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대한민국 국회의원, rd1=이희승(1913), other2=前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 장내 아나운서, rd2=MC이슈, other3=보이그룹 ENHYPEN의 멤버, rd3=희승)] [include(틀:동아일보 사장)] || '''{{{#fff 이희승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 [include(틀:이달의 문화인물)]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 ||<-2>
<#0f8184> [[동아일보|{{{#ffffff '''동아일보 제11대 사장'''}}}]][br]{{{+2 {{{#ffffff '''이희승'''}}}}}}[br]{{{#ffffff '''李熙昇'''}}}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희승.jpg|width=100%]]}}} || || '''{{{#ffffff 출생}}}''' ||[[1896년]] [[6월 9일]] || || '''{{{#ffffff 사망}}}''' ||[[1989년]] [[11월 27일]] (향년 93세) || || '''{{{#ffffff 본관}}}''' ||[[전의 이씨]][* 대사성공파 부사직공파 28세손 "熙"자 항렬이다.] || || '''{{{#ffffff 학력}}}''' ||[[한성외국어학교|관립한성외국어학교]] {{{-2 (영어과 / 졸업)}}}[br][[중앙고등학교|중앙학교]] {{{-2 (졸업)}}}[br][[연희전문학교]] {{{-2 (수물과 / 졸업)}}}[br][[구제고등학교|경성제국대학 예과]] {{{-2 ([[문과]] / [[수료]])}}}[br][[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2 ([[국어국문학과|조선어문학전공]] / [[학사]])}}} || || '''{{{#ffffff 서훈}}}''' ||건국공로훈장 단장[* 現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br]국민훈장 무궁화장 수훈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국어학자. 본관은 [[전의 이씨|전의]](全義)[* 대사성공파 28세손 희(熙) 항렬][[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6728|#]], 호는 일석(一石)이다. 생전에 이를 [[독일어]]에 빗대어 ein Stein - Einstein([[알베르트 아인슈타인|아인슈타인]])으로 부른 지인들이 있었다고 한다. 20세기 초 서울 남산의 선비들에 대한 글인 '''딸깍발이'''라는 유명한 수필로 한국인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 == 생애 == [Youtube(nmnwrv8VHsc)] 1985년 10월 3일 KBS1 <11시에 만납시다> 인터뷰 영상. 1896년 [[경기도]] [[광주시|광주군]] 의곡면 포일리(현 [[의왕시]] [[포일동]])에서 이종식(李宗植)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집안이 가난해 중퇴와 복학을 반복하며 여러 학교를 전전했다. 어려서 한문을 수학하다가 1908년 상경하여 [[한성외국어학교|관립한성외국어학교]] 영어과에 입학하였는데, 1910년 [[경술국치]]로 폐교되어 3년만에 앞당겨 졸업하였다. [[경기고등학교|경성고등보통학교]] 2학년으로 편입하였으나 본교생[* 이 무렵 관립한성고등학교에서 경성고등보통학교로 개편이 이루어졌는데 본교생이란 한성고등학교로 입학한 학생을 말한다. 본교생은 갑(甲)반, 외국어학부 일어부 2학년에서 편입한 학생들은 을(乙)반, 영어부에서 편입한 학생들은 병(丙)반이었는데 병반 학생들은 일본어를 하지 못했다.]과의 차별과 일본인 교사가 일본어로만 수업하는 것에 항의하여 자퇴하였다. 1912년 [[양정의숙]]에 들어가 법학을 전공했으나 1913년 [[조선교육령]]으로 양정의숙이 폐지되고 [[양정고등보통학교]]가 되면서 다시 학교를 그만 두게 되었다. 낙향하여 무료한 세월을 보내던 중 [[주시경]]의 '국어문법'을 읽고 일생의 길을 찾는 계기가 되었다. 1914년 사립 신풍학교(新豊學校) 교사로 재직하면서 [[중동고등학교|중동학교]] 야간부를 1년간 다녔다. 이어 1918년 사립 [[중앙고등학교|중앙학교]]를 졸업하고 경성직뉴주식회사(京城織紐株式會社)에 서기로 취직했다가 1919년부터 4년 반 동안 [[경방|경성방직]]회사의 서기로 근무했다. 1923년 전문학교 입학 검정 시험에 합격하여, 1925년 [[연희전문학교]] 수물과(數物科)[* 오늘날로 치면 수학과+물리학과]를 졸업하고 30세의 늦은 나이로 [[경성제국대학]] 예과에 들어갔다. 1927년 예과를 수료하고 1930년 법문학부 문학과(조선어학)를 졸업한 후, 1930년 [[서울대학교/학부/사범대학|경성사범학교]] 교유가 되었다가 1932년 [[이화여자전문학교]]에 교수직으로 채용되어 한국어와 한국어문학을 강의했다. 1930년에 [[조선어학회]]에 들어가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1933) 및 ‘표준어사정’(1937) 사업에 깊게 관여하였다.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에 연루되어 [[함경남도]] 홍원경찰서와 함흥형무소에서 1945년 8월 17일까지 복역하였다. 석방된 뒤에는 [[경성대학]],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최현배]]와 함께 한국 국어학계의 주요 학파를 구성하였다. 1963년에 [[동아일보]] 사장에 올랐다. 1962년에는 건국공로훈장 단장을, 1989년에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여받았다. [[기미독립선언서]]를 현대 한국어로 국역하였으며, 1961년 국어대사전[* 이 당시 국어사전의 감수자로는 이희승과 [[양주동]]이 유명했다.]을 편찬하였다. 또한 1978년엔 민중서림의 국어중사전인 엣센스 국어사전을 감수[* 1989년 작고한 이후에 나온 개정판은 이희승과 아무런 관련이 없음에도 민중서림 측에서는 이희승이 감수한 국어사전이란 마케팅을 계속하고 있다(...).]하기도 했다. 이외에 어학 논문과 문학에 관한 논문인 '인대명사소화(人代名詞小話), 조선어 '때의 조사'에 대한 관견(管見)'등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4.19 혁명]] 당시 시위에 참여하고, 시국선언서에 서명에 참여하였다. 1971년부터 1981년까지 [[단국대학교]] 부설 동양학연구소 소장으로 재임 중 [[한한대사전]] 편찬 사업을 시작했다. == 기타 이야기거리 == 일반인들에게는 교과서에 실린 [[수필]]인 딸깍발이 등의 작품으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서강대학교]] 초대 학장인 [[아일랜드계 미국인]] [[케네스 에드워드 킬로렌]] [[신부(성직자)|신부]]에게 '길로연'이라는 한국식 이름을 지어준 인물이기도 하다. 국어사전 감수에 상당히 공을 들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방대한 지면에 수록된 많은 항목들과 풀이들을 한번 좍 훑어 보고 대충 감수를 끝내는 것이 아니라, 몇 번씩 꼼꼼히 살폈다고 전한다. 민중서림(구 민중서관)에서 나온 국어대사전 및 엣센스 국어사전의 명성이 지금까지도 유지되고 있는 데에는 일석 이희승으로부터 감수를 받았다[* 초판 및 제2판 한정.]는 점도 한몫했다. [[제2공화국(드라마)|드라마 제2공화국]]에서는 [[황원]] 성우가 배역을 맡아 출연했는데, 여기서는 서울대학교 교수라고만 간단하게 소개되어 나왔다. [[분류:대한민국의 언어학자]][[분류:문학 교수]][[분류:동아일보 관련 인물]][[분류:의왕시 출신 인물]][[분류:1896년 출생]][[분류:1989년 사망]][[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전의 이씨]][[분류:건국훈장 독립장]][[분류:건국훈장 독립장]][[분류:중앙고등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출신/전신 학교]][[분류:경성제국대학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전신 학교/인문대학]][[분류:서울대학교 재직]][[분류:국민훈장 무궁화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