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대인의 집단)] [include(틀:남아시아의 민족)] [목차] == 개요 == [[남아시아]] 지역의 [[인도 반도]] 문화권에 사는 유대인들을 가리키는 단어들이다. == 상세 == [[인도]] 자체가 [[중동]]과의 교류가 많았던 만큼 인도에도 상당수의 [[유대인]]들이 정착해서 나름대로의 공동체를 꾸리기는 했지만 인도 전체 인구에 비해서 얼마 없는데다가 [[상권]] [[경쟁]]에서 기존에 터잡고 살던 [[자이나교|자이나교도]] [[상인]]들에게 밀려서 두각을 별로 나타내지 못했고, 이후로도 [[조로아스터교]]를 믿는 [[파르시]][* [[7세기]] [[사산조 페르시아]]가 멸망할 때 인도로 피난간 페르시아인들의 후손으로 인도에 정착한 역사가 천년이 넘었다. 또한 인도의 [[이슬람]] [[왕]]조들이 [[페르시아어]]를 [[공용어]]로 썼기 때문에 페르시아어를 [[모어]]로 쓰던 파르시들이 출세하는데 이점이 있었던데다가 [[대영제국|영국]]이 인도를 식민화할 당시에 페르시아어가 밀려났어도 [[인도인]] 중에서 [[영어]]의 중요성을 깨닫고 영어를 제일 빨리 배운 덕택에 근현대 인도의 상권을 장악했다.] 및 여타 인도 현지인 상인들에게도 밀려 별로 존재감은 없었다고 한다. 다만 [[바그다드]]에서 인도로 [[이민]] 와서 [[사업]]을 크게 부흥시킨 데이비드 사순 같은 예외적인 경우도 있기는 하고, 일부 자리잡은 유대인들은 [[부촌]]에서 살기도 한다. 물론 이렇게 자리잡지 못한 어쩡쩡한 유대인들은 [[이스라엘]]로 이민을 가기도 한다. 그나마 규모가 있는 공동체는 [[마하라슈트라]] [[해안]] 지대의 베니 이스라엘로 규모가 6만여 명 정도이다. [[코친]] 유대인의 경우 이스라엘과 인도 다 합쳐도 인구가 수천여 명 규모에 불과하다. 현대에는 인도 동북부의 [[티베트버마어파|티베트-버마계]] [[소수민족]] 중에서 부족 전체가 [[유대교]]로 개종하는 경우도 생겼다. 이들 부족들은 브네이 [[므낫세]](Bnei Menashe)라고 불리며 원래는 [[애니미즘]]을 믿던 [[부족]]들인데 처음에는 [[기독교]]를 믿었다가 [[1970년대]] 들어서 자신들이 고대 유대인의 잃어버린 지파 후손이라고 주장하며 유대교로 개종했으나, [[유전자 검사]] 결과 완전 사실무근(...)[* 수백명을 상대로 유전자를 검사했는데 '''중동계 유전자조차 전혀 섞이지 않은 걸로 판명'''되었다.]으로 판명되었다. 인도-[[미얀마]]판 [[환빠]]라 하겠다. 17,000여명의 이들 티베트-버마계 유대교 신자들은 인도와 미얀마 사이의 [[국경]] 인근, [[마니푸르]]와 [[미조람]] 주를 중심으로 분포한다. 인구가 아쉬운 유대교 입장에서는 이런 환빠들도 가급적 받아주려는 추세인 듯. 인도의 유대인 중에는 [[인도 제국]] 시절에 이주해온 영국계 유대인의 후손들도 있는데, 이들은 [[아슈케나짐]]이나 [[세파르딤]]으로 분류되므로 논외로 한다. 물론 이들도 미즈라힘계 인도인들처럼 인도 현지인들과의 잦은 통혼 때문에 전형적인 인도인의 외모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미즈라힘,version=81)] == 주요 인도 유대인 집단 == [[파일:800px-Jewish_communities_of_India.svg.png]] * [[바그다드]] 유대인 - 근대 영국 [[동인도회사]]나 이후 [[영국령 인도 제국]]에서 장사하기 위해 중동 아랍어권이나 페르시아어권에서 건너온 유대인. 주로 [[수라트]], [[콜카타]], [[뭄바이]]에 정착하였고 과거에는 [[양곤]]에도 일부 거주하였다. * 베네 이스라엘 - [[마라티어]]를 사용하는 유대인 그룹. * 데시 유대인(파라데시 유대인) - 18, 19세기 영국에서 [[첸나이|마드라스]]로 이주하여 다이아몬드 무역에 종사한 [[세파르딤]] 유대인들의 후손. 초기에는 전형적인 서유럽인의 외모였을 것으로 추정되나, 인도의 독립 이후 같은 영국계 유대인들과의 통혼이 상대적으로 어려워져서인지 현재 그 후손들은 전형적인 인도인의 외모다. * [[코친]] 유대인 - [[케랄라]] 해안 지방의 유대인 공동체. [[분류:유대인]][[분류:인도의 민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