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투아이즈 멤버이자 믹스나인 출연자, rd1=이가원)] [include(틀:KBS의 성우)] ||<-2>
{{{#ffffff '''{{{+1 이향숙}}}'''[br]Lee Hyang-su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www.kbsvoice.net/833411045149748.jpg|width=100%]]}}} || || '''출생''' ||[[1954년]] [[12월 7일]] ([age(1954-12-07)]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소속''' ||前 [[TBC 성우극회]] 7기[br][[KBS 성우극회]] 14기 ([[프리랜서]]) || || '''활동 시기''' ||[[1973년]] ~ [[2007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external/kbau.co.kr/1890292918_5d117a84_3EB82A8EC9E90EC84B1EC9AB0.PDF%2B-%2BAdobe%2BAcrobat%2BPro%2BExtended.jpg]] [[대한민국]]의 [[성우]]. 1973년 [[TBC 성우극회|TBC]] 7기로 입사했으나,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인해 [[KBS 성우극회|KBS]] 14기로 분류되었다. == 활동 == 반듯하고 [[허스키]]한 음색이 특징으로 주로 심약하고, 진지한 소년이나 엄마 역할을 많이 맡았다. 전성기에는 주로 특히 애니메이션에서 소년 역할을 많이 맡아왔는데 [[녹색전차 해모수]]의 주인공 [[릭(녹색전차 해모수)|릭]]과 같은 열혈적인 소년에서부터 [[폭주형제 렛츠&고|우리는 챔피언]]의 한채빈처럼 시크한 소년도 잘 소화해낸다. 지금으로 치면 열혈연기를 잘 연기한다는 점에서는 후배 [[김현지(성우)|김현지]], [[김서영(성우)|김서영]] 내지 [[양정화]]. 시크한 소년을 잘 연기한다는 점에서는 직속 극회 후배인 [[안경진]], [[배정미]], [[김율]], 심약한 소년 캐릭터 전담이라는 점에서는 [[이현진(성우)|이현진]]과 비슷한 포지션. 외화 쪽에서는 [[터미네이터 2]]에서 [[존 코너]]로 유명한데, 해당 배우의 심약한 면이나 반항적인 성격을 매우 잘 살린 연기로 호평을 받기도 했다. 한때 외화 쪽에선 [[줄리앤 무어]]의 [[전담 성우/배우|전담 성우]]이기도 했다. 대중들이나 90년대생들에게는 아무래도 SBS에서 방영했던 '''[[탑블레이드]]'''의 '''[[레이(탑블레이드)|레이]]'''(V 이후[* 1기인 무인편은 후배 [[안경진]]이 먼저 연기했다. 이민을 간 이후에 개봉한 극장판에서는 다시 안경진이 연기했다.]) 역으로 유명할 것인데 당시 작품의 인기와 성우의 열연으로 성우의 유명세도 많이 알려졌다고 한다. 주로 조연을 연기했던 이 성우의 몇 안되는 주역 캐릭터면서 '''대표 캐릭터이다.''' 90년대에 활발하게 활동한 베테랑 성우이며 2007년까지 꾸준히 활동하였지만 이후부터는 활동이 없더니 2015년에 미국 애틀랜타 한인연극협회에 소속된 것이 알려지면서 동기인 [[한수경]], 허경림처럼 미국으로 이민을 간 것으로 보인다.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3750132|출처]] 현재는 지인의 유튜브 채널에서 시집 낭독으로 자주 목소리를 들려주고 있다. == 기타 == * 보통 주인공보다는 주인공의 친구(동료)나 또는 조연 포지션으로 많이 출연했기 때문에 비교적 인지도가 낮은 편이였는데, 2000년대 초반 SBS에서 방영한 [[탑블레이드]] 시리즈의 [[레이(탑블레이드)|레이]]를 담당해 열연하게 되면서 그 당시 아이들 사이에서도 인지도가 많이 올라가게 되었다. * 나중에는 성우가 '''[[이선주|후배]]'''로 바뀌었지만, 그 유명한 [[호빵맨]]의 초대 한국판 성우가 바로 이 분이었다.[* 정확히는 MBC 방영판에서 담당했다.] 참고로 이선주 성우는 MBC판에서는 [[카레빵맨]]을 연기했다. * 사실상 8~90년대 더빙된 애니에서 진지한 소년 배역은 이 분이 거의 전담했다 생각하면 된다. 사실 8~90년대 애니에선 개구쟁이는 [[김정애]], [[박영남]], [[안정현]], [[손정아]]가 진지한 스타일은 본인 외에 선배들인 [[김순원]], [[문옥현]], [[이영주(성우)|이영주]], [[김순선]], [[유지영]], [[우문희]], [[최수민]]이 거의 전담하다시피 했었다. 물론 전자의 성우들도 진지한 배역을 아예 안 맡은 건 아니고 제일 많이 맡은 캐릭터가 그런 스타일이었다는 것이니 오해는 금물해야 한다.[* 특히 손정아 성우나 김정애 성우는 [[강철의 연금술사]]의 [[에드워드 엘릭]], [[디지몬 어드벤쳐]]의 [[매튜(디지몬 시리즈)|매튜]], [[요리왕 비룡]]의 [[산췌|소추]], [[디지몬 테이머즈]]의 [[곽소룡]], [[스팀보이]]의 레이 같은 진지한 소년 배역도 매우 절륜하게 연기했기에 배역이 장난꾸러기나 개그 캐릭터로 고착화되었을 뿐이지 절대 이런 유형의 스타일을 '''아예''' 연기를 못하시는 성우들이 아니다. 애초에 성우도 또한 배우와 같은 연기자이기 때문에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굉장히 중요로 하는 직업이다.][* 박영남 성우는 지금이야 짱구로 이미지가 고착되어서 장난꾸러기 배역만 특화된 줄 알고 있지만, 8~90년대에는 지금과는 다르게 [[그레이트 다간]]의 [[타카스기 세이지|강철]]이나 [[마동왕 그랑조트|슈퍼 그랑죠]]의 민호 같은 용자물 주인공이나 비교적 꽤 진지한 소년 캐릭터를 많이 연기했던 시절도 있었다.][* 이런 것 때문에 성우들이 연기 스타일이 굳어지는 것을 꺼리는 이유가 상대적으로 다른 성별이나 이질적인 스타일의 캐릭터를 연기할 때, 그 굳혀진 이미지가 하도 강해서 미스캐스팅이라고 평가받을 때가 많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런 케이스로는 대표적인 성우로 후배들인 [[정혜옥]] 성우, 남자 성우는 [[전태열]], [[홍범기]] 성우가 있다.] * 1기수 후배이자 동생인 [[김정애]] 성우와는 같이 출연한 작품이 많았다. * 주로 소년 캐릭터를 많이 연기했지만, 나긋하고 인자한 목소리 덕분에 누구누구의 어머니를 연기한 캐릭터도 굉장히 많았다.[* 이민으로 은퇴한 지금 이 포지션은 직속 극회 후배인 '''[[임은정(성우)|임은정]]'''이 가져가게 되었다.] == 출연작 == === 애니메이션 === * [[개구리 왕눈이]]([[KBS]]) - 왕눈이 엄마 * 공자전 - [[공자]](소년 시절), [[남자(동음이의어)#s-3|남자]] * [[기갑함대 다이라가XV]] * [[꼬마거북 프랭클린]]([[EBS]]) - '''[[프랭클린 터틀|프랭클린]]''' * [[날아라 호빵맨]]([[MBC]]) - '''[[호빵맨]]'''[* 투니버스에서는 [[이선주]]. 참고로 이선주는 MBC에서는 [[카레빵맨]]을 맡았었다.(...)] * [[내 친구 아서]]([[EBS]]) - 제인 리드(아서 엄마) * [[녹색전차 해모수]]([[KBS]]) - '''[[릭(녹색전차 해모수)|릭 헤링]]''' * [[독수리 5형제|독수리 오형제 1기]]([[동양방송|TBC]], [[KBS]]) - '''[[백조 쥰]](유미, 수나)'''[* 2~3기(1996)은 [[서혜정]].] * [[돈키호테]]([[KBS]]) - 둘네시아 * 동물 보물섬(대우비디오, [[KBS]]) - 짐 호킨스 * [[릴로 & 스티치]] - 수영장 직원 * [[미크로맨(애니메이션)|마이크로맨]]([[KBS]]) - 나강찬 * [[몬스터(만화)/애니메이션|몬스터]]([[투니버스]]) - 남자 아이, 니나 엄마(포르트너 부인) * [[무적왕 트라이제논]]([[투니버스]]) - 카나 엄마 * [[무카무카 파라다이스]]([[투니버스]]) - 고봉수 * [[질풍 아이언리거|미래영웅 아이언리거]]([[SBS]]) - [[와트 & 앰프|키키]] * [[밀림의 왕자 레오]]([[SBS]]) - '''[[밀림의 왕자 레오#s-3|레오]]''' * [[보물섬]]([[MBC]]) - '''짐 호킨스''' * [[비스트 워즈 네오]]([[SBS]]) - [[스탬피(BWN)|스탬피]] * [[비스트 워즈 세컨드]]([[SBS]]) - 다이버(추정) * [[뿅뿅요정 하니]]([[대교방송]]) - [[카잔]](타카하시 겐진) * [[사이보그 009]]([[애니맥스]]) - '''프랑소와즈 아르누르 / 사이보그 003''' * [[마동왕 그랑조트|슈퍼 그랑죠]](비디오판) - '''[[하루카 다이치|장민호]]''' * [[오페라 저택·새로운 살인|소년탐정 김전일 극장판 - 오페라 저택 또 하나의 살인]](점프 비디오판) - '''[[김전일]]'''[* 다른 비디오판인 [[김환진]]이나, 투니버스&대원판인 '''[[강수진(KBS 성우)|강수진]]'''에 비해 인지도도 떨어지고 완전히 묻혔다.(...) 참고로 김전일을 맡은 유일한 여성 성우이다.] * [[사쿠라 대전]] 앵화현란 OVA([[대원방송]]) - [[후지에다 아야메]] * [[슈렉]] 2([[KBS]]) - 왕비[* 극장 개봉판에서는 [[성선녀]].] * [[스페릭스]]([[KBS]]) - 케즈 * [[시공탐정 겐시군]]([[KBS]]) - [[야마토 토키오]] * [[심슨 가족]]([[MBC]], 비디오판) - '''[[바트 심슨]]'''[* 다만 [[EBS]]에서 맡은 [[이선호(성우)|이선호]] 버전이 더 넘사벽급이다. 여담으로 [[투니버스]]에서는 [[정선혜(성우)|정선혜]]가 담당.] * [[아가사 크리스티의 명탐정 포와로와 마플]]([[투니버스]]) - '''미스 [[제인 마플]]''' * [[아기공룡 둘리(1987년 애니메이션)|아기공룡 둘리]]([[KBS]]) - [[고철수]], [[박정자(아기공룡 둘리)|박정자]](2기) * [[아나스타샤(애니메이션)|아나스타샤]]([[KBS]]) - [[아나스타샤(애니메이션)#s-3|어린 드미트리]](글렌 워커 해리스 주니어) * [[우리는 챔피언]]([[SBS]]) - '''한채빈''' * [[욕심쟁이 오리아저씨]]([[KBS]]) - [[휴이, 듀이, 루이|듀이]] * [[트랜스포머 카로봇|정의의 용사 카봇]]([[KBS]]) - 김남현 * [[천년여우 여우비]] - 구릉영혼 * [[천사소녀 네티]]([[KBS]]) - 샐리 엄마, 나리, 산타나 경감 * [[폭전슛 베이블레이드#s-3.2.2|탑블레이드 V]]([[SBS]]) - '''[[레이(탑블레이드)|레이]]''', [[미즈하라 주디|주디박사 / 맥스 엄마]], 한솔미 엄마 외 각종 단역 * [[폭전슛 베이블레이드#s-3.2.3|팽이대전 G블레이드]]([[SBS]]) - '''[[레이(탑블레이드)|레이]]''', 라울 페르난데스 외 각종 단역 * [[피구왕 통키]]([[SBS]]) - [[피구왕 통키/등장인물#s-7.2|김미화]] * [[하늘의 용사 스카이서퍼]]([[KBS]]) - '''킴벌리'''(스카이 쓰리) * [[하늘을 나는 유령선]] - '''하야토''' * [[햇살나무]]([[KBS]]) - 효동 === 라디오 드라마 === * 너와 난 빨간풍선([[동양방송|TBC]]) - 준수의 어머니 === 영화 === * '''[[줄리앤 무어]]''' 전담 * 매그놀리아([[SBS]]) - 린다 패트리지 * [[에볼루션(영화)|에볼루션]]([[SBS]]) - 앨리슨 리드 * [[쥬라기 공원 2]]([[SBS]]) - 사라 하딩[* [[KBS]] 방영판에서는 [[서혜정]].] * 파 프롬 헤븐([[KBS]]) - 케이시 위태커 * 7일간의 사랑([[SBS]]) - 장 끌로드(세바스찬 던건) * 굿바이 뉴욕 굿모닝 내 사랑([[SBS]]) - 대니([[제이크 질렌할]]) * [[그녀에게]]([[KBS]]) - 로사(마리올라 푸엔테스) * 까미유 클로델([[SBS]]) - 제시(카트린 부어먼) * 뉴 이어스 데이([[SBS]]) - 제이크의 엄마(아나스타샤 힐) / 제이크의 동생(로이 루이스) * [[늑대와 춤을]]([[SBS]]) - 주먹 쥐고 일어서(메리 맥도널)[* [[KBS]] 방영판에서는 [[김성희(1954)|김성희]].] * 러브 스파이([[KBS]]) - 미나 * [[미네소타 트윈스]]([[SBS]]) - 빌리(루크 에드워즈) * [[미션]]([[KBS]]) - 카를로타(체리 런기) * [[미세스 다웃파이어]]([[SBS]]) - 미란다([[샐리 필드]])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미국 영화)|바람과 함께 사라지다]]([[KBS]]) - 멜라니 해밀톤([[올리비아 드 하빌랜드]]) * [[벤허(1959년 영화)|벤허]]([[KBS]]) - 미리암(마사 스콧)[* [[SBS]] 방영판에서는 [[성선녀]].] * 비각칠 2([[SBS]]) - 사부의 동생(이려려) * 사랑의 마라톤 300마일([[KBS]]) - 리디아(로잔나 데소토) / 메리(수잔 마이클스) * 사랑의 빛([[KBS]]) - 메건(마르타 코버) * [[사랑 이야기]]([[SBS]]) - 헬렌(이자벨 글라서) * 사이더 하우스([[KBS]]) - 에드(제인 알렉산더) * 삼형제와 상속자([[SBS]]) - 크리스틴(마린 졸리베) * [[스크림 시리즈|스크림 3]]([[SBS]]) - 게일 웨더스([[코트니 콕스]])[* [[MBC]]판 [[스크림(영화)|1]], [[스크림 2|2]]편에서는 [[김서영(성우)|김서영]].] * [[아라비아의 로렌스]]([[KBS]]) - 오다의 아들(카말 라시드) * 아이가 커졌어요[* 애들이 줄었어요의 속편.]([[KBS]], [[MBC]]) - 닉 스잘린스키(로버트 올리버리)[* 1편인 [[애들이 줄었어요]]에서는 [[박영남]].] * 아이언 이글([[SBS]]) - 엄마(캐롤라인 라거펠트) * 양가휘의 굿바이 차이나([[KBS]]) - 변호사 * 용재변연([[SBS]]) - 비룡의 어머니(포기정) * 웨이트 오브 워터([[KBS]]) - 진(캐서린 매코맥) * [[퍼니셔(영화)|응징자]]([[KBS]]) - 토미(브라이언 루니) / 애니(브룩 앤더슨) / 기자(로슬린 젠틀) * [[위 워 솔저스]]([[SBS]]) - 줄리 무어([[매들린 스토]]) * [[의뢰인]]([[KBS]]) - 마크 스웨인([[브래드 렌프로]])[* [[SBS]] 방영판에서는 [[최문자]].] * [[의적 실버 블레이드]]([[SBS]]) - 시아(리세트 안소니) * [[인디아나 존스와 마궁의 사원|인디아나 존스 2: 마궁의 사원]]([[KBS]]) - 인도 아이(라즈 싱) * 일요일의 아이들([[KBS]]) - 어린 뷔(헨릭 리노스) * 젋은 사자들([[KBS]]) - 호프(호프 레인지) * [[주니어#s-5|쥬니어]]([[KBS]]) - 안젤라(패멀라 리드) * [[쥬라기 공원(영화)|쥬라기 공원]]([[SBS]]) - 엘리 새틀러([[로라 던]])[* [[KBS]]판는 [[윤소라]].] * 최후의 탈출([[SBS]]) - 매릴린(시즌 허블리) * 크로커다일 던디 3([[KBS]]) - 마이키(서지 코크번) * [[터미네이터 2]]([[SBS]]) - [[존 코너]]([[에드워드 펄롱]])[* [[KBS]] 방영판에서는 [[이선(성우)|이선]]. [[MBC]] 방영판에서는 [[이미자(성우)|이미자]].] * 테일러 오브 파나마([[SBS]]) - 프란체스카(캐서린 매코맥) * 톰과 허크([[KBS]]) - 폴리 이모(에이미 라이트) * 파 프롬 홈([[KBS]]) - 앵거스(제시 브래드포드) * [[피라미드의 공포]]([[KBS 1TV|KBS]]) - [[존 왓슨]](알란 콕스) * [[해커스]]([[KBS]]) - 조쉬(윌 호네프) === 외화 === * 메디컬 인베스티게이션([[PSB]]) - 나탈리 듀란트 박사(켈리 윌리암스) * 원더폴스([[TBC]], [[TJB]]) * [[아라비안 나이트]]([[TBC]]) * 에이전시([[CNTV]]) * [[칭기즈칸(드라마)|칭기즈 칸]]([[KBS]]) - 어린 테무친([[칭기즈 칸]]), 어린 차린부허, [[보르테 우진]]의 어머니 === 특촬물 / 기타 === * [[파워레인저 지오|지오레인져]]([[SBS]]) - 왕비, 로보트 * 알뜰 살림장만 퀴즈 - 나레이션 == 관련 문서 == * [[성우/한국]] [각주] [[분류:1954년 출생]][[분류:전직 성우]][[분류:1973년 데뷔]][[분류:2007년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