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주기율표)] [include(틀:원소 정보, name_ko=이트륨, name_en=Yttrium, number=39, symbol=Y, category=전이 원소, state=고체, weight=88.90584, density=4.472 g/cm3, melt=1526 °C, boil=2930 °C, fusion=11.42 kJ/mol, vapor=363 kJ/mol, valence=3, ion=600, 1180, 1980 kJ/mol, negativity=1.22, affinity=29.6 kJ/mol, found=J. Gadolin, found_link=, found_link_alt=, found_year=1794, CAS=7440-65-5, prev=스트론튬, prev_alt=스트론튬, prev_symbol=(Sr), next=지르코늄, next_alt=지르코늄, next_symbol=(Zr), ref=)] [include(틀:이트륨의 분리)] [[파일:attachment/Y-usage.jpg]] [[파일:yttrium.jpg]] [목차] == 개요 == [[1794년]]에 발견된 최초의 [[희토류 원소]]이다. == 상세 == 부드러운 은백색의 금속으로, 공기중에서는 산화물의 보존막이 생기기 때문에 안정하지만 불을 붙이면 타는 성질을 가진다. 스톡홀름 근교의 마을 위테르뷔(이테르비, 이터비, Ytterby)에서 채취된 새로운 광물을 [[핀란드]]의 화학자 가돌린이 분석했고, 거기서 미지의 원소(이트륨)의 산화물 이트리아를 발견했다. 당초 이트리아는 1종류의 화합물로 여겨졌으나 후에 다수의 희토류원소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순수한 이트륨을 분리하는 데 성공한 것은 발견 후 약 50년 뒤인 1843년 [[스웨덴]]의 광물학자 모산더였다. 이테르비 마을은 이트륨, [[터븀]], [[어븀]], [[이터븀]]의 4가지 원소가 발견된 마을로서 유명해졌다. 특히 이름이 비슷한 원자번호 70번 [[이터븀]](Ytterbium, Yb, 이테르븀)과 혼동하지 말자. 이트륨의 주요 용도로는 [[CRT| 컬러 CRT관]]의 빨간색 발광체나 백색 LED의 발광성분으로 쓰이고 각종 합금의 첨가물이나 Y-Ba-Cu-O 등 고온 [[초전도체]]의 성분, 마이크로파 필터의 재료 등 주요 [[희토류 원소]] 중에서는 비교적 흔하고 생산량이 많으므로 산업적으로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레이저]] 기술의 발달에 따라 고체레이저의 매질의 주요성분으로서 이트륨이 주목받는다. 고체 레이저의 대표격인 [[YAG 레이저]]는 이트륨('''Y'''ttrium)/알루미늄('''A'''luminum)/가넷('''G'''arnet)의 단결정(Y,,3,,Al,,5,,O,,12,,)의 성분으로 이 YAG 결정에 [[네오디뮴]](Nd)이나 [[어븀]](Er), [[이터븀]](Yb) 등 다양한 희유원소를 첨가하여 강력한 고체 레이저를 만들 수 있다. YAG레이저는 두꺼운 철판을 자르거나 용접할 정도로 효율이 좋고 강력한 출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고체 레이저로서 용접기 등 산업용 레이저, 레이저 치료, 레이저 무기 등 다방면에 이용되고 있다. 이트륨, [[인듐]], [[망가니즈|망간]]의 YInMn 3원소를 조합하여 청색 무기 안료를 만들었는데 {{{#2e5090 '''인망 블루'''}}}라는 이름이 붙어있다. 중국이 아니라 미국에서 만들어진 거라는 게 포인트. 이 안료가 쓰이는 곳으로 [[Radeon Pro]]가 있다. == 기타 == [[이리듐]]과 함께 [[쿵쿵따]]나 [[끝말잇기]]를 할 때 한방단어로 자주 등장한다. '이'자로 시작하기 때문에 두음법칙을 적용해서 '리'자로 끝나도 바로 이을 수 있어 범용성이 좋기 때문이다. [각주] [[분류:희토류 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