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국보)] [[파일:인왕제색도.jpg]] ||<-2> [[파일:정부상징.svg|width=28]] '''[[대한민국의 국보|{{{#f39100 대한민국 국보 제216호}}}]]''' || ||<-2> {{{#fff {{{+1 '''정선 필 인왕제색도'''}}}[br]{{{-1 鄭敾 筆 仁王霽色圖}}}}}}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국립중앙박물관,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 '''{{{#fff 분류}}}''' || 유물 / 일반회화 / 산수화 / 산수화 || || '''{{{#fff 수량/면적}}}''' || 1축 || || '''{{{#fff 지정연도}}}''' || 1984년 8월 6일 || || '''{{{#fff 제작시기}}}''' || [[조선]] [[영조]] 27년(1751) || [목차] [clearfix] == 개요 == 仁王霽色圖. [[조선]] 후기의 화가인 겸재(謙齋) [[정선(화가)|정선]]이 1751년([[영조]] 27년)에 [[소나기]]가 지나간 뒤 비에 젖은 [[인왕산]]을 그린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畫).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었다가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됐으며,[* [[이건희]] 회장의 사망 후, 국립박물관에 기증되었다.] [[대한민국의 국보|국보]] 제216호다. == 내용 == 138.2 × 79.2cm. 1751년(영조 27년) 작. 당시 75세였던 겸재 [[정선(화가)|정선]]이 비가 내린 뒤의 인왕산을 그린 것이다. 60년지기 친구인 시인 이병연이 병을 떨쳐내고 일어나기를 기원하며 그렸지만, 이병연은 이 그림이 완성된 지 4일 만에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이 부분은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피소드/2019년#s-5|2019년 2월 3일자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 다뤄졌다. 국보 제217호 [[금강전도]]와 함께 겸재 정선의 대표작으로 꼽히며, 나아가 우리나라에서 그려진 여러 진경산수화 중에서도 단연 으뜸으로 여겨지고 있다. 광복 직후 [[삼성]]의 [[이병철]] 전 회장이 매입한 뒤로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소장하고 있었으나, [[국립중앙박물관]]에 2021년 기증되었다. 1984년 8월 6일에 대한민국의 국보 제216호로 지정되었다. == 관련 영상 == [include(틀:iframe, src=https://serviceapi.rmcnmv.naver.com/flash/outKeyPlayer.nhn?vid=31459FC34698D0FA2D171EE9F9D92FDAD17F&outKey=V122424ceb3dd5a28a62b445c5f9f64b99f8abfa694e49bc151c3445c5f9f64b99f8a)] == 외부 링크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6973&cid=46660&categoryId=46660|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정선필 인왕제색도]]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6327&cid=40942&categoryId=33052|두산백과 : 인왕제색도]] *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C%84%A0%ED%95%84_%EC%9D%B8%EC%99%95%EC%A0%9C%EC%83%89%EB%8F%84|한국어 위키백과 : 정선필 인왕제색도]]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81415&cid=58600&categoryId=59149|천재학습백과 초등 명화미술관 : 인왕제색도]] == 국보 제216호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2160000,11|문화재청 홈페이지 : 정선필 인왕제색도 (鄭敾筆 仁王霽色圖)]] >조선 후기 화가인 겸재 정선(1676년 ∼ 1759년)이 비온 뒤의 인왕산 모습을 그린 그림으로 크기는 가로 138.2cm, 세로 79.2cm이다. > >직접 인왕산을 보고 그렸는데, 비온 뒤 안개가 피어오르는 인상적 순간을 포착하여 그 느낌을 잘 표현하였다. 산 아래에는 나무와 숲, 그리고 자욱한 안개를 표현하고 위쪽으로 인왕산의 바위를 가득 배치하였다. 산 아래는 위에서 내려다보는 시선으로 그리고, 산 위쪽은 멀리서 위로 쳐다보는 시선으로 그려 바로 앞에서 바라보는 듯한 생생한 현장감을 주고 있다. 비에 젖은 뒷편의 암벽은 거대하고 무거운 느낌을 주는데, 이를 위해 먹물을 가득 묻힌 큰 붓을 반복해서 아래로 내리긋는 대담한 필치를 사용하였다. 좀 더 가까이에 있는 능선과 나무들은 섬세한 붓질과 짧게 끊어 찍은 작은 점으로 실감나게 표현하고 있다. > >조선 영조 27년(1751년)에 그려진 이 그림은 이제까지의 산수화가 중국의 것을 모방하여 그린 것에 반하여 직접 경치를 보고 그린 진경산수화일 뿐만 아니라 그 화법에 있어서도 우리나라의 산수를 너무나도 잘 표현하였다. 따라서 그의 400여 점의 유작 가운데 가장 크고 그의 화법이 잘 나타난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를 대표하는 걸작으로 평가된다. [[분류:대한민국의 국보]][[분류:조선의 회화]][[분류: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분류:정선(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