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도정궁 주인)] ---- ||<-3> {{{#gold '''도정궁 9대 사손'''[br]{{{+1 '''이풍 | 李灃'''}}}}}} || ||<-2> '''[[본관|{{{#gold 본관}}}]]''' ||<(> [[전주 이씨]] || ||||<:> '''[[이름|{{{#gold 이름}}}]]''' ||<(> 풍(灃)[* 모양이 비슷한 '澧'와 착각하여 '례'라고 읽는 경우도 있지만, '풍'이 맞다.] || ||||<:> '''{{{#gold 초명}}}''' ||<(> 양(瀁) || ||||<:> '''[[아호|{{{#gold 호}}}]]''' ||<(> 매은(梅隱) || ||||<:> '''[[자(이름)|{{{#gold 자}}}]]''' ||<(> 양지(瀁之) || ||||<:> '''{{{#gold 생부}}}''' ||<(> [[이형종(1706)|이형종]] || ||||<:> '''{{{#gold 생모}}}''' ||<(> 정경부인[*A 사후 추증.] [[송(성씨)|은진 송씨]](恩津 宋氏) || ||||<:> '''{{{#gold 부인}}}''' ||<(> 정경부인 [[진주 강씨]](晉州 姜氏)[br]정경부인 [[전의 이씨]](全義 李氏) || ||||<:> '''{{{#gold 자녀}}}''' ||<(> 5남 5녀 || ||<|2><:> '''{{{#gold 생몰[br]기간}}}''' ||<:> '''[[음력|{{{#gold 음력}}}]]''' ||[[1727년]] [[10월 23일]] ~ [[1795년]] [[6월 30일]] || ||<:> '''[[태양력|{{{#gold 양력}}}]]''' ||[[1727년]] [[12월 5일]] ~ [[1795년]] [[9월 14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의 [[왕족]] 출신 [[문신]]. [[도정궁]]의 제9대 사손(嗣孫)[* 제사를 받드는 후손이란 뜻이다.]이자 제10대 주인이다. == 생애 == 1727년([[영조]] 3년)[* 영조는 이풍의 할아버지 뻘이다. 즉, 이풍은 [[정조(조선)|정조]]와 같은 [[항렬]]이다.] 10월 23일에 [[한성부]] 서부 인달방 [[도정궁]]에서 [[덕흥대원군]]의 8대 사손인 돈녕도정 [[이형종(1706)|이형종]]과 정경부인 송씨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어린 시절과 청년기의 특별한 행적은 확인하기 힘들다. 21살이던 1747년(영조 23년)에 그의 동생 이철해가 [[숙종(조선)|숙종]]의 아들 [[연령군]]의 양손자이자 [[낙천군]]의 양자로 입양가 [[달선군]]에 봉해지고 이름을 이영으로 바꿨다. 그런데 달선군이 양모의 핍박에 못이겨 1년 뒤 자살하는 사건을 지켜봐야 했다.[* 이후 다시 대가 끊어진 낙천군의 대는 정조의 이복동생 [[은신군]]이 입양와서 이었다.(단, 입양 당시에는 은신군도 이미 사망했다.)] 33살이던 1759년([[영조]] 35년)에 아버지 [[이형종(1706)|이형종]]이 사망하자 [[덕흥대원군]] 사손이 세습하는 작위 돈녕도정에 제수받았고 사손 지위를 물려받았다. 이후 동지돈녕부사 겸 부총관 및 지논녕부사, 오위도총부 부총관을 역임하고 왕실 족보를 교정하는 일 및 제용고(濟用庫)[* 고려 [[공양왕]] 때부터 생긴 부서로 전국 각지에서 바쳐 온 저마포(苧麻布) · 피물(皮物) · 인삼(人蔘) · 사여(賜與)하는 의복 등을 맡아 보던 관청.]와 내섬시(內贍寺)[* 조선 시대 각 전(殿)과 궁(宮)에 제공할 음식물과 제물 등을 맡아보고, 2품이상의 관원에게 음식을 제공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 일을 관리, 감독했다. == 죽음 == 1795년([[정조(조선)|정조]] 19년) 6월 30일에 별세했다. 향년 69세. 첫 부인 [[진주 강씨]]와 합장했다. 신도비의 글은 장남 [[진안군 이언식]]이 짓고, 글씨는 둘째 이민식이 썼다. == 여담 == * 묘표문에 [[시]] 한 수가 적혀있다. 이풍이 [[도정궁]]의 [[정자]] 매은정(梅隱亭)에서 읊은 시이다. >'''강호미퇴신여퇴(江湖未退身如退)''' >'''명주시래흥역래(明酒時來興亦來)''' > >몸은 강과 호수에서 떠나지 않은데 이 내 몸은 떠나가고 >어느 때 흰 술 오니 흥도 역시 오네 == 가족 관계 == * 부 : [[이형종(1706)|이형종]](李亨宗, 1706 ~ 1759) * 생모 : 정경부인 [[은진 송씨]](貞敬夫人 恩津 宋氏, 1703 ~ 1736) - 송서석(宋叙錫)의 딸 * 동생 : [[달선군]] 이영(達善君 李泳, 1731 ~ 1748) - [[낙천군]](洛川君)에게 출계하였다가 파양. 양모 서씨 핍박에 자살함. * 동생 : [[전주 유씨|유지]](柳志)에게 출가 * 계모 : 정경부인 [[여흥 민씨]](貞敬夫人 驪興 閔氏, 1716 ~ 1784) - 민심(閔鐔)의 딸 * 동생 : 이굉(李浤, 1746 ~ 1803) * 정부인 : 정경부인 [[진주 강씨]](貞敬夫人 晋州 姜氏, 1727 ~ 1795) - 통덕랑 강주직(通德郞 姜柱直)의 딸 * 장남 : [[진안군(1752)|진안군]] 이언식(晋安君 李彦植, 1752 ~ 1819) * 차남 : 이민식(李民植, 1753 ~ 1817) - 동생 [[달선군]] 이영(達善君 李泳)에게 출계 * 며느리 : 숙부인 [[청주 한씨]](淑夫人 淸州 韓氏, 1752 ~ 1813) - 한종세(韓宗世)의 딸 * 손자 : [[완성군]] 이희(完城君 李爔) - 장남 [[진안군(1752)|진안군]](晋安君)의 양자로 출계 * 손자 : 이옥(李▼(火+玉)) * 손녀 : [[청풍 김씨|김기성]](金基性)의 처 * 손녀 : [[창원 황씨|황기철]](黃基轍)의 처 * 손녀 : [[풍산 홍씨|홍절모]](洪晢謨)의 처 * 3남 : 이중식(李重植, 1756 ~ 1809) * 며느리 : [[송씨|진천 송씨]](鎮川 宋氏) - 송명휴(宋明休)의 딸 * 손자 : 이소(李熽) * 장녀 : 부사 [[배천 조씨|조현]](府使 趙鉉)에게 출가 * 차녀 : [[해평 윤씨|윤치민]](尹致敏)에게 출가 * 3녀 : [[달성 서씨|서유민]](徐有敏)에게 출가 * 계부인 : 정경부인 [[전의 이씨]](貞敬夫人 全義 李氏, 1736 ~ 1816) - 오위장 이기폐(五衛將 李技蕟)의 딸 * 첩부인 : 성씨 미상 * 서장남 : 이후식(李厚植, 1760 ~ 1819) * 며느리 : [[반남 박씨]](潘南 朴氏) - 현감 박사담(縣監 朴師郯)의 딸 * 손녀 : [[달성 서씨|서유담]](徐有聃)의 처 * 손녀 : 김정응(金鼎應)의 처 * 손자 : 이혁(李爀) * 손자 : 이헌응(李▼(火+憲)應) * 손자 : 이온(李煴) * 손자 : 이주응(李燽應) * 손자 : 이연응(李延應) * 손자 : 이열응(李列應) * 손자 : 이렴(李熑) * 서차남 : 이인식(李仁植, 1764 ~ 1816) * 며느리 : [[안산 김씨]](安山 金氏) - 김양심(金飬心)의 딸 * 며느리 : [[풍산 홍씨]](豐山 洪氏) - 홍형보(洪亨輔)의 딸 * 손자 : 이훈(李燻) * 손자 : 이문(李炆) * 서장녀 : [[장수 황씨|황화]](黃和)에게 출가 * 서차녀 : 감목관 [[광산 김씨|김원]](監牧官 金愿)에게 출가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풍, version=69, paragraph=2)] [[분류:도정궁 종주]] [[분류:1727년 출생]] [[분류:1795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