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대구광역시장)] ----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구광역시장 후보)]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px]]]] {{{#cfa547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국회의원}}}]] ([[대구광역시|{{{#cfa547 대구}}}]] [[달서구 을|{{{#cfa547 달서구 을}}}]])'''}}} || || 제14대[br][[최재욱]] || → || '''제15-18대[br]이해봉''' || → || 제19-21대[br][[윤재옥]] ||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cfa547 대한민국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cfa547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장}}}]]'''}}} || || 제16대 후반기[br][[안동선]] || → || '''제17대 전반기[br]이해봉''' || → || 제17대 후반기[br][[임인배]] || ---- }}} || ||<-2> '''[[대구광역시장|{{{#fff 제23대 대구직할시장}}}]][br]{{{#fff {{{+1 이해봉}}}[br]李海鳳 | Lee Hae-b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4_400x400.jpg|width=100%]]}}} || ||<|2> '''출생''' ||[[1942년]] [[6월 15일]] || ||[[경상북도]] [[대구부]] 신정[br](現 [[대구광역시]] [[중구(대구광역시)|중구]] [[대신동]]) || || '''사망''' ||[[2012년]] [[8월 19일]] (향년 70세) || || '''본관''' ||[[성주 이씨]] || ||<|4> '''재임기간''' ||제23대 [[대구광역시장|대구직할시장]] || ||[[1990년]] [[12월 28일]] ~ [[1992년]] [[4월 20일]] || ||제7대 체육청소년부 차관 || ||[[1992년]] [[4월 21일]] ~ [[1993년]] [[2월 25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이선희[* 원로 [[법조인]]으로, 전직 [[판사]]이자 현직 [[변호사]]로, 초대 양육비이행관리원 원장을 역임하였다. [[가수]] [[이선희]]와는 [[동명이인]].] || || '''자녀''' ||슬하 2남 || || '''학력''' ||[[경북고등학교]] {{{-1 (졸업)}}}[br][[서울대학교]] {{{-1 (법학 / 학사)}}} || || '''병역''' ||[[병역면제]] || || '''종교''' ||[[불교]] || || '''최종 당적'''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 '''의원 선수''' ||'''4''' || || '''의원 대수''' ||'''[[제15대 국회의원|15]], [[제16대 국회의원|16]], [[제17대 국회의원|17]], [[제18대 국회의원|18]]''' || || '''약력'''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장[br][[한나라당]] 대구시당 위원장[br][[한나라당]] 대구 [[달서구 을]] 당협위원장[br]체육청소년부 차관[br][[대구광역시장|대구직할시장]][br]대통령 정무비서관[br]내무부 새마을담당국장[br]내무부 행정과장[br][[내무부]] 지방기획과장[br][[경상북도]] 보건사회국장[br]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관료]], [[정치인]]이다. 1942년 [[경상북도]] [[대구부]] 신정(현 [[대구광역시]] [[중구(대구광역시)|중구]] [[대신동]])[* [[http://naver.me/5HSE3j8D|회고록 바보 같은 인생 참조.]]][* [[달성군]] [[옥포읍]] 출신으로 알려져 있는데, 달성군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것은 맞지만 본인의 회고록에 따르면 중구 출신이다.]에서 태어났다. [[대구중학교]]와 [[경북고등학교]](42회)[* [[조해녕]], [[정정길]], [[이명재(검찰총장)|이명재]]와 동기다.],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경상북도청]][* 회고록 내용 중 공직생활 관련 내용에선 경북도 보건사회국장 재임 당시 겪었던 '''[[최태민]]'''에 관련한 에피소드가 언급된다. 후일 그가 '''[[친박]]'''계에 속했던 점을 생각하면 의미심장하다.], 내무부(현 [[행정안전부]]), [[대통령비서실]], [[국무조정실]] 등에서 근무하였다. 내무부 근무 당시 [[경상남도청]]의 [[창원시]] 이전, 승격되는 [[대구광역시|대구직할시]]에 6개 읍·면[* [[달성군]] [[성서(대구)|성서읍]], [[월배|월배읍]], [[공산동|공산면]], [[경산시|경산군]] [[안심(대구)|안심읍]], [[시지(대구)|고산면]], [[칠곡군]] [[칠곡(대구)|칠곡읍]].]을 편입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관선 [[대구광역시장|대구직할시장]], 체육청소년부(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 본인의 회고록에선 대구시장에서 체육청소년부 차관으로의 발령이 대구직할시 금고를 [[대구은행]] 독점에서 [[대동은행]]으로의 분산 예치를 거절한 것에 따른 보복성 좌천이라고 주장하고 있다.]을 역임했으며 체육청소년부 차관을 끝으로 24년의 공직 생활을 마감했다.[* 이 때 같이 일했던 장관이 '''[[이진삼]]'''이다. 두 사람이 거의 동시에 취임했고 정권 교체에 따라 동시에 물러났다. 다만 정치적 행보는 엇갈리는 편.] == [[대구광역시장|대구직할시장]] 재임 == [[1990년]] [[박성달]]의 후임으로 대구직할시장으로 부임한 그는 재임 당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착공, [[종합유통단지]] 추진, 50사단 부지 인수, 보훈병원 유치, [[대구대공원]] 구상, 대구경북연구원 창설, 도로 확장, [[서변대교]] 착공, 대구장기발전계획 수립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 [[낙동강 페놀 유출사건]]으로 경질설이 돌기도 했으나 사과하는 선에서 마무리됐다. 회고록에 따르면 [[대구광역시청]] 신청사 구상이 언급되는데, 현 시청사는 중구청사로 쓰고,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설중학교|경북대사대부중]],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경북대사대부고]]를 [[달서구]] [[용산동(대구)|용산1동]] [[제50보병사단|50사단]] 부지로 이전하고 비어 있던 옛 [[대구상업고등학교]] 부지[* 1984년 [[달서구]] [[상인동]]으로 이전했고 1999년 남녀공학 대구상업정보고로 전환한 후 2003년 인문계 대구상원고가 되었다. 당초 이 부지는 대구 연고 건설사인 광명에서 개발하려고 했으나 광명의 부도로 무산되고 공무원연금공단이 소유하고 있었고, 현재는 센트로팰리스 아파트가 들어섰다.]와 합해 신청사를 건립하려고 했으나 외곽지로 이전하고 [[박정희]] 대통령이 다녔던 현 역사관 건물이 사라진다는 이유로 동창회에서 반대하고 그도 체육청소년부 차관으로 발령되어 무산됐다. 이후 초대 민선 [[문희갑]] 전 대구시장 역시 퇴임 후인 2010년 해당 부지에 신청사를 건립하려 했다고 밝힌 바 있다.[[https://m.yeongnam.com/view.php?key=20101013.010030723150001|#]] [[경상북도]] [[영천시]]에 [[영남권 신공항]]을 건립하는 안을 구상하기도 했다. 이는 이후 민선 [[문희갑]] 시장 재임 당시 [[이의근]] 경북지사와 [[금호읍]]에 [[대구경북 통합신공항|민군 통합공항]]을 건설하는 안으로 현실화되나 했지만 대구경북이 밀양 신공항을 밀게 되며 백지화되었고, 민군 통합이전이란 안만 남아 영천시에 비해 대구에서 거리가 훨씬 먼 [[군위군]]·[[의성군]]에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건설이 추진되고 있는 상태다. 이 외에도 본인의 회고록에선 시장 재임 당시 [[성서산업단지]]에 들어설 예정이던 [[삼성자동차]]를 김영삼 정권 출범 후 부산 녹산국가산단에 빼앗아 갔고, 지하로 건설될 예정이던 [[경부고속선]] 대구 구간을 지상화로 변경했고, 체육청소년부 차관 재임 당시 [[경주시]]에 들어서기로 한 [[부산경남경마공원|경마장]]을 [[부산광역시]]로 빼앗아 갔다고 주장하고 있다. 나름의 업적도 있고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선 [[대구광역시장]] 출마, 4선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을 지내 관선 시장임에도 그런지 인지도가 높은 축에 속한다. == 정치 활동 == 1993년 [[문민정부]] 출범과 함께 공직을 떠난 후[* 본인은 [[김영삼]] 정권이 TK 인사인 자신에게 보복성 인사 조치를 했다고 회고록에서 주장했다.]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으로 [[대구광역시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문희갑]] 후보에 밀려 3위로 낙선하였다. 이 과정에서 아내 이선희 씨는 연단에서 남편의 지지를 호소했다가 선거법 위반으로 판사 자리를 떠나 변호사로 개업해야 했다.[* 본인은 [[김영삼]] 정권의 TK에 대한 박해, 홀대라고 회고록에서 주장했다.][* 다만 현재는 선거법이 개정되어서 공직자라도 직계존속, 배우자의 선거 운동이 가능하다. [[나경원]] 전 의원의 남편인 김재호 판사가 선거 유세를 같이 다닐 수 있는 것이 이 때문.]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대구광역시 [[달서구 을]] 지역구에 출마하여 현역 [[국회의원]]이던 [[자유민주연합]] [[최재욱]][* 원래 [[민정계]]였고 [[신한국당]] 소속이었지만 당시 [[달서구 을]]에 속한 [[상인동]]에서 [[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폭발 사고]]가 일어난데다 TK 홀대론 등으로 인해 TK 전역에서 [[문민정부]]와 [[신한국당]]에 대한 이미지가 좋지 않았다 보니 총선 직전 탈당하고 [[자유민주연합]]에 입당했다. 실제로 같은 선거에서 [[신한국당]] 후보로 출마한 이철우 후보 역시 집권여당 소속임에도 겨우 15%도 안되는 득표율에 그쳤고 당시 대구 내 의석 13석 중 11석을 [[자유민주연합]]과 [[무소속]]이 가져갔을 정도로 대구 지역에서 신한국당의 지지율은 무척 낮았다.]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997년 말 [[제15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이회창]]을 지지하며 [[한나라당]]에 입당하였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한나라당 대구시당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2006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친박]]계라는 이유로 한나라당 공천에서 탈락했다. 이에 불복하여 탈당 후 무소속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한나라당]] [[권용범]]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인근 달서갑, 달서병 선거구와는 달리 [[미래희망연대|친박연대]]가 아닌 [[친박 무소속 연대]]를 구성해 출마하였다. 선거 구호는 '''박근혜 - 살아서 돌아오라!!!'''[* 당시 선거 벽보를 확인할 수 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img_pg.aspx?CNTN_CD=IE000887852&tag=%EC%9D%B4%ED%95%B4%EB%B4%89&gb=tag|#]]] 당선 후 한나라당에 복당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불출마를 선언하였다. 박근혜의 대권 도전을 위한 친박 중진의 용퇴라고 평가받았지만... 같은 해 8월 19일 지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아무래도 본인의 건강 상태를 잘 알고 있었기에 불출마를 결심했던 것으로 보인다. [[달성군]] [[옥포읍]]에 있는 그의 묘소엔 매년 기일을 전후해 지역구 후임인 [[윤재옥]] 의원이 방문하여 참배하고 있다. 지역구 관리를 꽤 잘 한 편이라고 평가받는데, [[달서구]] 내 무게축이 [[성서(대구)|성서]]에서 달서구 을 지역구가 속한 [[월배]]로 옮겨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때마침 [[성서(대구)|성서]]의 아파트들이 노후화되고 있기도 했다.] [[월배신도시]](신월성) 개발[* 그가 초선의원 시절 [[월배공업단지|월배공단]]을 주거용지로 전환한 것이 개발의 시작이었다.], [[테크노폴리스로|테크노폴리스 진입도로]] 건설,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 [[달서구]] 대곡동 유치 등 지역구 관리를 탄탄하게 하여 [[제18대 국회의원 선거|18대 총선]] 당시 공천을 받지 못해 무소속으로 출마했음에도 불구하고 57%의 득표율로 [[한나라당]] [[권용범]] 후보를 17.47%P 차이로 꺾고 승리했다.[* 옆 [[달서구 갑]]에서 현역 3선 [[박종근(1937)|박종근]]이 [[홍지만]]을 7.31%P밖에 차이를 벌리지 못하고 승리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처럼 이해봉이 지역구 관리를 잘 해둔데다가 후임인 [[윤재옥]] 역시 나름 지역구 관리에 신경쓰고 있어 젊은 인구가 계속 유입되는 신시가지임에도 [[달서구 을]]은 [[북구 을(대구)|북구 을]]이나 [[수성구 갑]]과 달리 보수정당에 압도적인 지지를 보내고 있다. == 여담 == * 회고록 등에서 볼 수 있듯 [[김영삼]]을 굉장히 싫어했다. [[문민정부]]가 출범하자마자 공직 생활을 타의로 마감해야 했고 TK를 비교적 홀대하고 PK만 신경쓴 것이 원인. *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대구광역시장]] 자리를 놓고 맞붙은 [[조해녕]]과는 [[경북고등학교]] 동창으로 친구 사이라 한다. 단, 조해녕은 [[문민정부]]에서 총무처 장관과 내무부 장관을 지내는 등 이해봉과 다르게 김영삼과 사이가 나쁘지만은 않았다.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1995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대구광역시장]] ||<|2> [include(틀:무소속)] || 222,409 (21.35%) || 낙선 (3위) ||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4> [[대구광역시|대구]] [[달서구 을|달서 을]] || '''38,653 (39.25%)''' ||<|4> '''당선 (1위)''' || '''초선'''[* 1997.11.28 [[한나라당]] 입당]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72,388 (77.43%)''' || '''재선'''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한나라당)] || '''59,927 (66.85%)''' || '''3선'''[* 2008.3.20 한나라당 탈당]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무소속)] || '''44,100 (57.21%)''' || '''4선'''[* 2008.7.11 한나라당 복당] || || {{{#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해봉 1995.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해봉 1996.jpg|width=100%]]}}}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000,#fff 1회 지선}}}]] [[대구광역시장|{{{#000000,#fff (대구광역시장)}}}]]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15대 총선}}}]] [[달서구 을|{{{#000000,#fff (대구 달서구 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해봉 2000.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해봉 2004.jpg|width=100%]]}}}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16대 총선}}}]] [[달서구 을|{{{#000000,#fff (대구 달서구 을)}}}]]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17대 총선}}}]] [[달서구 을|{{{#000000,#fff (대구 달서구 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해봉 2008.jpg|width=100%]]}}}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18대 총선}}}]] [[달서구 을|{{{#000000,#fff (대구 달서구 을)}}}]] ||}}}}}}}}} ||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무소속)] || 1995 - 1997 || 정계 입문 || || [include(틀:한나라당)] || 1997 - 2008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8 || 공천 탈락 불복으로 탈당[br]([[친박 무소속 연대]]) || || [include(틀:한나라당)] || 2008 - 2012 || 복당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2 || 당명 변경[br]작고 || == 저서 == * [[http://naver.me/x0ahnf2F|바보같은 人生 - 국회의원 4선, 이해봉의 독백]] - 회고록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5대 국회의원/대구광역시)] [include(틀:제16대 국회의원/대구광역시)] [include(틀:제17대 국회의원/대구광역시)] [include(틀:제18대 국회의원/대구광역시)] [[분류:1942년 출생]][[분류:2012년 사망]][[분류:중구(대구) 출신 인물]][[분류:대구광역시장]][[분류:제15대 국회의원]][[분류:제16대 국회의원]][[분류:제17대 국회의원]][[분류:제18대 국회의원]][[분류:무소속 국회의원]][[분류:한나라당 국회의원]][[분류:새누리당 국회의원]][[분류:공무원 출신 정치인]][[분류:5급 공개경쟁채용시험 출신/전신]][[분류:체육청소년부 차관]][[분류:경북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노태우 정부/인사]][[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