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 rd1=이하늬(동명이인))] [include(틀:사람 엔터테인먼트 소속 아티스트)] ||<-2> '''{{{+1 이하늬}}}[br]李하늬 | Lee Hanee[* [[2007년]] [[미스 유니버스]] 참가 당시에는 '''Honey Lee'''라는 로마자 표기를 사용하였다.]''' || ## 나무위키 프로필 규정에 따라 공식 홈페이지 또는 포털 프로필로 동일하게 교체. 이후 변경시 규정 위반에 해당함.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하늬_공식 프로필.jpg|width=100%]]}}} || ||<|2> '''출생''' ||[[1983년]] [[3월 2일]] ([age(1983-03-02)]세)||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본관''' ||[[경주 이씨]] (慶州 李氏)[* 40세 ○희(熙) ○형(炯) 항렬이나 항렬자를 쓰지 않았다.] || || '''신체''' ||173cm, 56kg, [[B형]], 255~260mm|| ||<|3> '''가족''' ||아버지 이상업^^(1947년생)^^ [br]어머니 문재숙^^(1953년생)^^ [br]외삼촌 [[문희상]]^^(1947년생)^^ [br] 언니 이슬기^^(1981년생)^^ [br] 남동생 이권형^^(1985년생)^^|| ||배우자^^(1981년생, 2021년 12월 21일 결혼 ~ 현재)^^[* 2살 연상이자 언니와 동갑의 비연예인이다. [[https://entertain.v.daum.net/v/20211221132121622 |기사]]][br]딸 아리^^(2022년 6월 20일생)^^[* 태명은 조이. 아직 아버지의 성씨는 알려지지 않았다.] || ||[[애완견|반려견]] 감자 || || '''학력''' ||[[동산초등학교(서울)|동산초등학교]] {{{-2 (졸업)}}}[br][[국립국악중학교]] {{{-2 (기악과 가야금전공 / 졸업)}}}[br][[국립국악고등학교]] {{{-2 (국악과 가야금전공 / 졸업)}}}[br][[서울대학교 음악대학]] {{{-2 (국악학 / 학사)}}}[br][[서울대학교/대학원|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2 (국악학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94252ec1fb7eb0f2ffe0bdc3ef48d419&keyword=%EC%9D%B4%ED%95%98%EB%8A%AC|영화음악에 나타난 가야금음악 연구 : <영원한 제국>과 <평양 날파람>을 중심으로]] (2010.8)][br][[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 (국악학 / 박사)}}} || || '''종교''' ||[[개신교]] {{{-2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예장통합]])}}}[* [[https://news.v.daum.net/v/20070618084015875|출처.]] 부모님, 언니와 함께 [[온누리교회]]에 출석한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005&aid=0000148371|참고자료1]][[http://www.pckworld.com/news/articleView.html?idxno=66378|참고자료]] [[온누리교회]]에서 가야금을 타며 찬양을 부른 적도 있으며, 인스타그램에도 종종 [[개신교]] 관련 글귀를 많이 올리는 등 매우 독실한 신자이다. 2021년 SBS 연기대상에서도 하나님을 언급했다.] || || '''소속사''' ||[[사람엔터테인먼트]] || || '''데뷔''' ||[[2006 미스코리아]] 진 || || '''링크''' ||[[http://esaram.co.kr/ko/leehane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2]]]]|[[https://youtube.com/@haneele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https://www.instagram.com/honey_lee32|[[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https://www.facebook.com/saram.leehane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출신 [[배우]]. == 설명 == [[국악]] 전공으로 [[가야금]], [[장구(악기)|장구]] 등의 국악기와 전통무용이 특기이며, 노래도 잘 하는 편이다. [[영어]]도 잘 하며, [[프랑스어]], [[중국어]], [[일본어]] 등의 어학에 관심이 많다고 한다. 원래 오디션을 보고 [[YG엔터테인먼트]]에 들어가 [[2NE1]] 연습생으로 [[공민지]], [[박봄]] 등과 1년 정도 연습했다고 한다.[[https://youtu.be/zCBJEdF-7fo|#]] 그래서인지 [[2NE1 TV]]에서 2NE1의 콘서트장을 방문해 [[박봄]]과 인사를 나누고 친구로 소개되는 장면이 등장하기도 했다.[[https://youtu.be/gHEj4HsSgWU?t=1075|#]] 실제로도 일부 2NE1 멤버들과 현재까지 친분을 유지하고 있다. [[서울대학교|동 대학]] 3년 선배인 [[김태희]][* 재밌게도 이하늬의 고등학교 동창 중에도 김태희가 있다. SBS 공채 탤런트 11기 출신 배우로 윤초이, 나소영 등의 예명으로 활동했으며 [[SNL 코리아]]의 크루로도 활동했다.]와 친한 사이였다고 한다. 김태희가 3년 선배, [[오정연]]이 1년 선배인데,[* 오정연이 빠른 1983년생이라 선배이다. 그러나 조금 활동하다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였던 오정연이 1년 뒤 체육교육과 내 [[스키]] 동아리로 옮겨 가는 바람에 그 뒤에는 같이 동아리 활동을 하지 않아서 그렇게 많이 친하지는 않았다고 한다. 이하늬는 그 후에도 활동하였고 같은 강의를 들은 적도 있어서 김태희와 좀 더 친한 듯하다.] 3명이 함께 스키 동아리 활동을 하여 친해졌다고 한다. 방송에서는 그래서 3명이 서울대 스키동아리 3대 미녀 같은 수식어로 나오기도 했지만, 실제로는 (각자의 과에서는 인기가 있었지만) 스키 동아리 내에서 당시 이미 모델로서 연예 활동을 하던 김태희의 원탑 인기에 나머지는 쩌리였고, 이하늬는 김태희에게 집적거리려는 남학생들을 막는 경호원에 가까웠다고.[* 이하늬 본인 말로는 "내가 등빨이 좀 있던 시절이라, 내가 경호하면 남학생들이 감히(?) [[김태희]]에게 접근을 못 했다"고.] 그리고 학교 졸업 후, 이하늬는 방송을 통해 오정연의 전 남편 [[서장훈]]과 친해진다. 초반에는 외모와 스펙으로 주목받았지만, 현재는 연기 면에서도 호평을 받고 있다. [[극한직업(영화)|극한직업]]과 [[열혈사제]] 등 선구안이 나쁘지 않고, 무엇보다도 도회적인 면모와 코믹한 면모를 모두 보여줄 수 있다는 점이 메리트이다. 특히 망가지는 연기는 동시대 다른 주연급 여배우들 중에서도 독보적이다. 발성이 탄탄해 웬만한 연기 좀 한다는 배우들도 혹평을 피할 수 없는 더빙 연기에서도 좋은 평을 받았다. 참고로 [[미스코리아]] 본선 입상자 출신 배우 중에서는 사실상 마지막으로 성공한 케이스로 꼽힌다. 과거에는 [[김성희(1959)|김성희]][* 미스코리아 입상자로는 최초로 연예계에 데뷔한 인물. 1960년대 이전에 태어난 사람들에게는 여전히 역대 최고의 미모를 자랑하는 미스코리아로 꼽힌다.], [[홍여진]], [[김성령]], [[김혜리(배우)|김혜리]], [[오현경(1970)|오현경]], [[고현정]], [[염정아]], [[성현아]], [[이승연]], [[김사랑]], [[손태영]] 등 미스코리아 본선 입상자 출신 배우가 여럿 등장했고 성공가도를 달렸지만 이하늬 이후로는 성공한 배우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여기에는 2000년대 후반 이후 미스코리아 입상자들의 진로 성향이나 연예계 입문 경로의 다변화와도 연결되는데 입상자들 다수가 배우로 연예계에 진출했던 과거와 달리 [[아나운서]]나 [[기상캐스터]] 등으로 진로를 정하는 경우가 많아졌다는 점이 특징이다. 더구나 미스코리아가 아니더라도 연예 기획사 연습생 캐스팅이나 [[오디션 프로그램]] 등으로 연예계에 진출할 수 있는 길이 다양해지고 미스코리아의 인기가 갈수록 떨어져 지원자 수와 화제성 등이 감소하는 등 앞으로 연예계에서 성공한 미스코리아 출신은 보기 힘들 전망이다.[* 이하늬 이후에도 배우로 데뷔한 미스코리아 출신들은 많다. 입상자만 추리더라도 같은해에 입상한 장윤서, 박성민이 배우로 활동했으며, 2007년 박가원, 2009년 김주리, 서은미, 박예주, 2011년 이성혜, 공평희, 2012년 김유미, 이정빈, 2013년 유예빈, 김민주, 2014년 이서빈, 2015년 이민지, 김예린, 김정진, 2016년 이영인, 2017년 김사랑, 이수연 등이 있다. 연예계 데뷔로 범위를 넓히면 더 많아진다.] == 외모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JadedChillyIndianglassfish-size_restricted.gif|width=100%]]}}} || 미스코리아 진 출신인만큼 데뷔 때부터 이하늬에게 비주얼은 빠질 수 없는 키워드이다. [[고양이상]]의 대표주자로, 올라간 눈매가 매력적이다. == 커리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0jYXmICoHg)]}}}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K9G2vTckh0)]}}} || [[2006년]] [[미스 서울]] 진, 이어 [[2006 미스코리아]] 진이 된다. 2007년 [[미스 유니버스]][* [[일본]]의 모리 리요(森理世)가 1위를 하여 왕관을 차지했다. 그리고 모리는 2016년 [[미스 유니버스]] 대회에 심사위원으로 참가, [[일본군 위안부]] 관련 망언을 했다. 자세한 이야기는 [[김제니#s-2]] 항목 참조.] 대회 때 본격적으로 국내에 팬덤을 타게 된다. 최종적으로는 4위에 그쳤지만,[* 최종 인터뷰에서 애매한 답을 해 아쉽게 4위에 그쳤다.] 평소 입선조차 꿈꾸기 어려웠던 세계 미인대회에서 선전하여 화제가 되었다. 1988년 [[미스 유니버스]]에서 [[장윤정(배우)|장윤정]]이 세운 2위에 이은 역대 2번째 순위. 2008년 미인대회 관련 온라인 잡지 GB에서 뽑은 미스 그랜드 슬램에서는 1위에 오르기도 했다. 이 때부터 미스코리아 대회 참가자들의 수영복 착용 방식이 달라지는데 전통적인 청색 [[원피스 수영복]] 외에 상의와 하의가 분리된 [[비키니]]의 착용도 허용된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이하늬의 사진이 화제가 됐는데 11자 [[복근]]의 모습에 대중의 관심이 집중됐다. 본선에서 진에 오른 후에는 이하늬의 몸매는 물론 집안의 빵빵함이 화제로 달궈졌다. 세월이 지나 이하늬가 미스코리아로 나왔을 당시 역대급으로 반응이 좋았던 것처럼 왜곡되어 회자되곤 하는데 이하늬가 대중들에게 좋은 이미지로 크게 각인되기 시작한 건 딱 2007년 미스 유니버스에서 4위로 당선 됐을 때부터이다. 막 미스코리아 진으로 뽑히고 미스 유니버스에 나가기 시작했을 때조차(지금 매우 호평받는 호피무늬 수영복, 어우동 한복 이미지 등이 풀리던 때도) 찬양받지 않았고 호감 이미지가 아니었다. 당시에도 미스코리아에 대한 인식이 이미 안 좋아졌던 시기고 이하늬도 성형을 많이 한 것 같다는 둥 외모 평가 역시 좋지 않았다. 고등학교 졸업 앨범과 서울대 재학 당시 사진을 보면 미스코리아 출전 당시의 모습과 차이가 많았기 때문. 그러다 미스 유니버스에서 4위까지 하게 되자 여론이 반전된 것이다. 그러나 당선 직후에도 이미지가 마냥 좋았던 것이 아닌데, 대개 연예계쪽으로 많이 진출하는 [[미스코리아]]들과 달리 이하늬는 미스코리아 선발 당시만 해도 "연예인은 절대로 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전공인 [[국악]] 관련 일을 계속 해나가고 싶다고 하더니 결국 금방 연예계로 진출하여, 일부에서는 "말이나 말지"라는 식으로도 까였다. 거기다 탈의실 셀카, 의전 논란, 소속사 먹튀 같은 몇 안 되는 이하늬에 대한 논란도 다 이 때 일이다. 이후 이런 일들이 잠잠해지고 드라마 등에서도 조연급으로 시작해 연기력이 나쁘지 않았으며 점점 이미지가 좋아져 이런 일도 이제 옛말이 되었다. [[SBS]] [[한밤의 TV연예]] 등의 MC를 보기도 했고, 이후 연기에 도전, 파트너(2009), [[파스타(드라마)|파스타]](2010) 등의 드라마에 조연급으로 출연하였다. 뮤지컬 [[금발이 너무해#s-2]]에 공동 주연[* 일찌감치 뮤지컬 무대에서 몇 년을 구른 [[김지우(배우)|김지우]], [[S♡NE|소덕]]파워를 부르는 [[제시카(가수)|제시카]]와 공동.]으로 나섰는데, 2009년 말 [[MBC]] [[공감토크쇼 놀러와]]에 출연하여 수준급의 노래 실력을 과시하기도 했다. 2011년에는 MBC 일일드라마 [[불굴의 며느리]]에서 조연 김연정 역으로 출연했으며, 파스타의 오세영에 이어 2번째로 요리사 배역이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i2.media.daumcdn.net/20130206121704296.jpg|width=100%]]}}} || 2013년 2월 영화 《뒷담화:감독이 미쳤어요》 주연으로 다시 활동을 재개했다. 2013년 KBS 월화드라마 [[상어(드라마)|상어]]로 TV에 복귀했다. 하지만 극이 진행될수록 공기화되고 말았다. 2014년 1월부터는 MBC에서 금요일 10시에 방영한 《사남일녀》에 출연했다. 4명의 남성 출연자는 고정이지만, 여성 출연자 1명은 매 촬영마다 바뀌는 프로그램이었는데, 첫 번째 에피소드에서 호평이 쏟아지자 아예 고정출연 확정. 기존의 《사남일녀》 출연자는 고정에 에피소드마다 여자 게스트 1명이 추가되는 것으로 바뀌었다. 마침 MBC에서 드라마 [[미스코리아(드라마)|미스코리아]]가 방영 중인지라, 이와 관련한 드립을 써먹는 중.[* "지금 미코 애들한테는 내가 할머니란 말이야!" 라거나.] 프로그램 특성상 시골에서 촬영이 진행되는데, 이 때문에 노상방뇨, 푸세식 화장실 등과 관련된 해프닝이 유독 자주 벌어진다. 제작진이 도시여자, 그것도 미스코리아의 시골 오지에서 구르는 모습에 초점을 맞추기로 한 듯. 2015년부터 [[온스타일]]의 [[Get it beauty]] 진행자를 맡으면서 여성들을 중심으로 다시 인기 상승세를 찍기 시작했다. 안정적인 진행 능력이 호평을 받으면서 2016년, 2017년 시즌 진행자도 연임했다. 2015년 12월에 [[냉장고를 부탁해]]에 [[이승철]]과 함께 출연했다. [[채식주의자|페스코 베지테리언]]임이 밝혀졌으며, 상당한 미식가인 듯 고급진 냉장고를 보여주었다. 특히 프로그램 2번째로 '''통짜 [[송로버섯]]'''이 나온 바 있다.[* 첫 번째로 덩어리 [[송로버섯]]이 등장한 냉장고의 주인은 다름 아닌 [[G-DRAGON]].] 2016년 3월 5일 [[SNL 코리아]]에 출연하면서 그간 닦아온 국악과 연기 실력을 뽐냈다. 9월 8일 개봉한 국산 애니메이션 [[달빛궁궐]]에서 매화부인 역으로 [[연예인 더빙|더빙에 참여]]하였는데, 같이 참여한 [[김슬기]]와 함께 잘 소화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2018년 2월 [[2018 평창 동계올림픽/폐회식|평창올림픽 폐회식 행사]]에 출연해서 '춘앵무'란 이름의 전통춤을 추는 공연을 하였다. 2017년 [[부라더(영화)|부라더]]에 이어서, 2019년에 [[극한직업(영화)|극한직업]]과 [[열혈사제]] 등 코미디 장르 작품에 많이 출연했다. 영화 극한직업은 관객수가 천만을 넘어 [[천만 관객 돌파 영화]]가 되었고, 열혈사제도 마지막화 22%, 평균 16.7%의 시청률을 기록하며 성공했다. 사실상 극한직업이 배우로서 커리어의 전환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전에는 미인대회 출신이라는 외모에 중점을 둔 [[팜 파탈]], 혹은 남성 캐릭터들을 받쳐주는 역이 대부분이었으나 본인의 성격에 잘 맞는 코메디 장르를 만나면서 흥행과 평단 양쪽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기 시작했다. 2021년 9월, SBS 금토드라마 [[원 더 우먼]]에서 데뷔 이래 처음으로 원톱 주연을 맡았다.[* 그동안 드라마와 영화에서 맡았던 배역들은 전부 메인 주인공을 받쳐주는 서브 주연이거나 1롤이 아니었다.] 극한직업과 열혈사제에서 보여준 연기력이 어디 가지 않았다는 호평과 함께 흥행했다. [[조연주(원 더 우먼)|호탕한 성격의 인물]]과 조용하고 차가운 성격의 인물인 도플갱어 연기를 확실하게 보여준데다 큰 신장을 활용한 시원스러운 액션 연기를 선보이는 등 장기를 보여줬다. [[김소연]]을 위협하는 2021년 [[SBS 연기대상]] 대상 수상자로 예측하는 의견도 있다. 2021년 11월 8일 비연예인과 열애설을 인정했고, 12월 21일 비연예인과의 열애설을 인정한 지 1달 만에 결혼식 대신 혼인서약식을 했으며 2022년 6월 딸을 출산했다.[* 방송인 [[이혜영(1971)|이혜영]]이 중매인이다.] == 가족관계 == 명문가 집안이다. 어머니는 가야금 [[무형문화재]]이자 [[이화여자대학교]] 前 교수 문재숙이며, 아버지 이상업은 대한민국 육군 예비역 하사 출신으로 베트남전에 참전한 후 전역하고 나서 경찰 간부가 되어 '''[[국가정보원]] 제2차장, 경찰청 수사국 국장 등을 거쳤다.'''[* 그런데 하필이면 시대가 [[막장]]으로 악명높은 [[5공화국]]이다. 강남경찰서장을 지내기도 했는데, 이 시기 맡았던 강력사건이 1994년 패륜범죄로 유명한 [[박한상(범죄자)|박한상]] 사건이다.] 또한 6선 국회의원이자 [[18대 국회]] 전반기와 [[20대 국회]] 후반기 [[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인 '''일명 친노계의 원로급 의원 [[문희상]]'''이 문재숙의 오빠로, 이하늬의 큰외삼촌이다. 아버지 이상업은 [[경찰대학]] 학장으로 있던 참여정부 시절 [[경찰청장]]직에도 물망에 올랐으나, 당시 민정수석이던 [[문재인]]이 '[[문희상|비서실장]] 매제가 경찰청장이 되면 과연 국민이 납득하겠나. 안 된다.'고 반대해 이뤄지진 않았다고 한다. 문희상 본인도 반박할 수 없는 지적이어서 받아들여야 했다고. 2세 위의 친언니 이슬기 역시 가야금 연주자로서 전통 작품뿐만 아니라 뉴에이지 계열의 퓨전 음반을 여러장 발표하는 등 국악이나 크로스오버 음악 팬들에겐 꽤 유명한 연주자다. 그의 연주곡들이 TV 프로그램 등 여러 곳에서 배경음악으로도 자주 사용되는 편이니[* 예를 들어 [[KTX]] 열차가 종착역에 도착할 때 나오는 음악이 원래 이슬기의 크로스오버 음반에 있다가, 엄마, 언니, 동생이 이랑이란 가족 앙상블로 함께 다시 연주, 녹음한 <[[https://www.youtube.com/watch?v=5q58MTP5W2A|happiness]]>라는 곡이다.], 이름은 들어본 적 없어도 곡은 들어본 적이 있을거다. 언니도 미인이며 서울대 국악과를 나왔다. [[Get it beauty]] 자매 특집에 의하면 어린 시절 언니가 더 예뻤기 때문에 늘 '이슬기 여동생'이라는 꼬리표를 달고 다녔으며, 심지어 미스코리아가 됐을 때도 너무 당연한 듯이 첫째 미스코리아 된 거 축하한다고 연락하는 사람들이 많았다고 한다. 어머니 문재숙은 중요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보유자, 이하늬와 언니인 이슬기는 중요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이수자, 동생 이권형은 중요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이수자다. 위에서도 언급했듯 엄마, 언니, 남동생이 함께 '이랑'이란 가족 앙상블로 공연도 함께하곤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y2qU3xfnoc8|공연 영상1]], [[https://www.youtube.com/watch?v=dNjirPicdcY|공연 영상2]], [[https://www.youtube.com/watch?v=R9pu5uEAK-w|공연 영상3]], [[https://www.youtube.com/watch?v=C3t2BHcZUcc|인터뷰 영상]] == 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uq0I1sXg9Q)]}}} || 2016년 [[SNL 코리아]] 시즌 7에 출연했는데, 여기서 나온 노래가 대박을 치면서 다양한 소재로 패러디가 쏟아졌다. [[이한위]]가 이날 특별출연했으며, 훗날 드라마 《[[원 더 우먼]]》에서 부부로 호흡을 맞춘 배우 [[송원석]]이 단역으로 출연했다. 노래 자체는 미국 SNL에서 [[엠마 스톤]]이' I Broke My Arm'이라는 제목으로 촬영한 Digital Short에서 따와 가사만 개사한 것이며, 해당 에피소드는 한국에서도 정식으로 방영했다. 이하늬가 연기한 버전이 조금 더 볼거리가 많다. [[https://www.youtube.com/watch?v=l6vS99dEexI|원본]] == [[이하늬/논란 및 사건 사고|논란 및 사건 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하늬/논란 및 사건 사고)] == 출연 작품 == === 영화 === ##주연, 조연으로 기재된 영화만 표에 작성하기 바랍니다. 단역, 특별출연, 우정출연, 카메오 등은 취급하지 않습니다. ##개봉된 장편영화만을 기재합니다. || {{{#!wiki style="margin: 0px 10px; display: inline-block" {{{#573824 {{{#!folding Filmography || {{{#!wiki style="margin: -5px -10px" [[히트|[[파일:한국 영화 히트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연가시(영화)|[[파일:external/ff7e29315256d907b6056259ee35c108949f8706db98a1fe80d9fea3c9b9d887.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나는 왕이로소이다|[[파일:나는 왕이로소이다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타짜: 신의 손|[[파일:attachment/타짜: 신의 손/Example.jpg|width=100%]]]]}}} || || [[히트|{{{#!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dfdfdf '''히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1e8e1; font-size: 0.75em" {{{#573824 '''주연'''}}}}}} {{{#202020,#dfdfdf {{{-2 '''2011. 10. 13'''}}}[br]{{{-3 이성한 감독 / 선녀 역}}} }}} || [[연가시(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dfdfdf '''연가시'''}}}}}}]]{{{#!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1e8e1; font-size: 0.75em" {{{#573824 '''주연'''}}}}}} {{{#202020,#dfdfdf {{{-2 '''2012. 7. 5'''}}}[br]{{{-3 [[박정우(영화감독)|{{{#202020,#dfdfdf 박정우}}}]] 감독 / 송연주 역}}} }}} || [[나는 왕이로소이다|{{{#!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dfdfdf '''나는 왕이로소이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1e8e1; font-size: 0.75em" {{{#573824 '''주연'''}}}}}} {{{#202020,#dfdfdf {{{-2 '''2012. 8. 8'''}}}[br]{{{-3 장규성 감독 / 수연 역}}} }}} || [[타짜: 신의 손|{{{#!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dfdfdf '''타짜: 신의 손'''}}}}}}]]{{{#!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1e8e1; font-size: 0.75em" {{{#573824 '''주연'''}}}}}} {{{#202020,#dfdfdf {{{-2 '''2014. 9. 3'''}}}[br]{{{-3 [[강형철(영화 감독)|{{{#202020,#dfdfdf 강형철}}}]] 감독 / 우 사장 역}}}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로봇, 소리|[[파일:로봇소리.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조작된 도시|[[파일:조작된도시.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침묵(영화)|[[파일:침묵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부라더(영화)|[[파일:부라더 포스터.jpg|width=100%]]]]}}} || || [[로봇, 소리|{{{#!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dfdfdf '''로봇, 소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1e8e1; font-size: 0.75em" {{{#573824 '''주연'''}}}}}} {{{#202020,#dfdfdf {{{-2 '''2016. 1. 27'''}}}[br]{{{-3 이호재 감독 / 지연 역}}} }}} || [[조작된 도시|{{{#!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dfdfdf '''조작된 도시'''}}}}}}]]{{{#!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1e8e1; font-size: 0.75em" {{{#573824 '''조연'''}}}}}} {{{#202020,#dfdfdf {{{-2 '''2017. 2. 9'''}}}[br]{{{-3 박광현 감독 / 사무장 역}}} }}} || [[침묵(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dfdfdf '''침묵'''}}}}}}]]{{{#!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1e8e1; font-size: 0.75em" {{{#573824 '''주연'''}}}}}} {{{#202020,#dfdfdf {{{-2 '''2017. 11. 2'''}}}[br]{{{-3 [[정지우|{{{#202020,#dfdfdf 정지우}}}]] 감독 / 유나 역}}} }}} || [[부라더(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dfdfdf '''부라더'''}}}}}}]]{{{#!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1e8e1; font-size: 0.75em" {{{#573824 '''주연'''}}}}}} {{{#202020,#dfdfdf {{{-2 '''2017. 11. 2'''}}}[br]{{{-3 장유정 감독 / 오로라 역}}}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극한직업(영화)|[[파일:극한직업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블랙머니(영화)|[[파일:블랙머니(2019)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외계+인 1부|[[파일:외계+인 1부 티저 포스터_최종.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유령(2023)|[[파일:유령 1차 포스터.jpg|width=100%]]]]}}} || || [[극한직업(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dfdfdf '''극한직업'''}}}}}}]]{{{#!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1e8e1; font-size: 0.75em" {{{#573824 '''주연'''}}}}}} {{{#202020,#dfdfdf {{{-2 '''2019. 1. 23'''}}}[br]{{{-3 [[이병헌(영화감독)|{{{#202020,#dfdfdf 이병헌}}}]] 감독 / 장연수 역}}} }}} || [[블랙머니(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dfdfdf '''블랙머니'''}}}}}}]]{{{#!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1e8e1; font-size: 0.75em" {{{#573824 '''주연'''}}}}}} {{{#202020,#dfdfdf {{{-2 '''2019. 11. 13'''}}}[br]{{{-3 [[정지영(영화 감독)|{{{#202020,#dfdfdf 정지영}}}]] 감독 / 김나리 역}}} }}} || [[외계+인 1부|{{{#!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dfdfdf '''외계+인 1부'''}}}}}}]]{{{#!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1e8e1; font-size: 0.75em" {{{#573824 '''조연'''}}}}}} {{{#202020,#dfdfdf {{{-2 '''2022. 07. 20'''}}}[br]{{{-3 [[최동훈|{{{#202020,#dfdfdf 최동훈}}}]] 감독 / 민개인 역}}} }}} || [[유령(2023)|{{{#!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dfdfdf '''유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1e8e1; font-size: 0.75em" {{{#573824 '''주연'''}}}}}} {{{#202020,#dfdfdf {{{-2 '''2023. 01. 18'''}}}[br]{{{-3 [[이해영|{{{#202020,#dfdfdf 이해영}}}]] 감독 / [[유령(2023)/등장인물#박차경|{{{#202020,#dfdfdf 박차경}}}]] 역}}}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킬링 로맨스|[[파일:킬링 로맨스_메인 포스터.jpg|width=100%]]]]}}} || || || || || [[킬링 로맨스|{{{#!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dfdfdf '''킬링 로맨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1e8e1; font-size: 0.75em" {{{#573824 '''주연'''}}}}}} {{{#202020,#dfdfdf {{{-2 '''2023. 04. 14'''}}}[br]{{{-3 [[이원석(영화 감독)|{{{#202020,#dfdfdf 이원석}}}]] 감독 / 황여래 역}}} }}} || || || || }}}}}}}}} || ||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2> 2011년 || [[개구쟁이 스머프(영화)|개구쟁이 스머프]] || 스머페트([[케이티 페리]])[* 목소리 더빙.] ||<|8> '''주연''' || || 히트 || 선녀 || ||<|2> 2012년 || '''[[연가시(영화)|연가시]]''' || '''[[송연주]]''' || || 나는 왕이로소이다 || 수연 || || 2013년 || 뒷담화: 감독이 미쳤어요 || || || 2014년 || [[타짜: 신의 손]] || 우 사장 || ||<|2> 2016년 || [[로봇, 소리]] || 지연 || || [[달빛궁궐]] || 매화 부인[* 목소리 더빙.] || ||<|3> 2017년 || [[조작된 도시]] || 사무장 || 조연 || || [[침묵(영화)|침묵]] || 유나 ||<|4> '''주연''' || || '''[[부라더(영화)|부라더]]''' || '''오로라''' || ||<|2> 2019년 || '''[[극한직업(영화)|극한직업]]''' || '''[[극한직업(영화)/등장인물#s-1.2|장연수]]''' || || '''[[블랙머니(영화)|블랙머니]]''' || '''김나리''' || || 2022년 || [[외계+인 1부]] || 민개인 || 조연 || ||<|2> 2023년 || [[유령(2023)|유령]] || [[유령(2023)/등장인물#박차경|박차경]] ||<|2> '''주연''' || || [[킬링 로맨스]] || 황여래 || || 미정 || [[외계+인 2부]] || 민개인 || 조연 || === 드라마 === || '''연도''' || '''방송사''' || '''방송명''' || '''배역''' || '''비고''' || || 2009년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파트너(KBS)|파트너]] || 한정원 || 드라마 데뷔작 • 주연 || || 2010년 ||<|2> [[MBC TV|[[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파스타(드라마)|파스타]]''' || 오세영 ||<|2> 주연 || || 2011년 || [[불굴의 며느리]] || 김연정 || || 2012년 || [[채널A|[[파일:채널A 로고.svg|width=40]]]] || [[불후의 명작]] || 서영주 || 조연 || || 2013년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상어(드라마)|상어]] || 장영희 ||<|6> 주연 || || 2014년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모던파머]] || 강윤희 || || 2015년 ||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빛나거나 미치거나]] || 황보여원 || || 2016년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돌아와요 아저씨]] || [[돌아와요 아저씨/등장인물#s-1.4|송이연]] || || 2017년 ||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 ||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등장인물#s-1.4|숙용 장씨]] || ||<|2> 2019년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열혈사제]]''' || '''[[박경선]]''' ||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멜로가 체질]] || 드라마 여주인공 || 특별출연 || || 2021년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원 더 우먼]]''' || '''[[강미나(원 더 우먼)|강미나]]''', '''[[조연주(원 더 우먼)|조연주]]'''[* 1인 2역] ||<|3> 주연 || || 2024년 ||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밤에 피는 꽃]] || [[밤에 피는 꽃/등장인물#조여화|조여화]] || || 미정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40]]]] || [[애마]] || 정희란 || === 뮤지컬 === * 2008년 폴라로이드 - 이세연 역 * 2009년~2010년 금발이 너무해 - 엘 우즈 역 * 2013년 시카고 - 록시 하트 역 * 2013년~2014년 아가씨와 건달들 - 사라 역 === 뮤직비디오 === || '''연도''' || '''아티스트''' || '''곡명''' || ||<|3> 2008년 ||<|3> [[지아]] || [[https://www.youtube.com/watch?v=liLrxlYMmxk|사랑해 미안해]] || || [[https://www.youtube.com/watch?v=bg9FJwzYqS4|난 행복해]] || || [[https://www.youtube.com/watch?v=dnGmUfINFoM|뭉클]] || || 2015년 || [[다이나믹 듀오]] || [[https://www.youtube.com/watch?v=bbTOhfJYQkc|꿀잼]] || == 그 외 활동 == === 라디오 === || '''출연일''' || '''방송사''' || '''방송명''' || '''비고''' || || 2007년 8월 27일 || [[SBS 러브FM|[[파일:1035.png|width=40]]]] || 11시 옥소리입니다 ||<|10> 게스트 || || 2013년 8월 2일 ||<|10> [[SBS 파워FM|[[파일:SBS 파워FM 로고.svg|width=40]]]] || [[최화정의 파워타임]] || || 2013년 8월 26일 || [[장기하의 대단한 라디오]] || || 2015년 11월 17일 || [[두시탈출 컬투쇼]] || || 2015년 12월 8일 || [[이국주의 영스트리트]] || || 2016년 1월 27일 ||<|2> [[박선영의 씨네타운]] || || 2017년 10월 30일 || || 2019년 1월 23일 ||<|2> [[두시탈출 컬투쇼]] || || 2019년 2월 15일 || || 2021년 10월 14일 || [[아름다운 이 아침 김창완입니다]] || || 2022년 1월 18일 || [[두시탈출 컬투쇼]] || 게스트 || === 방송 === || '''출연일''' || '''방송사''' || '''방송명''' || '''역할''' || '''비고''' || || 2006년 8월 21일 ||<|2>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여유만만(텔레비전 프로그램)|이홍렬 홍은희의 여유만만]] ||<|4> 게스트 || || || 2006년 8월 27일 || [[해피선데이]] - 최홍만과 강한 친구들 || || || 2006년 8월 29일 || [[기독교방송|[[파일:기독교방송 로고.svg|width=40]]]] || [[새롭게 하소서]] || || || 2006년 9월 19일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웰빙 건강테크 || || || 2006년 9월 || [[MBC 드라마넷|[[파일:Mbcdrama.png|width=40]]]] || 꽃때말 아이들 || || 추석 특집 || || 2006년 9월 25일 ||<|2> [[MBC TV|[[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말달리자 ||<|2> 게스트 || || || 2006년 12월 21일 || 에너지 || || || 2007년 2월 3일 || [[KBS 1TV|[[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width=40]]]] || [[국악한마당]] || 진행 || 겨울방학 특집 || || 2007년 6월 14일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여유만만(텔레비전 프로그램)|남희석 최은경의 여유만만]] || 게스트 || || || 2007년 7월 4일 ||<|2>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2014 Yes! 평창 특집 생방송 아이 러브 평창 ||<|3> 진행 || 특집방송 || || 2007년 7월 18일~2008년 9월 3일 || [[한밤의 TV연예]] || with 서경석 || || 2007년 10월 15일 || [[MBC TV|[[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나눔과 평화 콘서트 || 특집방송 || || 2010년 9월 14일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김승우의 승승장구]] || 몰래온 손님[* 김태희 편] || with 오정연 || || 2010년 11월 20일~27일 ||<|2> [[Olive|[[파일:Olive 로고(2006~2017).svg|width=40]]]] || 이하늬의 My Sweet Canada || || || || 2011년 3월 15일~2012년 || 푸드 에세이 ||<|3> 진행 || || || 2011년 3월 16일~8월 10일 || [[XTM|[[파일:XTM 로고.svg|width=40]]]] || 옴므 3.0 || || || 2011년 3월 26일~5월 7일 || [[tvN|[[파일:tvN 로고(2008-2012).svg|width=40]]]] || 오페라스타 2011 || || || 2014년 1월 3일~5월 23일 ||<|2>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사남일녀 || 고정출연 || || || 2014년 10월 13일~20일 || MBC 다큐스페셜 - 냉정과 열정사이 || || || || 2015년 2월 4일~11월 18일 || [[ONSTYLE|[[파일:ONSTYLE 로고(2004-2016).svg|width=40]]]] || [[겟잇뷰티|겟잇뷰티 2015]] || 진행 || with 김정민, 소유, 황민영 || || 2015년 6월 11일 ||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LOVE 챌린지 || || || || 2015년 12월 7일~14일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냉장고를 부탁해]] ||<|2> 게스트 || with [[이승철]] || || 2015년 12월 23일 ||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 스타]] || || || 2016년 2월 3일~12월 14일 || [[ONSTYLE|[[파일:ONSTYLE 로고(2016-2017).svg|width=40]]]] || [[겟잇뷰티|겟잇뷰티 2016]] || 진행 || with 김정민, 루나, 황민영 || || 2016년 3월 5일 ||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SNL 코리아|SNL 코리아 시즌7]] || 호스트 || || || 2016년 5월 1일 ||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LOVE 챌린지 시즌2 ||<|2> 출연자 || || || 2016년 10월 14일~12월 9일 || [[엠넷|[[파일:엠넷 로고.svg|width=40]]]] || 판스틸러 - 국악의 역습 || || || 2017년 2월 19일~2018년 1월 3일 || [[ONSTYLE|[[파일:ONSTYLE 로고.svg|width=40]]]] || [[겟잇뷰티|겟잇뷰티 2017]] ||<|2> 진행 || with 이세영, 박나래, 박산다라 || || 2017년 7월 3일~10일 ||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쉘위워크 || || || 2017년 10월 8일 ||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휴먼다큐 사람이 좋다 || || || || 2017년 10월 28일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아는 형님]] || 게스트 || || || 2018년 11월 23일~12월 21일 || [[KBS 2TV|[[파일:KBS 2TV 로고.svg|width=40]]]] || 은밀하고 위대한 동물의 사생활 || 고정출연 || with 박진주, 이성열, 엘, 정하영 || || 2019년 1월 20일 ||<|2>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일요일이 좋다]] - [[런닝맨]] || 게스트 || with 류승룡, 진선규, 이동휘, 공명 || || 2019년 2월 10일 || [[미운 우리 새끼]] || 스페셜 MC || || || 2021년 10월 14일~21일 || [[tvN|[[파일:tvN 로고.svg|width=40]]]] || [[바퀴 달린 집]] || 게스트 || 시즌3 1회, 2회 || || 2021년 11월 21일 || [[TV CHOSUN|[[파일:TV CHOSUN 로고.svg|width=40]]]] || 스타다큐 마이웨이 || 출연자 || || || 2023년 1월 18일 || [[tvN|[[파일:tvN 로고.svg|width=40]]]] || [[유 퀴즈 온 더 블럭]] || 게스트 || || || 2023년 1월 28일 || [[tvN|[[파일:tvN 로고.svg|width=40]]]] || [[도레미 마켓]] || 게스트 || with [[박소담]] || === 홍보대사 === || '''연도''' || '''기업명 / 기관명''' || '''직위''' || || 2010년 || 제2회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2> 홍보대사 || || 2016년 || [[옥스팜]]코리아 || || 2017년 || || 제72주년 경찰의 날 명예경찰 || || 2018년 || 한국문화재재단 || 홍보대사 || === 음반 === || '''연도''' || '''음반명''' || '''곡명''' || || 2010년 || I am Melody (아이 엠 멜로디) || 하늘 가는 밝은 길이 (The Bright, Heavenly Way) || || 2015년 || 야금야금 첫번째 이야기 || 같은 생각 (With 텐조) || ||<|3> 2016년 || LOVE챌린지 || LOVE ME || || 판 스틸러 Ep.1 || 자진아리 (Prod. by 윤상) || || Hooxi, The Beginning[*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스타들이 재능기부로 참여한 앨범] || Beautiful World || ||<|2> 2017년 ||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 OST Part.2 || 길이 어데요 || || 침묵 OST || 흔들리는 밤 || == 수상 경력 == || '''연도''' || '''시상식명''' || '''수상 부문''' || '''작품''' || ||<|2> 2006년 || [[미스코리아 서울]] ||<|2> 진 || || || 제50회 [[미스코리아]] || || || 2007년 || 제56회 [[미스 유니버스]] || 4위 (3rd runner up) || || || 2008년 || 미스 그랜드슬램 || 1위 || || || 2010년 || 제2회 코리아 주얼리 어워드 || 사파이어상 || || ||<|2> 2011년 || 제5회 [[Mnet 20's Choice]] || 핫 S라인 종결자상 || || || [[MBC 연기대상]] || 연속극 부문 여자 신인상 || [[불굴의 며느리]] || || 2013년 || 제7회 대구뮤지컬페스티벌 딤프 어워즈 || 신인상 || [[시카고(뮤지컬)|시카고]] || || 2014년 || 제51회 [[대종상]] || 인기상 || [[타짜: 신의 손]] || || 2016년 || 제8회 스타일 아이콘 아시아 || 본상 || || ||<|4> 2017년 || 제10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여자 최우수상 ||<|3>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 || || [[MBC 연기대상]] || 월화극 부문 여자 최우수 연기상 || || 제1회 [[더 서울 어워즈]] || 드라마 부문 여우조연상 || || 한국영화배우협회 스타의 밤 시상식 || 대한민국 톱조연상 || 침묵, 부라더 || || 2018년 || [[KBS 연예대상]] || 버라이어티 부문 여자 신인상 || 은밀하고 위대한 동물의 사생활 || ||<|3> 2019년 || 제10회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 || || || 제40회 [[청룡영화상]] || 청정원 인기스타상 || [[극한직업(영화)|극한직업]] || || [[SBS 연기대상]] || 중편드라마 부문 여자 최우수 연기상 || [[열혈사제]] || ||<|2> 2021년 || 제40회 [[황금촬영상]] || '''여우주연상''' || [[블랙머니]] || || [[2021 SBS 연기대상|SBS 연기대상]] || '''미니시리즈 코미디·로맨스 부문 여자 최우수 연기상''' || [[원 더 우먼]] || == 둘러보기 == ||<-5> '''[[미스코리아]] 진''' || || 2005 ||<|2> → || [[미스코리아/2006년|2006]] ||<|2> → || [[미스코리아/2007년|2007]] || || [[김주희(방송인)|김주희]] || '''이하늬''' || [[이지선(1983)|이지선]] || ||<-5> '''[[미스코리아 서울]] 진''' || || [[미스코리아/서울/2005년|2005]] ||<|2> → || 2006 ||<|2> → || [[미스코리아/서울/2007년|2007]] || || [[김주희(방송인)|김주희]] || '''이하늬''' || [[이지선(1983)|이지선]] || ||<-5> '''[[미스 유니버스]] 코리아''' || || 2006 ||<|2> → || 2007 ||<|2> → || 2008 || || [[김주희(방송인)|김주희]] || '''이하늬''' || [[이지선(1983)|이지선]] || [include(틀:미스코리아/2006년)] == 여담 == * 과거 겟잇뷰티 2017에 출연하여 코미디언 출신 뷰티 크리에이터 [[김기수]]에게 여신 메이크업을 받던 도중 "말 상이다"라고 외모지적을 당하였다. 요새 사람들 사이에서 이런 발언을 하면 예의가 아니라고 욕을 먹거니와 방송에서 공개적으로 이런 발언을 한 것은 논란의 여지가 충분하며 김기수가 굉장히 무례한 발언을 한 셈. [[https://youtu.be/Zo_UE2KT3R8|영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Q9QrKQqnlM)]}}}|| * [[보그]]에서 만삭 화보를 찍었다.[[https://www.fnnews.com/news/202205250806478321|#]] * 이하늬가 결혼 전이던 2013년, 어떤 전도사가 온라인(트위터)에서 스토킹했는데 하도 괴상한 글이라 당시 트위터에서 이슈였다. 해당 인물은 자신이 "하나님의 계시를 받았다"며 "하나님ㅇㅇㅇ (대충 시사 주제 쓰고) 이하늬는 ㅇㅇㅇ이랑 결혼해야합니다"(혹은 이하늬씨 참고바랍니다)로 끝을 맺는 이상한 트윗을 2900여 차례나 올렸다. 이와 더불어 이하늬가 [[윤계상]]이랑 사귈 당시엔 그가 단지 남자친구라는 이유로 막말을 퍼붓기도 했다. 결국 참다 못한 이하늬 측에서 법적 조치를 취했고, 해당 인물은 법의 심판을 받아 징역 5년에 처해졌다.[[https://www.mbn.co.kr/news/society/2393226|#당시 언론보도]] * [[양세찬]]이 [[런닝맨]]에서 여러 차례 이상형으로 언급했다. -- 그 와중에 [[송지효]]는 [[지석진]]을 언급했다.-- * [[김태희]]가 서울대학교 재학시절 스키 동아리 후배 이하늬에게 “이런 일은 너 같은 애가 해야될 것 같아. 하면 어떨까?”라고 말한 것이 이하늬가 연예계에 처음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라고 한다. * 이하늬의 아버지 이상업씨는 [[경찰수사관]]으로, [[1994년]] [[5월]]에 발생한 한의원 부부 존속 살인사건의 범인 [[박한상(범죄자)|박한상]] 사건을 총괄했던 [[서울강남경찰서]]장이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EXGIsUdTIs)]}}}|| * 2019년에 찍은 나일론 화보가 지금까지도 레전드 화보로 회자되곤 한다.[[https://www.mk.co.kr/star/hot-issues/view/2019/02/119124/|#]] [[분류:한국 여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한국의 드라마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성 유튜버]][[분류:미스코리아 진]][[분류:미스코리아 출신 배우]][[분류:1983년 출생]][[분류:2009년 데뷔]][[분류:중구(서울)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장로회 신자]][[분류:경주 이씨]][[분류:국립국악중학교 출신]][[분류:국립국악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국악인]][[분류:인터넷 밈/배우/대한민국]][[분류:사람엔터테인먼트 아티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