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ANastyAndRedString, 합의사항1=야민정음 관련 내용 삭제)] ||<-5><#00CC00><:>'''[[국명|{{{#black 인동덩굴}}}]]'''|| ||<-5><:><#BDFF12>Lonicera japonica(Carl Peter Thunberg)|| ||<-3>'''영명'''||<-2> : ''' ''honeysuckle'' '''|| ||<|7><:><#D7FFCE> 분류 || [[생물 분류 단계#계|계]] ||||||'''식물계''' || || [[생물 분류 단계#강|강]] ||||||쌍떡잎식물강 || || [[생물 분류 단계#목|목]] ||||||산토끼꽃목 || || [[생물 분류 단계#과|과]] ||||||인동과 || || [[생물 분류 단계#속|속]] ||||||인동속 || [목차] == 개요 == 인동덩굴은 일본에서 자생하여 1900년대 초 미국으로 관상용으로 수입 된 뒤 아르헨티나, 브라질, 뉴질랜드, 호주 외에 하와이를 포함한 미국의 많은 지역과 [[카리브해]]의 섬들에 귀화되어 자생하는 식물이다. 대한민국에도 자생하며 우리나라의 전역의 산에 자란다. 인동덩굴은 생태교란 생물로써 뉴질랜드 국립 유해식물협정에 유해생물로 등재되어 있다. 겨울에도 곳에 따라 잎이 떨어지지 않는 특징 때문에 인동이라고 한다. == 생태 == 인동덩굴은 덩굴성 낙엽관목으로 길이는 최대 10m까지 나무를 [[시계방향]]으로 감고 올라가며, 소지에는 적갈색의 털이 나있다. 타원형의 잎은 마주나고 가을 또는 겨울까지 잎이 붙어 약 3-8cm이며 2-3cm마다 잎겨드랑이가 생성된다. 꽃은 흰색이나 적기가 되면 노란색으로 변하며 꽃이 떨어지면 검고 [[구]]모양의 작은 열매를 맺는다. 열매는 10~11월에 열린다. 꽃은 바닐라향을 내며, 꿀을 제외한 대부분의 부분에 독을 함유하고 있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성장이 매우 빠른편에 속하며, 길에 빨리 자라는 탓에 [[토종]]생물들을 마구잡이로 감고 자라 햇빛과 영양분을 빼앗는다. 성생식과 식물생식을 모두 사용하여 엄청난 증식속도를 자랑하며 동물에 의해 씨앗을 퍼뜨리고, 국소적으로 범위를 확장하며 빽빽한 덤불을 형성한다. == 기타 == 인동덩굴은 급격히 자라는 특성을 이용하여 침식조절이나 사슴 또는 다른 [[가축]]의 [[사료]]를 위해서 미국으로 수출되었다가 방치되어 많은 지역에 피해를 입히게 되었다. 일본에서의 인동꽃은 달콤하여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사슴]], [[토끼]]등의 중요한 먹이가 되어 개체수 안정이 가능하다. 중국 전통의학에서는 '겨울을 견뎌내는 포도나무'로 불리며, 발열, 감기관련 두통, 기침, 갈즌, 인후염, 피부감염, 종양괴사, 치질, 임질, 매독 등 여러 범위로 약초로써 사용된다. [[칼세이건]]의 '에덴의 용'에 등장한다. 2011년의 [[팬톤|올해의 컬러]] {{{#d94f70 허니서클}}}은 인동덩굴의 붉은 꽃에서 이름을 따온 것이다. [[분류: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