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국가별 지수)] [목차] Human Development Index, '''HDI''' == 개요 == [[https://hdr.undp.org/en/|유엔개발계획 공식사이트(영문)]] 인간개발지수([[人]][[間]][[開]][[發]][[指]][[數]])는 [[유엔]] 산하기구인 유엔개발계획(UNDP)이 1991년부터 매년 발표하는 인간개발보고서(Human Development Report) 중의 한 항목으로 [[문맹률|문자 해독률]], [[평균 수명]], [[1인당 국민소득]] 등의 인간의 발전 정도를 토대로 평가한 수치다. 빈곤과 불평등 문제 연구로 유명한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아마르티야 센]]과 [[파키스탄]]의 마흐붑 울하크 교수가 개발하였다. 보통 발표 전 해의 지표를 바탕으로 발표하며,[* 그러나 2010년 이전에는 발표 2~3년 전 해의 지표를 바탕으로 발표했다.] 191개국을 다루고 있다.[* [[UN]] 회원국 중 [[북한]], [[소말리아]], [[모나코]], [[나우루]]를 뺀 대신 [[팔레스타인]], [[홍콩]]을 넣었다. [[바티칸]]도 들어가지 않았다.] 인간개발지수가 만들어지기 전이던 1975, 1980, 1985년 지표도 공개되어 있다. [[https://hdr.undp.org/system/files/documents/human-development-report-2004-english.human-development-report-2004-english|pdf의 159~162쪽 참조]] == 산정 방식 == [[http://hdr.undp.org/sites/default/files/hdr2018_technical_notes.pdf|Technical notes(2018)]] || [math(\text{HDI} =)] [[기하평균|[math(\displaystyle \sqrt[3]{기대수명지수 \times 소득지수 \times 교육지수})]]] || * 기대수명지수(Health Index): [math(\displaystyle \frac{평균\ 수명-20}{85-20})] * 소득지수(Income Index): [math(\frac{\ln(\text{구매력 기준 1인당 국민소득(\$)})-\ln{100}}{\ln{75,000}-\ln{100}})] *75,000: 인간 개발과 복지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는 최대치의 소득 * 교육지수(Education Index): [math(\frac{기대교육기간지수 + 평균교육기간지수}{2})] * 기대교육기간지수(Expected years of schooling index): [math(\frac{기대교육기간}{18})] * 18: 대부분의 국가에서 [[석사]] 학위 취득까지의 기간 * 평균교육기간지수(Mean years of schooling index): [math(\frac{평균교육기간}{15})] * 15: 2025년 예상 최대치 == 연도별 == [[https://hdr.undp.org/data-center/human-development-index#/indicies/HDI]] ||<|2> 순위[br](2021년) ||<|2> 국가 ||<-7> HDI ||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999> 매우 높은 수준의 인간발달수준[br](VERY HIGH HUMAN DEVELOPMENT) || || 1 ||[include(틀:국기, 국명=스위스)] || 0.942 || 0.943 || 0.944 || 0.946 || 0.946 || 0.955 || 0.962 || || 2 ||[include(틀:국기, 국명=노르웨이)] || 0.949 || 0.951 || 0.953 || 0.954 || 0.954 || 0.957 || 0.961 || || 3 ||[include(틀:국기, 국명=아이슬란드)] || 0.927 || 0.933 || 0.935 || 0.938 || 0.938 || 0.949 || 0.959 || || 4 ||[include(틀:국기, 행정구=홍콩)] || 0.927 || 0.930 || 0.933 || 0.939 || 0.939 || 0.949 || 0.952 || || 5 ||[include(틀:국기, 국명=호주)] || 0.936 || 0.938 || 0.939 || 0.938 || 0.938 || 0.944 || 0.951 || || 6 ||[include(틀:국기, 국명=덴마크)] || 0.926 || 0.928 || 0.929 || 0.929 || 0.930 || 0.940 || 0.948 || || 7 ||[include(틀:국기, 국명=스웨덴)] || 0.929 || 0.932 || 0.933 || 0.937 || 0.937 || 0.945 || 0.947 || || 8 ||[include(틀:국기, 국명=아일랜드)] || 0.929 || 0.934 || 0.939 || 0.942 || 0.942 || 0.955 || 0.945 || || 9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 0.933 || 0.934 || 0.936 || 0.939 || 0.939 || 0.947 || 0.942 || || 10 ||[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 || 0.926 || 0.928 || 0.931 || 0.932 || 0.933 || 0.944 || 0.941 || || 11 ||[include(틀:국기, 국명=핀란드)] || 0.915 || 0.918 || 0.920 || 0.924 || 0.925 || 0.938 || 0.940 || || 12 ||[include(틀:국기, 국명=싱가포르)] || 0.929 || 0.930 || 0.932 || 0.935 || 0.935 || 0.938 || 0.939 || ||<|2> 13 ||[include(틀:국기, 국명=벨기에)] || 0.913 || 0.915 || 0.916 || 0.919 || 0.919 || 0.931 || 0.937 || ||[include(틀:국기, 국명=뉴질랜드)] || 0.914 || 0.915 || 0.917 || 0.921 || 0.921 || 0.931 || 0.937 || || 15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 0.920 || 0.922 || 0.926 || 0.922 || 0.922 || 0.929 || 0.936 || || 16 ||[include(틀:국기, 국명=리히텐슈타인)] || 0.912 || 0.915 || 0.917 || 0.917 || 0.917 || 0.919 || 0.935 || || 17 ||[include(틀:국기, 국명=룩셈부르크)] || 0.892 || 0.898 || 0.904 || 0.909 || 0.909 || 0.916 || 0.930 || || 18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0.918 || 0.920 || 0.922 || 0.920 || 0.920 || 0.932 || 0.929 || || 19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0.898 || 0.901 || 0.903 || 0.906 || 0.906 || 0.916 || 0.925 || || 20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0.905 || 0.907 || 0.909 || 0.915 || 0.915 || 0.919 || 0.925 || || 21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0.920 || 0.922 || 0.924 || 0.920 || 0.920 || 0.926 || 0.921 || || 22 ||[include(틀:국기, 국명=이스라엘)] || 0.901 || 0.902 || 0.903 || 0.906 || 0.906 || 0.919 || 0.919 || ||<|2> 23 ||[include(틀:국기, 국명=몰타)] || 0.871 || 0.875 || 0.878 || 0.885 || 0.885 || 0.895 || 0.918 || ||[include(틀:국기, 국명=슬로베니아)] || 0.889 || 0.894 || 0.896 || 0.902 || 0.902 || 0.917 || 0.918 || || 25 ||[include(틀:국기, 국명=오스트리아)] || 0.903 || 0.906 || 0.908 || 0.914 || 0.914 || 0.922 || 0.916 || || 26 ||[include(틀:국기, 국명=아랍에미리트)] || 0.865 || 0.870 || 0.897 || 0.909 || 0.920 || 0.912 || 0.911 || || 27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 0.885 || 0.889 || 0.891 || 0.893 || 0.893 || 0.904 || 0.905 || || 28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0.898 || 0.899 || 0.901 || 0.891 || 0.891 || 0.901 || 0.903 || || 29 ||[include(틀:국기, 국명=키프로스)] || 0.871 || 0.877 || 0.887 || 0.892 || 0.897 || 0.894 || 0.896 || || 30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0.876 || 0.878 || 0.880 || 0.883 || 0.883 || 0.892 || 0.895 || 이 아래로는 33위의 [[그리스]], 34위의 [[폴란드]], 38위의 [[포르투갈]] 등의 국가들이 위치해 있다. == 기타 == * Radboud University의 Institute for Management Research에서는 국가 내 지역별 HDI도 산출하고 있다. [[https://globaldatalab.org/shdi/about/|링크]] 이에 따르면 (모두 '''2019년''' 기준) * [[대한민국]]에서 가장 HDI가 높은 지역은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지역으로 0.943이며 [[독일]](세계 9위 정도) 등과 비슷한 수준이다. 가장 낮은 곳은 [[대구경북]]으로 0.849이며 [[바레인]](세계 45위 정도)과 비슷한 수준이다. * [[일본]]에서 가장 HDI가 높은 지역은 남부 [[간토]] 지역([[수도권(일본)|수도권]])으로 0.944이며 [[아일랜드]](세계 8위 정도)와 비슷하다. 가장 낮은 곳은 [[도호쿠]] 지역으로 0.887이며 [[이탈리아]](세계 29위 정도)와 비슷하다. * [[중국]][*본토한정]에서 가장 HDI가 높은 지역은 [[베이징시|베이징]]으로 0.904이며 [[스페인]](세계 27위 정도)과 비슷하다. 가장 낮은 곳은 [[티베트 자치구]]로 0.608이며 [[미얀마]](세계 145위 정도)와 비슷하다. * [[미국]]에서 가장 HDI가 높은 지역은 [[매사추세츠]]로 0.956이며 [[아이슬란드]](세계 3위 정도)와 비슷하다. 가장 낮은 곳은 [[미시시피]]로 0.871이며 [[아랍에미리트]](세계 35위 정도)와 비슷하다. 해외 영토까지 포함하면 가장 낮은 곳은 [[미국령 사모아]]로 0.827이며 [[헝가리]](세계 43위 정도)와 비슷하다. * 국가 내 지역별 HDI는 최고치와 최저치가 0.1 안팎으로 차이가 나는 것이 일반적이나, 몇몇 빈곤국들은 0.2대를 기록하기도 하며, [[에티오피아]][* [[아디스 아바바]](0.741)와 아파르 지역(0.440)의 차이가 0.301이다.], [[나이지리아]][* [[라고스]](0.681)과 케비(0.335) 지역의 차이가 0.346이다.] [[부르키나파소]][* 수도 [[와가두구]]가 위치한 중앙 지역(0.650)과 사헬 지역(0.286)의 차이가 무려 '''0.364'''이다.] 등은 무려 '''0.3대'''의 격차를 기록하기도 한다. === 변형 자료 === ==== 불평등 조정 인간 개발 지수(Inequality-adjusted HDI, IHDI) ====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inequality-adjusted_HDI#2019_inequality-adjusted_HDI_(IHDI)_(2020_report)|#]] 이름 그대로 기본 HDI가 고려하는 소득, 건강, 교육에서의 불평등이 심할수록 점수가 깎이는데, 한국은 2022년 발표에 따르면 해당 지수에서 0.838로 세계 21위이다. 자료를 참고하면 한국의 점수가 HDI 대비 낮은 것은 사회적 [[양극화]]보다는, 교육지수에서 노년층과 청년층 간 교육 수준 차이가 극심한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2020년대]]의 20대는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대학 진학률과 스펙을 자랑하는 세대라면, 60대 이상은 한국이 [[선진국]]에 진입하기 이전에 하루 벌어 하루 먹고 살기도 힘들던 시절의 세대이기 때문. 일종의 [[세대차이]]다. ==== 행성 압력 조정 인간 개발 지수(Planetary pressures–adjusted HDI, PHDI) ====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planetary_pressures%E2%80%93adjusted_Human_Development_Index|#]] 이쪽은 기존 HDI가 평가하는 소득, 건강, 교육 수준을 확보하기 위해 자행된 환경 파괴의 심각성에 따라 점수가 깎인다. 대체로 석탄, 석유 등의 화석 연료 수출[* 중동 산유국 대다수, [[러시아]], [[호주]], [[캐나다]], [[미국]], [[몽골]] 등의 자원 부국들.], 집적화된 금융업[* [[아일랜드]], [[아이슬란드]], [[싱가포르]] 등. 2019년 자료에서는 별로 저평가하지 않은 건지 이들 대부분이 최상위권에 위치했으나, 2022년 자료에서는 대량 소비 조장, 전력 소비량 등을 새로 감안했는지 대거 점수가 폭락했다.] 등 온실가스 배출이 많은 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들의 순위가 가장 많이 내려가는 편이며, 반대로 중진국 이상이면서 상대적으로 탄소 배출이 적은 농업, 경공업, 관광업의 비중이 비교적 높은 국가들[* 대표적으로 2022년 기준 [[PIGS]] 4개국 모두가 최상위 10개국에 들어가며, 특히 스페인은 영국과 함께 공동 세계 1위다. 경제적으로 아예 붕괴 직전인 [[스리랑카]], [[아르헨티나]]도 비슷한 이유로 20위권 안에 들어간다.]은 순위가 올라간다. 다만 산업 기반 자체가 부실해 환경을 파괴할 여력 자체가 없는 저개발국들은 기본 HDI 자체가 낮아서 순위가 그렇게 높지는 않은 편. 한국은 2019년 40위, 2021년 21위를 기록했다. [[분류: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