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소설 오버로드의 종족, rd1=오버로드\(소설\)/종족/이형종)]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형종의 2024년 시즌, rd1=이형종/선수 경력/2024년)] [include(틀:키움 히어로즈/간략(외야수))] || '''{{{#FFFFFF 이형종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LG 트윈스 1차 지명선수)] ---- [include(틀:브리온컴퍼니 소속 운동선수)] ---- || '''{{{#FFFFFF 이형종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35번}}}''' || || [[진필중]][br](2004~2007) || → || '''이형종[br](2008)''' || → || [[이진영]][br](2009~2015) || ||<-5> '''{{{#FFF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47번}}}''' || || [[봉중근]][br](2007~2008) || {{{+1 →}}} || '''이형종[br](2009)''' || {{{+1 →}}} || [[서승화]][br](2010~2011) || ||<-5> '''{{{#FFF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20번}}}''' || || 서성종[br](2009) || → || '''이형종[br](2010)''' || → || [[박건우(1985)|박동욱]][br](2011) || ||<-5> '''{{{#FFF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69번}}}''' || || [[최유건|최종인]][br](2012) || → || '''이형종[br](2013)''' || → || [[정혁진]][br](2014) || ||<-5> '''{{{#FFF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36번}}}''' || || [[전호영]][br](2012~2013) || → || '''이형종[br](2014~2014.4.)''' || → || [[에버렛 티포드|티포드]][br](2014.4.~2014) || ||<-5> '''{{{#FFF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113번}}}''' || || 결번 || → || '''이형종[br](2014.5.~2014.8.)''' || → || [[최성민(1990)|최성민]][br](2015) || ||<-5> '''{{{#FFF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40번}}}''' || || [[김효남]][br](2013~2014.7.) || → || '''이형종[br](2014.8.~2014)''' || → || [[이승현(1991)|이승현]][br](2015~2016) || ||<-5> '''{{{#FFF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107번}}}''' || || [[양원혁]][br](2014) || → || '''이형종[br](2015)''' || → || [[최민창]][br](2016~2017.9.14.) || ||<-5> '''{{{#FFF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36번}}}''' || || [[박지규]][br](2015) || → || '''이형종[br](2016~2020)''' || → || [[앤드류 수아레즈|수아레즈]][br](2021) || ||<-5> '''{{{#FFF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13번}}}''' || || [[양종민]][br](2020) || → || '''이형종[br](2021)''' || → || [[최동환]][br](2022~) || ||<-5> '''{{{#FFF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36번}}}''' || || [[앤드류 수아레즈|수아레즈]][br](2021) || → || '''이형종[br](2022)''' || → || [[배재준]][br](2023~) || ||<-5> '''{{{#FFFFFF [[키움 히어로즈|{{{#FFFFFF 키움 히어로즈}}}]] 등번호 36번}}}''' || || [[양경식]][br](2022) || → || '''이형종[br](2023~)''' || → || [[현역#s-2|현역]]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이형종(재촬영).png|width=100%]]}}}|| ||<-2> '''키움 히어로즈 No.36''' || ||<-2> '''{{{+2 이형종}}}[br]李炯宗 | Lee Hyungjong''' || ||<|2> '''출생''' ||[[1989년]] [[6월 7일]] ([age(1989-06-07)]세)||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학력''' ||[[서울화곡초등학교|화곡초]] - [[양천중학교|양천중]] - [[서울고등학교 야구부|서울고]]|| || '''신체''' ||184cm | 87kg | [[AB형]]|| ||<|2> '''포지션''' ||'''현재'''[br]'''[[외야수]]'''^^([[우익수]])^^[* [[좌익수]], [[중견수]], [[우익수]] 전 포지션을 무리없이 소화할 수 있다.][* 2016-17시즌은 주로 [[좌익수]]로, 2018-19시즌은 주로 [[중견수]]로, 2020-21시즌은 주로 [[우익수]]로, 2022시즌은 주로 [[1루수]]로 출전했으며, 키움으로 이적후에는 주로 [[우익수]]로 출장한다.]|| ||'''과거'''[br][[투수]][* 입단은 투수로 하였으며 2020년까지도 간혹 불펜에서 피칭연습을 하는 걸 볼 수 있었다. 직관을 간다면 가끔 볼 수 있었는데, 폼은 투수를 접기 직전과 완전히 동일했다.], [[1루수]]|| || '''투타''' ||[[우투우타]]||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08년/신인드래프트#s-2|2008년 1차 지명]] ([[LG 트윈스|LG]])|| || '''소속팀''' ||'''[[LG 트윈스]]''' (2008~2010, '''2013~2022''')[* 2010년 8월 10일부터 2013년 6월 18일까지 개인사정으로 임의탈퇴 신분이었다. 덧붙여, 이 기간에 사회복무요원으로 병역 의무를 마쳤다.] [br][[키움 히어로즈]] (2023~)|| || '''병역''' ||[[사회복무요원]] (2011~2013)[* 2013년 초쯤 소집 해제되었다.]|| || '''계약''' ||2023 - 2026 / 20억원[* 2023시즌 1.2억, 2024시즌 6.8억, 2025~2026시즌 6억]|| || '''연봉''' ||2024 / 6억 8,000만원 {{{-2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000,#fff 퓨처스 FA }}}}}}}}}|| ||<|2> '''등장곡''' ||[[김민교(가수)|김민교]] - 《마지막 승부》|| ||{{{#gray,#fff {{{-2 {{{#!folding [ 이전 등장곡 보기 ] '''LG 트윈스 시절''' [[퀸(밴드)|Queen]] - 《[[We Will Rock You]]》 (투수 시절) '''히어로즈 시절''' [[샘 라이더|Sam Ryder]] - 《Tiny Riot》 [[임강성|강성]] - 《[[야인(노래)|야인]]》 }}}}}}}}}|| ||<|2> '''응원가''' ||《[[https://youtu.be/tVGWrVs2FI8|구단 자작곡]]》[*가사 히어로즈 이~형종 워어어 워어어어 ×4][* [[넥센 히어로즈|넥센]] 시절 [[유재신]] 응원가와 비슷한 느낌이 있다.] || ||{{{#gray,#fff {{{-2 {{{#!folding [ 이전 응원가 보기 ] '''LG 트윈스 시절''' Hey - 《Je t'aime》[*가사2 오 LG 이형종~ LG의 이형종~ 오오오오 힘차게 날려라 이형종~ ×2][* 저작권 사태로 응원가가 바뀌었고, 이 응원가는 나중에 [[백승현]]의 응원가로 부활했다가 백승현의 투수 전향 후에는 쓰이지 않는다.] '''[[마야(가수)|마야]] - 《[[위풍당당#s-9|위풍당당]]》'''[*가사3 오 LG 이형종 오 LG 이형종 오 LG 이형종 워워 워워워워 힘차게 달려가라 LG 이형종 ×2][*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 [[전광인]] 응원가 원곡과 같다.][* [[에드워드 엘가|Edward Elgar]]의 [[위풍당당 행진곡|Pomp and Circumstance Military Marches, Op. 39]]을 샘플링한 곡이다. 2017년부터 저작권 문제로 [[이진영]]의 응원가를 물려 받는 것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굉장히 얄궂게도 또 이진영에게는 잔인하게도, 하필이면 [[kt wiz]]와의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수원]] 원정 경기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두 번째로 반복하기 전에 한 번 더!를 외치는게 어느샌가 응원 패턴으로 자리 잡았다. 이건 이진영의 응원가 시절 때도 마찬가지.] }}}}}}}}}|| || '''에이전트''' ||[[https://brion.co.kr|브리온컴퍼니]] || ||<-2><^|1>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족''' ||[[아내]], [[아들]] 이승후^^(2020년 8월 17일생)^^ || || '''MBTI''' ||[[INTJ]] || }}}}}}}}} || ||<-2> [[https://www.heroesbaseball.co.kr/players/outfielder/view.do?num=459|[[파일:키움 히어로즈 심볼.svg|width=20]]]]{{{#000,#fff |}}}[[https://instagram.com/kimhs.3leehyungjong36|[[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000,#fff |}}}[[https://youtube.com/channel/UC_MVcaRBi7gp2dNax7U3GF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그 주인공은 돌아온 이형종입니다! > ---- > 권성욱 KBS N Sports 캐스터 (2016년 4월 12일)[* 당시 투수에서 타자로 전향한 이후 프로에서의 첫 타점을 기록하였다.] [[키움 히어로즈]] 소속 외야수. [[2008년]] LG트윈스의 1차지명으로 지명되어 많은 기대를 받았으나 몇경기 나오지 못하고 여러차례 수술과 부상으로 인해 임의탈퇴를 선언, 골퍼로 전향을 시도하는 등[* 프로골퍼 시험을 실제로 봤는데 1타 차이로 프로 골퍼가 되지 못했다고 한다.] 프로야구계에서 잠적하다가 2016년 타자로 전향하여 타석에서 호쾌한 스윙에서 나오는 일발 장타력을 갖춘 우타 외야수로 성장한 선수. 2018년부터 2021년까지 4년 연속 두자릿수 홈런을 기록했을 정도로 장타력 하나만큼은 수준급이라고 평가받았다. 이후 2022 시즌을 마치고 [[KBO 퓨처스리그 FA|퓨처스 FA]]로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09&aid=0004739429|#]] [[키움 히어로즈]]에 4년 총액 20억의 계약을 통해 이적했다. == [[이형종/선수 경력|선수 경력]] == ||<-4> '''통합 선수 경력: [[이형종/선수 경력]]''' || ||<-4>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10]] || ||<-2> [[이형종/선수 경력/LG 트윈스#s-1.1|'''{{{#FFFFFF 2008~2010년}}}''']] ||<-2> [[이형종/선수 경력/LG 트윈스#s-1.3|'''{{{#FFFFFF 2013~2015년}}}''']] || || [[이형종/선수 경력/LG 트윈스#s-1.4|'''{{{#FFFFFF 2016년}}}''']] || [[이형종/선수 경력/2017년|'''{{{#FFFFFF 2017년}}}''']] || [[이형종/선수 경력/2018년|'''{{{#FFFFFF 2018년}}}''']] || [[이형종/선수 경력/2019년|'''{{{#FFFFFF 2019년}}}''']] || || [[이형종/선수 경력/2020년|'''{{{#FFFFFF 2020년}}}''']] || [[이형종/선수 경력/2021년|'''{{{#FFFFFF 2021년}}}''']] || [[이형종/선수 경력/2022년|'''{{{#FFFFFF 2022년}}}''']] || [[이형종/선수 경력/2023년|'''{{{#FFFFFF 2023년}}}''']] || == [[이형종/플레이 스타일|플레이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 이형종키움사진.jpg|width=10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형종/플레이 스타일)]''' || == 여담 == * 2006년 10월 3일에 발생한 [[서해대교 29중 추돌사고]] 때, [[http://blog.kwnews.co.kr/blog.asp?id=Baseball&view_pid=98&cid=1|어머니를 여의었다고 한다.]] 이 때문인지 프로 데뷔 후 적잖은 시간을 방황했으며, 오버트레이닝으로 인한 번아웃을 겪기도 했다.[* 비슷한 사례로, 전 KIA 투수였던 [[김진우(1983)|김진우]] 또한 프로 데뷔 후 갑작스런 모친상과 혹사 누적으로 방황기를 겪은 적이 있다.] 큰 충격을 겪은 사람들은 대체로 이를 잊기 위해 자신의 일에 미친 듯 열중하거나 방황하는데 이를 둘 다 겪은 경우이다. * 임의탈퇴 시절 골프 입문 한 달 만에 싱글 핸디 캐퍼가 된다.[* 싱글 핸디 캐퍼는 사회인 골퍼들의 최종 목적이며 일반인들은 10년을 쳐도 되기 어려울 만큼 난이도가 높다.] 스포츠에 있어서는 타고난 천재라고 할 수 있다. [[김동수(야구)|김동수]] 전 LG 2군 감독은 "형종이는 농구를 해도 성공했을 것이고, 배구를 해도 성공했을 것이다."라고 말했을 정도. 그 후 프로 골퍼에 도전했으나 1타 차이로 세미프로가 됐다고 한다. 사실 생각보다 야구선수들은 골프를 즐겨 하는 편으로, 이형종처럼 골프에 조예가 있는 선수들이 꽤 있다. 단적으로 '''취미로 드라이버샷 350야드를 날리는''' [[박종윤(1982)|박종윤]]이라던지.[* 프로골퍼도 드라이버샷 300야드 언저리를 겨우 넘기는 편이다. 좀 날리는 선수들이 320야드정도. 정확도도 중요하겠지만 드라이버샷은 최대한 멀리 날릴수록 이득이다.] *[[이병규(1974)|이병규]]의 대표 별명인 '적토마'를 물려받았는데, 자신의 피부가 하얗다보니 '백토마'로 불렸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지만 '미친 적토마'라는 뜻의 '광토마'가 되었다.[[http://tv.naver.com/v/1626681|(해당 영상)]] 레전드를 이을 만큼의 활약을 기대하는 팬들의 염원이 담긴 별명이라고 할 수 있다. 키움 히어로즈에선 [[https://www.youtube.com/watch?v=66VXcSQpBW8|이름을 '이히형종'으로 늘여부른 탓]]에 별명이 '이히형종'이 되었다. 정확하게 설명하자면 키움에서 만든 응원가에서 히어로즈 이히형종이라고 들려서 늘여부르게 돼서 이히형종이라고 부르게 된 계기가 되었다. * 2013년 LG 재입단 당시 감독이었던 [[김기태(1969)|김기태]] 감독이 이형종의 임의탈퇴 당시[* 이형종이 팀을 무단이탈해 임의탈퇴되던 시점에 2군 감독을 맡고 있었다.] 파장이 컸던 점 등을 고려해 재입단을 반대했다고 한다. 오랜 설득 끝에 입단은 하게 되었지만 사람이 변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백넘버 지정은 당장은 안 해줬고 그 다음 해에 40번을 부여 받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hWcEY0GIcoo|#]] * 과거 2019시즌 당시 뒷머리를 기르고 있었는데, 2019년 KBO 리그 미디어데이 때 뒷머리를 우승 때까지 기르게 하겠다고 [[김현수(1988)|김현수]]가 공언하였다. 그러나 2022년 머리를 짧게 자르며 사라진 공약이 되었고, 이형종은 2023년 히어로즈로 이적하였다. * 겉보기에 살짝 험상궂게 생겨서 무서울 것 같지만 사실 팬들에게 상냥하게 대해주는 착한 선수이다. 목소리도 부드러운 스타일. 싸인도 잘해주고 사진도 잘 찍어주고 팬들 장난도 잘 받아준다. 또한 선후배 관계도 원만한 편이라 LG시절엔 후배들에게 자신의 배트를 자유롭게 써도 된다고 허락하거나, 배트를 선물하기도 했다고.[* LG시절엔 송찬의, 이재원, 라모스, 김민성[* 이쪽은 선배이긴 하다.] 등이, 히어로즈 시절엔 김휘집, 김동헌 등이 이형종의 이름이 새겨진 배트를 들고 나온적이 있다. ] 실제로 전 룸메이트이자 동료였던 [[정근우]]도 보기만 해도 기분이 좋아지는 친구라고 얘기한 바가 있다. * 왜인지는 모르겠으나 선수단 사이에서의 별명이 [[싸이코패스]]이다. LG 트윈스 유튜브에서 선수들이 싸패라고 부르는 걸 자주 볼 수 있다. 심지어 외국인 선수들조차도. 별명인 광토마도 사실 적토마 + 미칠 광(狂)이긴 하지만... * [[엘튜브|LG 유튜브]]에 올라오는 '덕아웃 TMI' 시리즈에서는 나올 때마다 뭔가 하나씩 웃음 포인트를 던지고 간다. '옷 안 빨아 입는 선수' 편에서 유강남이랑 말싸움하는 장면은 압권이다.[* 그만큼 본인이 팬 서비스에 신경쓴다는 대목이기도 하므로 좋은 뜻이 될 수 있다.] 2021시즌에는 본인도 부진하고 출연 빈도도 줄어들면서 엘튜브 웃음포인트로서는 [[임찬규]], [[고우석]], [[김현수(1988)|김현수]], [[이정용(야구선수)|이정용]]에게 밀리는 감이 있지만 출연할 때마다 나름 괜찮은 웃음포인트를 던져주곤 한다.[* 특히 '월 200 백수 vs 월 600 직장인'을 묻는 덕아웃 TMI에서는 월 200 백수를 고르면서 협상 시도를 통해 웃음포인트를 잡으려 했고 '''죠아~'''라는 개그성 발언을 했지만 김현수가 해당 덕T에서 '''월 1000 줘도 안 해 백수''', '''나는 80살 되어도 돌아다니면서 일할 거야''', '''게으른 사람들이다''' 등등 임팩트 강한 메타발언을 날린 바람에 묻혔다.] [[파일:이형종논란.png|width=200]] * 2018년 10월 2일 KT전에서 8회 말 KT 투수 [[주권(야구선수)|주권]]의 자신의 몸 뒤로 향하는 빈볼성 투구 이후 솔로포를 쳐낸 뒤 상대 포수인 [[장성우]]를 겨냥한 듯한 배트 플립이 논란이 되었다.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category=kbo&id=479247#focusComment|'묘한 분위기' 몸 쪽 공 이후 터진 이형종의 솔로포]] 이 날 경기에서는 양 팀의 비신사적인 보복성 플레이가 수 차례 나와 좋지 않은 시선을 받았다. 결국 다음 날 경기 시작 전 논란의 주인공들이었던 선수들끼리 화해를 하며 사건은 일단락되었다. * 2018년 12월 결혼했으며, 2020년 8월 아빠가 된다는 [[https://www.youtube.com/watch?v=JhG13597irk|소식을 전했다.]] 2020년 8월 17일에 [[https://kini.kr/2202|득남하였다.]] 또한 아들이 이형종 판박이라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매우 닮았다. * 팬 서비스가 굉장히 좋다. 팀이 진 날도 끝까지 남아서 싸인을 해주고 가는 것은 물론이고, 공수교대 중 외야로 공을 많이 던져주기도 한다. * 투수 시절에 조금은 미련이 남은 것으로 보인다. 불펜에서 송구 연습이 아닌 투구하는 장면이 가끔 목격되고, LG 공식 인스타에도 불펜 투구를 하는 사진이 올라온 바 있다. 투구폼은 투수 접기 직전과 동일하다. * [[김유신(1999)|김유신]] 상대로 엄청 강한 모습을 보여 [[계백]]으로 불렸다. [[김유신]] 장군에게 목이 잘린 말의 원혼이 광토마로 환생했냐는 드립도 있다. * [[2022년]] 6월 이형종TV라는 이름으로 유튜브를 시작했다 [[https://youtube.com/channel/UC_MVcaRBi7gp2dNax7U3GFA|이형종TV 유튜브]]. 부상 회복중인 시절 팬들과의 소통을 위해 개설했다고 한다. 시즌중에는 영상이 올라오지 않는다. * 심판들이 유독 이형종 타석 때 스트존이 크게 넒어지게 판정하는데 이형종이 심판에게 밉보여서 찍혔다는 이야기가 있다. 아마 배트 투척 사건과 연관이 있는 듯.[* 그래서 이형종 본인이 인스타를 통해 심판들에게 잘 좀 봐달라고 했을 정도.][* 사실 LG와 키움 둘 다 스트라이크 존이 불리한 팀이다.] * 은근 학교를 같이 다닌 프로 선수가 많은데 화곡초등학교 동창인 [[오선진]], [[최재훈(야구선수)|최재훈]]이 한화 이글스에서 뛰고 있고[* 오선진, 최재훈과 함께 화곡초 야구부를 다룬 MBC 시사 프로그램에 출연한 적이 있다.] 양천중학교 동창 [[박해민]]과는 2022년 같은 팀에서 뛰었다. 양천중-서울고 동기였던 [[류원석]]과 같은 팀에서 오래 뛰었고 은퇴 선수 중에서는 서울고등학교를 같이 다닌 [[유민상(야구선수)|유민상]]이 있다. 그 외에 동기는 아니지만 중학교 1년 후배 [[이학주]], 고등학교 1년 후배 [[안치홍]], [[박건우(1990)|박건우]] 등도 프로에서 뛰고 있다. * MBTI는 INTJ다. 본인과 비슷하다고 인스타 스토리에 올린 적이 있고, 구단 유튜브에서도 직접 밝혔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이형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