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이혁기(李赫基)}}}''' ([[1923년]] ~ ?(몰년미상), 창씨명 '''星村赫基''') [clearfix] [목차] == 개요 == 해방 직후 최대 군사조직 [[조선국군준비대]]([[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1942|朝鮮國軍準備隊]])의 [[총사령관]]. 일제시대에는 [[학병]]거부운동을 주도한 바 있다. == 생애 == [[구제중학교]] 4학년을 수료한[* 1918년 12월 [[대학령]]과 함께 [[고등학교령]]을 공포한 일제는 서양 문물을 빠르게 흡수해야했던 [[메이지 시대]] 기준으로 구성된 긴 교육 기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구제중학교]](5년제)와 [[구제고등학교]] 대학예과(3년제)를 합쳐 [[심상중학교|심상과]] 4년 + [[구제고등학교|고등과]] 3년의 도합 7년제로 수학 연한을 줄이는 개정 [[고등학교령]]을 공포하였다. 1919년 4월 이 개정 [[고등학교령]]의 시행과 함께 기존의 3년제 [[구제고등학교]]들은 [[구제중학교]] 4년 수료생부터 입학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했고, 여타 [[대학예과]] 역시 2년제 또는 3년제를 택할 수 있게 하여 2년제의 경우는 [[구제중학교]] 졸업의 학력 조건이 있었으나 3년제는 [[구제고등학교]]와 마찬가지로 중학교 4학년 수료시 응시가능했다. [[경성제국대학]] 예과는 설립 당시인 1924년에는 2년제였기 때문에 [[구제중학교]](및 [[고등보통학교]]) 5년 졸업을 요구했으나, [[1934년]]부터 3년제로 개편되면서 4학년 수료자도 입시를 치를 수 있었다. 다만, 사립 [[구제대학]]의 [[대학예과]]들과 달리 [[관립대학]]의 예과나 특히 최고의 인기를 자랑했던 [[제국대학]] 예과인 [[구제고등학교]]의 입시는 재수, 삼수가 기본으로 중학교 4학년 수료 후 합격하는 경우는 많아야 10% 미만으로, '사수(四修)'라 불리며 천재 대접을 받았다고 한다.] 1941년 4월 [[경성제국대학]] [[대학예과|예과]] 입학시험에 응시해 합격하고[* [[조선총독부]] [[http://viewer.nl.go.kr:8080/gwanbo/viewer.jsp?pageId=GB_19410418_CA4269_005|관보 제4269호(제5면)]]에 게재된 ''京城帝國大學豫科昭和十六年入學視驗合格者'' 명단 참조. 여기에 이혁기는 문과을류(文科乙類) 명단 18번째에 창씨명인 星村赫基로 등재되어있다.] [[구제고등학교|경성제대 예과]]에 제18회 신입생(문과을류[* [[구제고등학교]]는 [[제국대학]] 법학부, 경제학부, 문학부로 진학하는 문과와 의학부, 이학부, 공학부, 농학부 등으로 진학하는 이과로 구성되었고, 문이과의 각 학생들을 제1외국어에 따라 갑류(영어), 을류(독일어), 병류(프랑스어)로 분반했다.])으로 입학했다. [[중일전쟁]] 격화에 따른 전시 수업연한의 임시 단축조치([[문부성]] [[https://www.mext.go.jp/b_menu/hakusho/html/others/detail/1317693.htm|학제백년사]] 참조)에 따라[* 당초 3년제였던 [[구제고등학교]] 및 [[대학예과]]는 1941년과 1942년 신입생은 6개월씩 단축되어 2년 6개월을, 1943년 신입생은 1년이 단축된 2년 재학 후 졸업/수료하게 되었다. [[https://ja.wikipedia.org/wiki/%E6%97%A7%E5%88%B6%E9%AB%98%E7%AD%89%E5%AD%A6%E6%A0%A1#%E6%88%A6%E6%99%82%E4%B8%AD%E3%81%AE%E8%87%A8%E6%99%82%E6%8E%AA%E7%BD%AE|참조]].] 그가 성대 예과를 수료하게 되는 1943년 9월 [[학도 특별지원병 제도]]가 시행되자, 이혁기는 [[보성전문학교]]의 [[이철승]] 등 각 [[구제전문학교]] 대표들과 함께 [[학병]] 입영거부 운동을 주도했다.[* ] 이 때 이혁기는 몽양 [[여운형]], 이철승은 인촌 [[김성수(1891)|김성수]]의 지도를 받았다고 한다([[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200502100032|#1]],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020305/7794036/1|#2]], [[http://image.donga.com/2018Incheon/pc/data/inchon_story2.pdf|#3]] 참조). >학도지원병으로 끌려가기 싫어서 이런 행동을 하는 사람들도 나왔다. 학병 해당자들은 여러 형태로 저항을 했다. 예를 들어 1943년 11월 이후 관공서를 습격, 파괴한 후 형사처벌을 받아 학병을 면하려는 시도들이 있었다. 함남 북청 출신 이광림 등 학병 60명이 파출소를 습격하였고, 서재균 등은 재동파출소를 습격했으나 학도지원자라는 이유로 문책받지 않았다. 또한 서울에서는 [[경성제국대학]]의 '''이혁기''', [[보성전문]]의 [[이철승]] 등이 주동이 되어 학병 거부를 주도하며, [[고이소 구니아키|소기국소]] 총독과 학병문제로 담판을 지은 바 있다. ㅡ 정병준, [[https://search.i815.or.kr/data2/ebook/history/056/index.html|''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56권]] pp.227-228. 결국 학병으로 끌려가게 되었으나, 훈련소에서 기본군사훈련을 마치고 [[히로시마]] [[https://www.inews365.com/news/article.html?no=283549|우지나항(宇品港)]]에서 [[남태평양|남양]] 전선으로 출항하는 수송선에서 바다에 뛰어들어 탈출, 탈영하여([[유진오]], ''양호기''(2019), pp.138-145) 1945년 8월 해방시까지 강원도 [[속초]]와 [[설악산]] 일대에서 활동한 '산악대(山岳隊)'를 조직해 활동했다고 한다(정병준, [[https://search.i815.or.kr/data2/ebook/history/056/index.html|''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56권]], pp.236-237). 이를 바탕으로 해방 직후인 1945년 8월 17일 [[서울교동초등학교|교동국민학교]]에서 "귀환장병대"를 조직했고, 8월말 별도 창설된 "귀환군인동맹"(총사령 이혁기, 부사령 [[박승환(군인)|박승환]], [[https://www.joongang.co.kr/article/1666447|참조]])을 통합하여 9월 7일 [[조선국군준비대]]를 결성해 대장을 맡았다. 이혁기의 국군준비대는 명동에 위치한 [[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View.do?type=A&type2=area&arcvGroupNo=4303&lowerArcvGroupNo=4307&arcvMetaSeq=37849&arcvNo=102767|명동 증권거래소]](舊 [[한국거래소|조선주식현물시장]]) 건물을 본부로 삼고, 태릉의 [[일본군]] 지원병훈련소(現 [[육군사관학교]])를 훈련소로 사용했다고 한다([[장창국]] [[https://www.joongang.co.kr/article/1666447#home|참조]]). [[미군정]]은 1946년 1월 15일 [[국방경비대]]를 창설하면서 사설 군사단체를 모두 해산시켜 [[국군준비대]]가 해산되었고, 이혁기는 군정포고령 위반으로 1월 25일 군정재판에서 징역 3년을 선고받았다. 1년반 만인 1947년 6월 16일 [[미소공동위원회]]의 건의로 석방되었으나, [[5.10 총선]]을 앞두고 폭동을 기획했다는 이른바 '북로당계 인민혁명군 사건'으로 1948년 2월 22일 검거되어 검찰에서 징역 1년 6개월을 구형받은 후 실종되었다. == 여담 == * 그와 [[경기중학교]] 입학 동기인 제38회는 [[이응준]] 대좌가 배속장교로 부임하여 교련을 실시한 기수로서, [[육군참모총장]](제17대) [[김용배]], [[합참의장]](제9대) [[장창국]], [[공군사관학교장]](제6대)과 [[체신부]] 장관(제23대)을 역임한 [[신상철(1924)|신상철]] 등을 배출했다고 한다([[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55912.html|참조]]) [[분류:1923년 출생]][[분류:경기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전신 학교/인문대학]][[분류:몰년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