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398년 사망]][[분류:청해 이씨]] [목차] == 개요 == 李和尙 (? ~ 1398?) [[조선]]의 인물. [[이지란]]의 장남. == 생애 == [[고려사]]에 따르면 [[1388년]] [[위화도 회군]] 때 최유경이 [[우왕]]에게 군사가 들어온다는 소식을 알리자 이화상은 [[이방우]], [[이방과]]와 함께 성주의 우왕의 처소로부터 이성계의 군대 앞으로 도망갔으며, 우왕이 정오가 되어도 이를 알지 못했다고 한다. [[태조실록]]에는 [[1398년]] [[공조(조선)|공조]] 전서(典書)로서 명을 받아 [[정도전]]에게 술을 내릴 때 단편적으로 나온다. 국가 기록에서의 등장은 이렇게 기사 2개가 끝. == 자료 == [[청해 이씨]] 문중에서 전하는 이화상 관련 문서는 다음과 같다. * [[https://archive.aks.ac.kr/insp/item.do#view.do?itemId=insp&gubun=form&upPath=02%5E0201%5E020119&dataId=G002%2BKSMC%2BKSM-XA.1395.1100-20101011.ECD00089|1395년 이화상 개국원종공신녹권]] * [[https://archive.aks.ac.kr/insp/item.do#view.do?itemId=insp&gubun=form&upPath=02%5E0201%5E020127&dataId=G002%2BKSMC%2BKSM-XA.1398.1100-20110512.ECD00104|1398년 이화상 처 이씨 고첩]] 고(故) 이화상의 처 동평 이씨를 공조 전서였던 남편의 관직에 맞추어 정3품 숙인(淑人)으로 임명하는 [[이조(조선)|이조]] 첩(牒)[* 관청 명의로 발급되는 임명장, 증명서 등 각종 문서를 가리키며 교첩(敎牒)이라고도 한다. 국왕 명의로 발급되는 [[교지]] 또는 왕지(王旨)보다는 등급이 낮다. 조선시대의 교첩 중 현존하는 것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다. == 인적사항 == 이화상의 생몰년은 분명하지 않다. 하지만 [[조선왕조실록]]에 보이는 처음이자 마지막 기록이 음력 1398년 1월이고, 그의 처 이씨를 임명한 문서에서 고(故) 이화상이라고 기록된 것이 같은 해 음력 12월인 것을 통해 음력 1398년 1월 ~ 12월 사이에 사망했다고 비교적 쉽게 유추할 수 있다.아니면 기록에 등장하지 않았으나 더 오랜기간 살다 죽었다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태어난 해를 추정하기는 어렵다. 이는 출생년도를 부인에게 맞추느냐, 아니면 어머니에게 맞추느냐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우선 이화상 처 이씨 고첩에서 부인의 나이를 [[세는나이]] 37세, 곧 [[1362년]]생으로 언급하고 있어 나이 차이가 크게 나는 결혼이 아니었다면 이화상이 태어난 해 역시 대략 그 전후로 추정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지란의 두 부인 중 함안 윤씨와 이지란의 결혼은 [[우왕]] 연간(1374~1390)의 일이고, 곡산 강씨와의 결혼도 정황상 아무리 빨라도 [[1371년]] 이전으로 소급하기 어려워서 태어난 해를 어머니에게 맞추게 되면 최소 [[1372년]]생이 된다. 게다가 일반적으로는 함안 윤씨가 첫 번째, 곡산 강씨가 두 번째 부인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실제 추정 연령은 더욱 어려진다. [[태종(조선)|태종]]과 [[원경왕후]]의 사례처럼 부인의 나이가 남편보다 많을 수는 있지만, 그 경우 나이 차이가 10살 이상까지 나는 경우는 찾기 어렵다. 이 점을 이상하게 생각한다면 이화상을 이지란의 어머니들과 연결짓기 어려워진다. 결론적으로 이화상의 인적사항과 행적에 대해 알 수 있는 내용은 많지 않다. 기록이 풍부한 동생 이화영(李和英)에 비해 국가 기록에는 딱 2번 나오는 게 끝이고, [[태종실록]]의 이지란 졸기에는 존재 자체가 누락되어 있다. 게다가 후대인 [[1774년]]([[영조]] 50)에 쓰인 [[https://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0527A_0130_010_0020|이지란 신도비문]]에는 아예 아들 순서에서 이화영에게 밀려나 마치 둘째 아들인 것처럼 되어있다. 이랬던 인물이 졸지에 [[태종 이방원(드라마)]] 덕분에 재조명을 받은 셈. == 대중매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화상(태종 이방원))] 드라마 [[태종 이방원(드라마)|태종 이방원]]에서는 이방원과 사이가 좋은 것으로 나오고 위화도 회군 때 전투에 참여하기도 하며, 이방원을 도와 여러 소식을 전달하는 역할을 맡기도 한다. 문중에 따르면 [[제1차 왕자의 난]] 이전에 사망하지만 여기서는 제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을 돕거나 [[조사의의 난]] 때 군사가 움직인다는 것을 이방원에게 알리기도 하면서 동생 이화영의 행적이 적절히 섞인 모습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