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려의 후궁/태조 ~ 예종)] ---- [include(틀:고려 재상지종)]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5AA58, #B6D592 20%, #B6D592 80%, #85AA58)" '''고려 문종의 후궁[br]{{{+1 인경현비 | 仁敬賢妃 }}}'''}}} || ||<|2> '''출생''' ||미상 || ||[[이자연(고려)|이자연]]의 사저 || || '''사망''' ||[[1082년]] [[7월 29일]] || || '''본관''' ||[[인천 이씨|경원 이씨]][* 현재 [[인천 이씨]]] || || '''부모''' ||부친 [[이자연(고려)|장화공 이자연]] (章和公 李子淵) 모친 계림국대부인 김씨 (雞林國大夫人 金氏) || || '''형제자매''' ||[[이자연(고려)#가족관계|8남 3녀 중 차녀]] || || '''배우자''' ||[[문종(고려)|문종]] || || '''자녀''' ||{{{#!folding 3남 2녀 [ 펼치기 · 접기 ] 장남 - [[조선국 양헌왕|조선국 양헌왕 왕도]](王燾) 차남 - [[부여공|부여공 왕수]](王㸂) 삼남 - [[진한공|진한공 왕유]](王愉) 장녀 - 조졸한 공주1 차녀 - 조졸한 공주2}}} || || '''거처''' ||수령궁(壽寧宮) || || '''작호''' ||수령궁주(壽寧宮主)[br]→ 숙비(淑妃) || || '''시호''' ||'''인경현비(仁敬賢妃)'''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려 제11대 국왕 [[문종(고려)|문종]]의 후궁. == 생애 == 장화공(章和公) [[이자연(고려)|이자연]]의 차녀다. [[문종(고려)|문종]]의 제2비 [[인예왕후]]와 후궁 인절현비(仁節賢妃)와 자매지간이다. 이자연의 딸 셋은 모두 문종과 혼인했다. 문종과 혼인 후 수령궁(壽寧宮)을 하사받아 수령궁주(壽寧宮主)로 불리다가 문종 36년인 1082년 1월에는 숙비(淑妃)로 봉해졌다. 사후 인경(仁敬)이란 시호를 받았다. == 가족관계 == * 부: 장화공(章和公) [[이자연(고려)|이자연]] * 모: 계림국대부인(雞林國大夫人) 김씨 * [[조선국 양헌왕|조선국 양헌왕 왕도]](王燾) 양헌왕의 3남인 강릉공(江陵公) 왕온(王溫)은 [[의종(고려)|의종]]의 제1비 [[장경왕후(고려)|장경왕후]], [[명종(고려)|명종]]의 제1비 [[광정태후]], [[신종(고려)|신종]]의 제1비 [[선정태후]]의 아버지로, [[의종(고려)|의종]], [[명종(고려)|명종]], [[신종(고려)|신종]]은 문종의 증손자이면서 동시에 증손녀 사위가 된다. * [[부여공|부여공 왕수]](王㸂) 왕위에 오른 [[순종(고려)|순종]], [[선종(고려)|선종]], [[숙종(고려)|숙종]]과는 이복 형제 사이. 숙종 재위 때 왕위에 오르려 한다는 소문에 얽혀 유배형을 받았다. 실제로 그런 움직임이 있었는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이후 유배지에서 세상을 떠났고 사후에야 복권되었다. * [[진한공|진한공 왕유]](王愉): 문종의 손자인 [[예종(고려)|예종]]의 제3비 [[문정왕후]]의 아버지 * 조졸한 공주 * 조졸한 공주 [[분류:고려의 후궁]][[분류:인천 이씨]][[분류:1082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