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3대 국회의원/전라남도)] [include(틀:제4대 국회의원/전라남도)] [[파일:external/rokps.or.kr/499.jpg|width=150]] 李炯模 [[1913년]] [[8월 28일]][* [[https://www.rokps.or.kr/profile/profile_view.asp?idx=947&page=1|대한민국헌정회 프로필]]에는 7월 28일생으로 기재되어 있다.] ~ 몰년 미상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기업인]], [[정치인]]이다. == 생애 == 1913년 8월 28일 [[전라남도]] [[순천시|순천군]](現 [[순천시]])에서 태어났다. [[광주고등보통학교]](現 [[광주제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주오대학]] [[법학과|법과]]에 입학했으나 2학년 때 중퇴하였다. 국회의원 재직 중에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동]] 123-5번지에 [[http://db.history.go.kr/id/im_108_22194|거주했다]]. 이후 귀국해 법원 서기로 근무하다가 [[일제강점기]] 말기부터 기업인으로 활동하였다. 광주주조주식회사 [[사장]], 광주[[상공회의소]] 부[[회장]], 한국[[대리석]]주식회사 취체역(임원), 전남노자협의회 [[이사(직위)|이사]] 등을 역임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전라남도 승주[[군(행정구역)/대한민국|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7년 자유당 중앙위원에 임명되었고, 이후 광주[[상공회의소]] 부회장을 역임했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4대 국회]]에서 부흥분과위원장을 역임했고, 이후 자유당 원내부총무에 임명되었으나 1960년 초 [[하태환]]과 원내부총무직을 사임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1955년)|민주당]] [[조연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1년 [[3.15 부정선거]] 가담을 이유로 반민주행위자공민권제한법에 의해 공민권이 제한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민주당(1963년)|자유민주당]] 후보로 전라남도 [[순천시]]-승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조경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재야에 몸담았다. 1966년 [[민중당(1965년)|민중당]] 입당을 선언하였다가 취소하였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54 ||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전남 승주군) || '''[[자유당]]''' || '''15,707표 (35.35%)''' || '''당선 (1위)''' || '''초선''' || || 1958 ||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전남 승주군) || '''[[자유당]]''' || '''25,115표 (51.21%)''' || '''당선 (1위)''' || '''재선''' || || 1960 ||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전남 승주군) || [[무소속]] || 10,305표 (20%) || 낙선 (2위) || || || 1963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전남 순천시-승주군) || [[자유민주당(1963년)|자유민주당]] || 9,669표 (13.08%) || 낙선 (4위) || || == 관련 문서 == * [[정치인/목록]]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일제강점기의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업인]][[분류:순천시 출신 인물]][[분류:1913년 출생]][[분류:기업인 출신 정치인]][[분류:제3대 국회의원]][[분류:제4대 국회의원]][[분류:자유당 국회의원]][[분류:광주제일고등학교 출신]][[분류:잠적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