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c0c000>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TV쇼부문상'''}}} || || [[테마게임(MBC)|테마게임]][br](1997) || → ||<#FFFFA1> '''이홍렬쇼[br](1998)''' || → || [[21세기위원회]][br](1999)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dimg.donga.com/6796105.1.jp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 [[http://programs.sbs.co.kr/enter/leehongryulshow/vods/63260|공식 홈페이지]][* 일부 회차들이 홈페이지상 누락되어 있어 나머지 회차들은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에서 봐야 한다.] [[1996년]] [[2월 7일]]부터 [[1998년]] [[3월 4일]](1차), [[1999년]] [[10월 18일]]부터 [[2001년]] [[4월 25일]](2차)까지 [[SBS]]에서 방송되었던 [[토크쇼]]. 당시 인기 개그맨 출신이던 [[이홍렬]]의 단독 진행으로 방송되었으며 당대 최고의 인기 연예인이 게스트로 출연해 방송이나 개인사와 관련된 일화를 나누고 간단한 게임쇼도 곁들인 대담쇼였다. == 상세 == 이홍렬이 가졌던 옆집 아저씨 같은 친근한 이미지와 뛰어난 진행 능력으로 많은 인기를 얻은 프로였으며, 특히 개그맨 출신다운 순발력에 재치와 입담으로 출연자들과 [[시청자]], 그리고 [[방청객]]들을 편안하게 만드는 진행 솜씨가 일품이었던 프로이기도 했다. 특히 특별 출연 게스트와 함께 [[요리]]를 하면서 자연스럽게 얘기를 이끌어내는 코너는 많은 사랑을 받기도 했다. 이른바 [[먹방]]의 원조라 할 수 있다. 이때 등장했던 밤참 요리들 중 70개는 1997년에 황금가지에서 [[http://goldenbough.minumsa.com/book/54/|<맞아맞아 참참참>]]이란 책으로 다루어졌다. [[https://nl.go.kr/NL/contents/search.do?srchTarget=total&pageNum=1&pageSize=10&insiteschStr=&schQuery=&mainSrchField=1&kwd=%EB%A7%9E%EC%95%84%EB%A7%9E%EC%95%84+%EC%B0%B8%EC%B0%B8%EC%B0%B8#viewKey=374278&viewType=AH1&category=%EB%8F%84%EC%84%9C&pageIdx=1&jourId=|보기]][* 국립중앙도서관 협약 공공/대학도서관에서 접속 가능.]. 여기에 막간 형식으로 진행됐던 게임인 '참참참'이 대인기를 끌기도 했다. '참참참'은 [[뿅망치]]로 '참참참'을 외치면서 상대방이 가리키는 반대 방향으로 고개를 돌리면 이기는 게임이었다.[* 이 때 유행한 참참참 게임은 이후 대학가에 술자리 게임으로 완전히 정착하며 현재까지 이어진다. [[KBS]] [[예능 프로그램]]인 [[여걸 식스]]에서 디비디비딥으로 업그레이드 되었다] 프로그램에서 선보인 요리는 당시 서울 송파구에 있었던 팝업 스토어 '참참참 레스토랑'에서 실제로 판매하기도 했다. 방송 중 "참참참 레스토랑에서 즐기세요"란 자막이 나오기도 했는데, 그걸 보던 지방민들(특히 학생들 위주)은 서울 사람들을 살짝 부러워하는 반응이 당시 PC통신 같은 데 올라오기도 했었다. 당시 이홍렬은 콧구멍이 크다는 신체적 특징을 희화화한 '뺑코'라는 이미지, 그리고 이보다 조금 전인 1990년대 초중반 [[MBC]]의 [[오늘은 좋은 날]]의 코너 중 하나였던 '[[귀곡산장]]'에서 으슥한 깊은 산 속에 있는 외딴 산장의 주인이자 귀신인 '''할머니'''로 등장([[임하룡]]은 남편인 귀신 할아버지 역이었다)하여 인기를 크게 얻었다.[* 외딴 산장을 방문한 등산객이라는 컨셉으로 매회 여자 연예인들이 게스트 출연하였는데, 이 노부부가 게스트를 놀래켜 막판에 기절시키는 내용. 사실 중간에 연예인 게스트가 주축이 된 스케치 콩트가 삽입되는 게 메인 스토리고, 이 콩트는 사실은 산장에서 게스트가 꾼 악몽이라는 액자식 구성이다. 그리고 깨어난 게스트가 주인 노부부의 행동이나 물건을 보고 악몽을 떠올리며 또 기절하는 게 코너의 마무리.] 80년대 중반만 해도 소위 '받쳐주던 캐릭터' 개그맨이었던 이홍렬은 90년대 들어 이러한 역할들로 인해 높은 인기를 얻게 되었고, 인기를 힘입어 토크쇼를 진행하게 된 것이었고, 특히 98년에는 [[시청률]] 30%를 넘길 정도로 이홍렬 쇼는 높은 인기를 구사하였다. 프로그램의 높은 인지도와 인기답게 [[강타]]나 [[핑클]] 같은 최고 인기 아이돌이 출연하기도 하는 등 [[토크쇼]] 가운데 최고의 인기를 얻었다. [[파일:external/www.bbangco.com/17.jpg]] 당시에 자신을 [[캐리커쳐]]화시킨 캐릭터가 나와 화제가 되기도 했는데, 이름이 '''뺑코''' 이홍렬. 이외에도 홍보차 나온 게스트의 홍보 내용(예컨대 영화 홍보하러 나왔으면 그 영화 제목과 주연배우, 감독 이름, 언제부터 개봉한다는 등의 내용)을 실제로 자막으로 띄워주기도 했는데, 당시만 해도 '''직접 홍보가 금기시되던''' 시대였기에 이는 상당히 파격적인 시도였다. * 좀 심한 경우에는 가수가 라디오에 자신의 새 앨범 발매했다고 게스트로 나와도 본인 신곡 대신 다른 사람들 노래만 실컷 틀고 들어가는 경우도 있었다. 시청자들은 "쟤가 왜 방송 나왔지?"하고 스포츠신문이나 연예 주간지를 사서 스스로 알아야 했다. 다만 방송의 경우는 [[이연걸]]이 영하 홍보를 위해 [[일밤]]에 출연한 적도 있었고 쇼프로에서 가수가 자신의 신곡을 부르는 등의 여러 홍보활동은 있었지만, 이홍렬쇼처럼 방송 중간에 텔롭으로 직접 정보를 써넣는 건 거의 없었다. 이는 1980년대까지 지속되던 군사정권의 각종 방송규제가 1987년 민주화 이후로 해금되었지만 근 10년 가까이 타성적으로 방송계에서 암묵적 금기로 여겨져 내려왔기 때문이었다. 이홍렬쇼는 이런 관행을 정면에서 깨버린 시도였다. 한편, '이홍렬쇼' 1기가 MC 이홍렬의 [[유학]]으로 딱 100회를 채우고 잠시 막을 내린 뒤 후속작으로 마련된 [[이승연의 세이 세이 세이]][* 이 쪽은 갈수록 높은 인기를 얻고 있던 프로였는데, 그 와중에 MC [[이승연]]의 [[운전면허]] 불법 취득 사건으로 프로그램 탄생 6개월만에 강제로 종영되었다.], [[김혜수 플러스 유]]를 거쳐 1999년 10월 18일 자로 101회로 재개[* 한동안 김혜수 플러스 유와 함께 방송되기도 했다.]되었는데, 재개 첫 회부터는 잘 나가면서 출발은 좋았으나, 이후로는 타사 프로그램들의 경쟁[* [[MBC]]의 주간 시트콤 '[[세친구]]'에 밀렸으며 해당 시트콤도 2주 전에 마지막 방송을 했다.]에 고전해 시간대를 여기저기 마구 옮기다가 [[2001년]] [[4월 25일]] 방송분을 끝으로 막을 내렸다. 여담이지만, 1기 때처럼 2기도 딱 100회를 찍고 마무리지어서 총합 회차는 200회. 여담으로, [[TBC]]는 이홍렬 쇼 시간대에 이홍렬 쇼를 잘라먹고 자체 방송을 편성한 적이 있었다. 세월이 흘러 2020년, MBC 예능 [[놀면 뭐하니?]]에서 선보인 '인생라면' 코너가 이 프로그램과 컨셉이 유사하다. [각주] [[분류:SBS 예능]][[분류:토크쇼]][[분류:1996년 방송 프로그램]][[분류:2001년 종영]][[분류:백상예술대상 작품상 수상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