000080,#81c1fa '''대회'''}}} || {{{#000080,#81c1fa '''우승'''}}} || {{{#000080,#81c1fa '''준우승'''}}} || {{{#000080,#81c1fa '''4강'''}}} || ||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대통령배]]''' || - || 1회(2014) || - || ||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청룡기]]''' || - || - || - || ||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황금사자기]]''' || - || - || - || ||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봉황대기]]''' || - || 1회(2001) || 1회(2004) || || '''[[신세계 이마트배 전국고교야구대회|이마트배]]''' || - || - || - || [목차] == 연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인창고_야구부.jpg|width=100%]]}}} || [[구리시]]는 시 외곽에 위치한 [[LG 트윈스 2군]]인 챔피언스 파크의 영향 탓인지 [[리틀야구]]가 많이 발전을 했던 도시였다. 그 [[리틀야구]]를 뛰던 선수들이 점점 자라 고등학교 될 무렵, 타지로 떠난다는 사실을 인지한 구리시에서 적극적인 예산 지원을 통해 관내에서 창단한 팀이 바로 구리인창고등학교 야구부였다. 프로무대에서 이름을 날린 [[김진욱(1960)|김진욱]]을 초대 감독으로 선임하며 2000년 창단한 인창고 야구부는 창단 2년째인 봉황대기에 대형 사고를 쳤다. [[윤석민(타자)|윤석민]]을 축으로 한 1,2학년 선수들이 주축이 되면서 봉황대기 결승까지 오른 것.[* 인창고는 1회전에서 장충고한테 7:0으로 크게 이기고 2회전에 직행하였고 2회전에서 야탑고마저 11:9로 이겼다 그리고 16강에서 [[신일고등학교 야구부|신일고]]를 20:10으로 대파한뒤에 8강에서 성남고를 7:5로 이겼다 4강에서는 서울고를 3점차로 이기며 결승전에 진출하였다.]결승에서 비록 [[청주기계공업고등학교 야구부|청주기공]]에 2-15로 크게 지면서 탈락의 고배를 들었지만, 1,2학년 선수들이 일으킨 돌풍을 보면서 이들이 고3이 될 무렵에는 얼마나 강해질까 기대를 모았지만, 아쉽게도 이들이 고3이 된 2002년과 2003년에는 이렇다 할 성적을 내지 못했다. 2004년 봉황대기 4강을 끝으로 이렇다 할 성적은 내지 못하고, 2009년에 팀의 에이스였던 [[김태훈(1990)|김태훈]]이 [[부경고등학교 야구부|부경고]]를 상대로 [[고교야구]] 역사상 두번째 [[퍼펙트게임]]을 달성한 것[* 첫번째는 [[휘문고등학교 야구부|휘문고]]의 강남규가 1959년에 서울공고를 상대로 기록.] 외에는 딱히 전국대회에서 좋은 모습을 낸 적은 없었다. 그러다가 2014년 좌완 에이스 [[정성곤]]을 앞세워 대통령배에서 돌풍을 일으켰지만, 정작 4강부터 에이스인 [[정성곤]]이 아시아청소년대회 대표팀에 차출되면서 전력의 공백이 생겼고, [[경기고등학교 야구부|경기고]]를 이기고 결승까지는 갔지만, 결국 결승에서 [[서울고등학교 야구부|서울고]]에게 3-20으로 패하면서 첫 우승의 꿈을 날리고 말았다. == 출신 선수[* 나무위키 등록 선수만. 졸업 연도 순.] == || '''{{{#white 이름}}}''' || '''{{{#white 포지션}}}''' || '''{{{#white 프로입단}}}''' || '''{{{#white 경력}}}''' || || [[유덕형]] || 내야수 || 2005년 신고선수 입단 ||제주관광대-[[현대 유니콘스|현대]](2005~2007) || || '''[[윤석민(타자)|윤석민]]'''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2004년/신인드래프트|2004년 2차 3라운드]] ||[[두산 베어스|두산]](2004~2013)-[[넥센 히어로즈|넥센]](2014~2017)-[[kt wiz|kt]](2017~2019)-[[SK 와이번스|SK]](2020)|| || [[김종찬(야구선수)|김종찬]] || 외야수 || 2012년 군 전역예정자 특별지명([[NC 다이노스|NC]]) ||연세대-[[경찰 야구단|경찰]](2010~2011)-[[NC 다이노스|NC]](2012~2014)|| || '''[[김태훈(1990)|김태훈]]'''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9년/신인드래프트|2009년 1차지명]] ||[[SK 와이번스|SK]]/[[SSG 랜더스|SSG]](2009~2023)|| || [[한겸(야구)|한겸]]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2012년/신인드래프트|2012년 2차 7라운드]] ||[[삼성 라이온즈|삼성]](2012~2013) || || [[김성한(1992)|김성한]] || 투수 || 2014년 [[신고선수]] 입단 ||제주산업대-고양 원더스-[[삼성 라이온즈|삼성]](2014~2020)|| || [[이정담]]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1년/신인드래프트|2011년 2차 9라운드]] ||[[롯데 자이언츠|롯데]](2011~2013)-[[경찰 야구단|경찰]](2014~2015)-[[SK 와이번스|SK]](2016~2017)-[[롯데 자이언츠|롯데]](2018)-[[두산 베어스|두산]](2019)|| || [[이도현(야구선수)|이도현]] || 투수 || 2018년 [[육성선수]] 입단 ||인하대-[[NC 다이노스|NC]](2018~2021)-[[파주 챌린저스]](2021~) || || [[정성곤]]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5년/신인드래프트|2015년 2차 2라운드]] ||[[kt wiz|KT]](2015~2022)-[[SSG 랜더스|SSG]](2022~)|| || [[강이준]][* 개명 전 이름은 강찬영]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7년/신인드래프트|2017년 2차 4라운드]] ||[[KIA 타이거즈|KIA]](2017~)|| || [[강석현(야구선수)|강석현]] || 투수 || [[KBO 리그/2024년/신인드래프트|2024년 9라운드]] ||[[LG 트윈스|LG]](2024~) || || [[원종혁]] || 투수 || [[KBO 리그/2024년/신인드래프트|2024년 9라운드]] ||[[한화 이글스|한화]](2024~)|| [[분류:대한민국의 고교야구]][[분류:구리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