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네스코)] ||<#1DA3B2><:> {{{+1 {{{#fff '''인류무형문화유산'''}}}}}} || ||<#fff,#191919><:> [[파일: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로고.svg|width=70%]] || [목차] [clearfix]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http://www.unesco.org/culture/ich/|홈페이지]] [[http://www.law.go.kr/trtyInfoP.do?mode=4&trtySeq=2133&chrClsCd=010202|무형문화유산의 보호를 위한 협약 전문]] == 개요 == 문화다양성의 원천인 [[무형문화재|무형유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고취하고,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국가적, 국제적 협력과 지원을 도모하기 위해서 [[유네스코]]에서 지정된 유산을 말한다. [[1992년]] [[유네스코]] 프로그램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이 운영되었다가 [[2003년]] '[[세계문화유산]] 및 [[세계자연유산|자연유산]] 보호협약'을 모델로 한 무형유산분야 국제협약 '무형유산보호협약(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이 채택되었고, [[2006년]] 무형유산협약이 발효되면서 이전의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프로그램은 종료되었고, 이후로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불리게 되었다. == 등재목록 == === [[아시아]] === 많은 부분에서 [[아시아]] 국가의 등재 횟수가 많고 특히 [[동북아시아]] 3국이 1, 2, 3위인데 이는 아시아 국가의 참여가 활발하고, [[유럽]] 국가들은 무형 문화유산에 대해서 적극적인 신청을 안 하기 때문이다. ==== [[대한민국]] ==== [include(틀:대한민국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총 22개의 무형문화유산을 보유한 세계 공동 2위의 무형문화유산 보유국가이다. [[북한]]은 4개의 무형문화유산을 등재시켰지만, 그 중 3개는 남한과 중복된다. 북한이 단독 등재한 [[평양냉면]] 풍습을 제외한 [[씨름]], '[[아리랑]]', '[[김장]]문화'등 3개를 남북한이 공동 등재했기 때문이다. 북한이 등재한 아리랑은 '[[평양]], [[평안도]], [[황해도]], [[강원도(북한)|강원도]], [[함경도]], [[자강도]]' 지역의 아리랑이고, 김장문화는 북부지역 김장이다. *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 - 2001 * [[판소리]] - 2003 * [[강릉단오제]] - 2005 * [[남사당놀이]] - 2009 * [[강강술래]] - 2009 * [[처용무]] - 2009 * [[영산재]] - 2009 * [[제주칠머리당영등굿]] - 2009 * [[가곡#s-2|가곡]] - 2010 * [[대목장]] - 2010 * [[매사냥]] - 2010[* [[대한민국]], [[독일]], [[사우디아라비아]], [[오스트리아]], [[벨기에]], [[아랍에미리트]], [[스페인]], [[프랑스]], [[헝가리]], [[이탈리아]], [[카자흐스탄]], [[모로코]], [[몽골]], [[파키스탄]], [[포르투갈]], [[카타르]], [[시리아]], [[체코]] 18개국과 공동등재] * [[택견]] - 2011.11 * [[줄타기]] - 2011.11 * 한산[[모시]]짜기 - 2011.11 * [[아리랑]] - 2012.12[* [[북한]]의 아리랑은 [[2014년]]에 개별등재.] * [[김장]] - 2013.12[* 아리랑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북한도 개별적으로 '김치 담그기 전통'을 [[2015년]]에 등재시켰다.] * [[농악]] - 2014.11.27 * [[줄다리기]] - 2015.12.2[* [[베트남]], [[캄보디아]], [[필리핀]]과 공동등재] * [[제주해녀문화]] - 2016.11.30[* 이때 북한이 신청한 [[씨름]]은 떨어졌으나 [[2018년]] [[11월 26일]] 남북한 공동 등재됐다.] * [[씨름]] - 2018.11.26[* 남북한 공동 등재] * [[연등회]] - 2020. 12.16 * 한국의 [[탈춤]] - 2022. 11. 30 ==== [[일본]] ==== [include(틀:일본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총 22개의 무형문화유산을 등재한 한국과 공동 세계 2위의 무형유산 보유국이다. * [[노(일본)|노가쿠]] - 2001 * [[조루리]] - 2003 * [[가부키]] - 2005 * [[교토]] 기온축제의 이동식 무대 의식 - 2009 * 다이니치 궁정 무용 및 음악 - 2009 * 다이모쿠타테 - 2009 * [[차키라코]](신년 어린이 축제) - 2009 * 아키호의 모내기 축제 - 2009 * 노토 지방의 농업 풍습 - 2009 * 전통 [[아이누족]] 춤 - 2009 * 히타치 후류모노 축제 - 2009 * 유오누마 지방의 모시 제조 기술 - 2009 * 이와미 지방의 종이제조 - 2009 * 하야치네 무악 - 2009 * 코시키지마 토시돈 - 2009 * [[가가쿠]](일본 아악) - 2009 * 유키 추무기 - 2010 * [[쿠미오도리]] - 2010 * 미부노 하나타우에([[히로시마]] 미부 지역의 모내기 축제) - 2011 * 사다신노([[시마네]] 현 사다 신사의 전통 춤) - 2011 * [[나치의 덴가쿠]](나치 불꽃축제의 종교 공연) - 2012 * [[와쇼쿠]](和食), 특히 신년 축하를 위한 일본의 전통 식문화 - 2013 * [[오리가미#s-2|오리가미]]([[종이접기]]) - 2014 * [[목조건축]] - 2020 * 후류도오리 - 2022 ==== [[중국]] ==== 총 38개의 무형문화유산을 보유한 세계 최대의 무형 문화유산 보유국가이다. * 쿤취(昆劇, 곤극) - 2008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82151&cid=50419&categoryId=50532|#]] * 구친(古琴, 고금) 음악 - 2008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82120&cid=50419&categoryId=50532|#]] * [[신장 위구르 자치구|신장]]의 위구르 무캄 - 2008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82284&cid=50419&categoryId=50532|#]] * [[오르팅 도]] - 전통 민속 장(長)음악 - 2008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82283&cid=50419&categoryId=50522|#]] : [[몽골]]과 동시 등재. * 게사르 전통 서사시 - 2009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82115&cid=50419&categoryId=50532|#]] * [[난징]]의 윤진 문직 공예 - 2009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82076&cid=50419&categoryId=50532|#]] * 난인(南音, 남음) - 2009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82186&cid=50419&categoryId=50532|#]] * 동주다그(侗族大歌, 동족대가) - 2009 * 레공 예술 - 2009 * 마나스 - 2009 * 마주 신앙과 관습 - 2009 * 서안 고악 - 2009 * 양잠 및 비단 공예 - 2009 * 용선 축제 - 2009 * [[용천청자]] 초벌 기술 - 2009 * 월극 - 2009 * 전통 선지 제조기술 - 2009 * 중국 도장 전각 기술 - 2009 * 중국 목판 인쇄술 - 2009 * 중국 서예 - 2009 * 중국 전지 공예 - 2009 * 중국 전통 목조 건축기술 - 2009 * [[조선족]]의 [[농무]] - 2009 [* 조선족의 [[농악]]이다. 다만 이를 동북공정의 보는 견해도 있지만, 조선족의 농무가 유네스코에 등재된 이유는 조선족이 중국에 정착한 후 오랫동안 농악 문화를 유지해왔고, 복장 등의 모습이 중국 본토의 영향을 받아 한민족의 농무악과는 다른 것이 사실이다. 참고로 한국의 농무악은 2014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 [[티베트]]식 오페라 - 2009 * 화얼 - 2009 * [[베이징]] [[경극]] - 2010 * 중의학의 [[침]]과 [[뜸]] - 2010 [* 2009년에 한국의 동의보감 유네스코 등재 후 이를 저격하듯 등재시켰다. 영문명은 Acupuncture and moxibus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으로, 중의학(중국의 의학)으로 표기함으로써 한의학의 침과 뜸을 세속화 하려는 시도로 보는 견해도 있다.] * 중국 그림자극 - 2011 * [[24절기]] - 2016 * [[티베트 의학]]의 룸 약욕법 - 2018 * [[태극권]] - 2020 ==== [[몽골]] ==== * [[마두금|마두금 전통음악]] - 2003 * [[오르팅 도]] – 전통 민속 장(長)음악 - 2008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82283&cid=50419&categoryId=50522|#]] : [[중국]]과 동시 등재. * [[매사냥]][* 몽골 서부 [[카자흐족]]의 매사냥. 18개국 공동 등재.] - 2010 * [[흐미]] - 2009 * [[나담 축제]] - 2010 * [[림베|림베의 민속 장가(長歌, Long Song) 연주 기예 - 순환호흡법]] - 2011 * 몽골 [[게르]]의 전통 제작법과 관련 풍습 - 2013 ==== [[베트남]] ==== * 까 쭈 가창 - 2005 * 냐냑, 베트남의 궁정 음악 - 2008 * 공 문화 공간 - 2008 * 꽌호 박닌 민요 - 2009 * 푸동 사원과 속 사원의 종 축제 - 2010 * 푸토 성의 훙 왕조 숭배 의식 - 2012 * 베트남 남부 지방의 '던 까 따이 뜨' 음악과 가창 예술 - 2013 * 응에-띤의 비와 잠 민요 - 2014 * [[줄다리기]] - 2015 * 세 영역을 관장하는 모신(母神)을 섬기는 비엣 족의 신앙과 풍습 - 2016 * 베트남 푸토 성의 쏘안 가창 - 2017 * 베트남 중부에서 연행되는 '바이 초이' 예술 - 2017 * 베트남 따이족, 눙족, 타이족의 텐 의식 - 2019 * 베트남 타이족의 쏘에 무용 - 2021 ==== [[인도네시아]] ==== * 와양 쿨릿(그림자극) - 2008 * [[크리스#s-2|크리스]] - 2008 * 바틱 - 2009 * 앙클룽 - 2010 * [[아체#사만|사만 무용]] - 2011 * [[파푸아인]]의 다목적 수제 가방 노켄 - 2012 * [[발리]]의 전통 무용 세 종류 - 2015 * 남[[술라웨시]]의 전통 피니시 조선술 - 2017 * [[실랏]] - 2019 * 판툰(말레이시아와 공동) - 2020 * [[가믈란]] - 2021 ==== [[태국]] ==== * 태국 전통 가면 무용극 콘 - 2018 * [[타이 마사지]] - 2019 * 태국 남부의 전통 무용극 노라 - 2021 ==== [[인도]] ==== * [[케랄라]] 지방의 [[산스크리트]] 극 쿠디야탐 - 2008 * [[베다(힌두교)|베다]] 독경 - 2008 * [[라마야나]]를 재연하는 전통극 람릴라 - 2008 * [[우타라칸드]] 지방의 종교 축제 람만 - 2009 * [[오디샤]]와 [[서벵골]] 지방의 무용 양식 차우 - 2010 * [[라자스탄]] 지방 칼벨리아인들의 노래와 무용 - 2010 * 케랄라 지방의 종교적 무용극 무디예트 - 2010 * [[라다크]] [[불교]]도의 독경 전통 - 2012 * [[마니푸르]] 지방의 종교 음악-무용 마니푸리 상키르타나 - 2012 * [[펀자브]] 잔디알라구루 지역 타테라(Thathera, 장인 카스트)들의 [[황동]] 및 [[구리]] 공예 - 2014 * [[요가]] - 2016 * 쿰브 멜라: 하리드와르(우타라칸드), 나시크([[마하라슈트라]]), 프라야그라지([[우타르프라데시]]), 우자인([[마디아프라데시]])에서 벌어지는 힌두 순례 축제 - 2017 * [[콜카타]]의 [[두르가 푸자]] - 2021 === [[유럽]] === ==== [[영국]] ==== '''0개''' 인류무형문화유산 제도는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협약'(이하 '무형유산보호협약')을 체결한 당사국들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제도이다. [[영연방]][* [[영국]], [[웨일스]],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호주]], [[뉴질랜드]]]은 [[2018년]] [[6월 30일]]까지 협약을 체결하지 않았기 때문에 목록에 등재한 유산이 없으며, 등재신청서를 제출할 자격이나 권리도 없는 상황이다. ==== [[그리스]] ==== 총 5개의 무형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 [[지중해 요리]][* [[키프로스]], [[그리스]], [[스페인]], [[크로아티아]], [[이탈리아]], [[모로코]], [[포르투갈]] 공동등재] (2013) * [[히오스 섬]]의 마스티하[* [[영어]]로 매스틱이라고 불리는 식용가능한 천연고무] 채집 및 가공 (2014) * 티노스섬의 [[대리석]] 조각예술 (2015) * 모모예리(μωμόγεροι), 코자니 지방 8개 마을의 신년축제 (2016) * [[렘베티카]] (2017) ==== [[독일]] ==== 무형문화유산을 4개 보유하고 있다. * [[매사냥]] (2010)[* 18개국 공동 등재] * [[협동조합]] (2016) * [[오르간]] 제작 기술과 오르간 음악 (2017) ==== [[벨기에]] ==== * ~~알스트 축제 (2010)~~ - [[인형]] 축제인데, [[유대인]]을 [[반유대주의|비하하는 인형]]을 선보이다가 [[2019년]] 무형유산에서 퇴출되었다. * [[벨기에 맥주]] (2016) ==== [[세르비아]] ==== * [[구슬레]] (2018) ==== [[조지아]] ==== * 치다오바, 조지아의 레슬링(2018) * [[조지아어#s-2]] (2016) * [[조지아 요리#s-2.1|고대 조지아의 전통 크베브리 와인 양조법]] (2013) * 조지아의 폴리포니 노래(2008) ==== [[스위스]] ==== 총 7개의 무형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 [[눈사태]] 위험 관리 (2018)[* [[오스트리아]]와 공동 등재] * [[빙벽등반]] (2019)[* [[프랑스]], [[이탈리아]]와 공동 등재] * [[기계식 시계]] (2020)[* [[프랑스]]와 공동 등재] ==== [[이탈리아]] ==== * [[매사냥]] (2010)[* 18개국 공동 등재] * [[크레모나]]의 전통 [[바이올린]] 공예 (2012) * [[지중해 요리]] [* [[키프로스]], [[그리스]], [[스페인]], [[크로아티아]], [[이탈리아]], [[모로코]], [[포르투갈]] 공동등재] (2013) * [[나폴리 피자]] (2017) * [[빙벽등반]] (2019)[* [[프랑스]], [[이탈리아]]와 공동 등재] * [[호른]] 연주 (2020)[* [[프랑스]], [[벨기에]], [[룩셈부르크]] 공동 등재] ==== [[튀르키예]] ==== 총 18개의 무형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 [[잘랄 웃 딘 루미|메블라나]] 세마(종교무용) (2008) * 멧다(Meddah) 전통 이야기꾼 (2008) * 카라괴즈 그림자극 (2009) [* [[2018년]]에 [[시리아]]의 전통극도 등재되었는데, [[튀르키예]]의 카라괴즈극과 유사하다. 참고로 이 그림자극은 [[오스만 제국]]의 영향으로 [[그리스]]에서도 카라교지스(Καραγκιόζης)라는 이름으로 존재한다.][* 카라괴즈극은 기본적으로 두개의 그림자인형을 조종하는 한 명의 만담가가 [[복화술]]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구조이다. 두 등장인물의 이름은 [[튀르키예]]의 경우 '카라괴즈'와 '하지바트', [[그리스]]에서는 '카라교지스'와 '하지아바티스', [[시리아]]의 경우 '카라고즈'와 '에이와즈'이다.] * 아시윽 전통 음유시인 (2009) * 크륵프나르 오일레슬링 (2010) * [[알레비파]]와 벡타쉬파의 세마 (2010) * 튀르키예 전통 만담 (2010) * 케쉬켁(Keşkek) 전통 후식과 그 전통 (2011) * 메시르 마주누[* 마니사에서 유래된 30여가지의 약재를 넣어 만드는 전통과자] 페스티벌 (2012) * [[튀르키예 커피]]와 그 전통 (2013) * 에브루 예술 (2014) * 튀르키예 전통 [[도자기]] 치니 제작 (2016) * 네브루즈 봄축제[* [[아프가니스탄]], [[아제르바이잔]], [[인도]], [[이란]], [[이라크]], [[카자흐스탄]], [[키르기즈스탄]], [[파키스탄]], [[튀르키예]], [[튀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공동등재] (2016) * 전통 빵의 전통[* 아제르바이잔, 이란, 카자흐스탄, 키르기즈스탄, 튀르키예 공동등재] (2016) * 흐드렐레즈 전통 봄축제 (2017) * 휘파람언어 (2017) * 데데 코르쿳, [[튀르크]]민족의 전통 서사시와 무가[*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튀르키예 공동등재] (2018) * 나스레딘 호자, 몰라 네스레딘, 몰라 에펜디, 아펜디, 아펜디 코차나시르 일화의 전승 전통[*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튀르키예]],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공동등재] (2022) ==== [[프랑스]] ==== 총 16개의 무형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 [[프랑스자수|알랑송의 자수 레이스 공예술]] (2010) * [[매사냥]] (2010)[* 18개국 공동 등재] * [[프랑스 요리]] (2010) * [[승마]] (2011) * 그라스 지방의 [[향수]] (2018) * [[빙벽등반]] (2019)[* [[스위스]], [[이탈리아]]와 공동 등재] * [[기계식 시계]] (2020)[* [[스위스]]와 공동 등재] * [[호른]] 연주 (2020)[* [[벨기에]], [[룩셈부르크]], [[이탈리아]] 공동 등재] * [[바게트]] (2022) ==== [[우크라이나]] ==== * 우크라이나의 [[보르시]] 조리 문화 (2022)[* 긴급보호가 필요한 문화유산 목록] === [[중남미]] === ==== [[아르헨티나]] ==== * [[탱고]] (2009)[* [[우루과이]] 공동 등재] ==== [[멕시코]] ==== 총 11개의 무형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 [[망자의 날]] (2008) * [[멕시코 요리]] (2010) * [[마리아치]] (2011) ==== [[페루]] ==== * [[페루 성모 신심]] (2014) == 등재 시도 == === 한국 === * [[한지]][[https://www.google.com/amp/s/m.yna.co.kr/amp/view/AKR20210429066400371|#]] * [[태권도]][[https://www.google.com/amp/s/m.yna.co.kr/amp/view/AKR20210511148500007|#]] * [[인삼]] 문화[[https://m.yonhapnewstv.co.kr/news/MYH20230625007600641|#]] * [[홍어]] 식문화[[https://www.ikbc.co.kr/article/view/kbc202306180012|#]] * [[막걸리]] 빚기[[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4968052?sid=101|#]] * [[장]] 담그기[[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5113076?sid=103|#]] 이외에도 구글링 해보면 윷놀이, 검무 등이 나온다.[[https://www.google.com/search?q=%EC%9D%B8%EB%A5%98%EB%AC%B4%ED%98%95%EB%AC%B8%ED%99%94%EC%9C%A0%EC%82%B0+%EC%B6%94%EC%A7%84&client=ms-android-kt-kr&hl=ko&tbm=nws&prmd=inv&sxsrf=AB5stBiUbjgHphHEtAKspP6oIcdSLbMDlA:1688584370652&ei=ssClZJi0J62y2roPgpSR2Ao&start=90&sa=N&biw=360&bih=668&dpr=3|1~10페이지 참조]] [[분류:인류무형문화유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