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이탈리아)] ||<-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000 이탈리아 외교 관련 틀}}}''' [[파일:이탈리아 국장.svg|width=20]] || ||<-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남유럽의 외교)] [include(틀:이탈리아의 대외관계)] [Include(틀:이탈리아 관련 문서)] }}} || [목차] == 개요 == [[이탈리아]]는 [[유럽연합]]에 가입되어 있지만, 주변 국가인 [[독일]], [[오스트리아]], [[프랑스]], [[그리스]], 달마티아 지방의 동유럽 국가 등과는 역사 감정이 있는 편이다. 오스트리아와는 [[쥐트티롤]]을 두고 외교갈등도 일어나고 있다. 그리고 EU와 [[유럽 난민 사태]]에서 난민들을 두고 갈등도 있는 편이다. [[가톨릭]]의 중심지답게 [[아일랜드]], [[포르투갈]], [[스페인]],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폴란드]] 같은 [[가톨릭]]권 [[유럽]] 국가들과 가끔씩 종교적으로 협력하기도 한다. [[스웨덴]]은 축구로 가면 천적이다!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지역예선(유럽)/스웨덴 vs 이탈리아|스웨덴과 월드컵 본선진출 티켓을 놓고]] 경기를 치웠는데 스웨덴이 1차전에서 1:0으로 이기고 2차전에선 0:0으로 비겨 결국 스웨덴에게 본선 진출 티켓을 내주고 말았다. 자세한 건 [[밀라노 참사]] 문서 참고. == [[유럽]] == ===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height=16]] EU와의 관계 === [[이탈리아어]]는 EU의 공용어 중 하나로 지정되어 있고 이탈리아는 [[유로]]화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난민 문제로 EU와 이탈리아 사이에서 갈등이 발생되고 있다. ===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출력=, 크기=40)] [[프랑스]]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프랑스-이탈리아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출력=, 크기=40)] [[독일]]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독일-이탈리아 관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치 독일-이탈리아 왕국 관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독일-이탈리아-오스트리아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스위스, 출력=, 크기=40)] [[스위스]]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탈리아-스위스 관계)] [[스위스]]와는 역사적으로 [[로마 제국]] 시절부터 깊은 관계를 맺고 있고 대체로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역사적으로도 스위스가 이탈리아와 협력한 경우가 많은 편이다. [[이탈리아어]]는 스위스에서 [[독일어]], [[프랑스어]], [[로망슈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고 스위스 내에도 [[티치노]] 주에 이탈리아어 사용자가 많이 있다.[* [[알렉스 맞추켈리]]가 스위스의 이탈리아어 사용 지역인 루가노 출신이다.] [[이탈리아인]]들도 스위스의 이탈리아어 사용 지역에서 일을 하는 경우가 있다. ===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출력=, 크기=40)] [[영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영국-이탈리아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출력=, 크기=40)] [[스페인]]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페인-이탈리아 관계)] 스페인과 이탈리아는 로마 제국때부터 매우 가까운 관계이고 역사, 언어, 혈통, 문화에서 프랑스와 마찬가지로 매우 가깝다. 축구로 가면 둘은 라이벌 관계이다. 월드컵이나 유로리그, 친성경기에서 만나면 유럽축구의 전통 강호국이라는 자존심을 걸고 경쟁할 정도다.[* 프랑스, 네덜란드, 벨기에, 독일, 잉글랜드, 포르투갈 같은 축구 강호국들이 월드컵 토너먼트에서도 만나면 서로 유럽축구의 전통 강호라는 명예를 걸고 유럽팀들과 치열하게 붙을 정도다.] === [include(틀:국기, 국명=오스트리아, 출력=, 크기=40)] [[오스트리아]]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탈리아-오스트리아 관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독일-이탈리아-오스트리아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출력=, 크기=40)] [[러시아]]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러시아-이탈리아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바티칸, 출력=, 크기=40)] [[바티칸 시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탈리아-바티칸 관계)] [[바티칸 시국]]과는 종교적으로 [[천주교]]를 믿는다는 점에선 공통점이 있고 매우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 [include(틀:국기, 국명=슬로베니아, 출력=, 크기=40)] [[슬로베니아]]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탈리아-슬로베니아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크로아티아, 출력=, 크기=40)] [[크로아티아]]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탈리아-크로아티아 관계)] [[크로아티아]]와는 대체로 우호적인 편이다. 그리고 역사, 문화에서 크로아티아는 이탈리아와 관계가 깊은 편이고 [[이스트리아 반도]]에도 [[이탈리아어]] 사용자가 존재해 있다. 그리고 이탈리아내에도 [[크로아티아어]][* 이탈리아내에서는 [[https://en.wikipedia.org/wiki/Slavomolisano_dialect|몰리세 크로아티아어]]라고 불리며 크로아티아 본토와는 사투리 차이가 있다.] 화자가 존재해 있다. 또한, 두나라는 [[유럽연합|EU]]에도 가입되어 있고 [[천주교]]를 믿고 있다. === [include(틀:국기, 국명=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출력=, 크기=40)]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의 관계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는 역사적인 이유로 관계가 있는 편이다. 대체로 우호적인 편이다. === [include(틀:국기, 국명=세르비아, 출력=, 크기=40)] [[세르비아]]와의 관계 === [[세르비아]]와는 역사적인 이유로 관계가 있는 편이다. 그리고 이탈리아에도 [[세르비아어]][* 세르비아 본토에서 쓰이는 세르비아어와는 이질적이다.]를 쓰는 [[https://en.wikipedia.org/wiki/Serbs_in_Italy|세르비아계 이탈리아인 화자]]들이 존재해 있다. 또한, 과거에는 [[로마 제국]]의 일부였기도 했다. === [include(틀:국기, 국명=알바니아, 출력=, 크기=40)] [[알바니아]]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탈리아-알바니아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그리스, 출력=, 크기=40)] [[그리스]]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탈리아-그리스 관계)] [[그리스]]와는 [[유럽연합|EU]], [[나토]]에 가입되어 있지만, 고대 유럽 문명과 그리스 로마 신화의 정통성 문제, 역사적 자존심 문제로 양국민들 사이에서 원조 논란이 벌어지곤 한다. 대략 그리스인들이 로마 신화는 원래 우리 그리스 신화의 스토리를 베끼다 못해 제우스, 아르테미스, 헤파이스토스, 아레스, 아테나, 헤라 등등 신들의 본명도 유피테르나 디아나, 불카누스, 마르스, 미네르바, 유노로 막 바꾸고, 로마 문화도 원래 우리 고대 그리스 문화 짝퉁이라 하면 이탈리아인들은 그래서 우리에게 무력으로 정복당했냐? 아치형 건축과 법률은 로마의 독자적 건축 형태다 등등으로 반격한다. 또 역사적으로 이탈리아 반도 지역에서 건국된 로마 제국에 의해 그리스 지역이 정복당하기도 했고, 또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이탈리아 왕국]]이 [[그리스 침공|그리스를 침공]]하기도 했기에 사이가 마냥 좋지는 않다. 이탈리아 남부 일부 지역에선 [[그리스어]]를 쓰는 화자들이 존재해 있다. 2020년 6월 9일 이탈리아와 그리스는 배타적 경제수역 획정에 합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667237|#]] 8월 26일 이탈리아와 그리스 사이 바다인 이오니아해의 영해를 기존 6해리(약 11㎞)에서 12해리로 확장하는 데 합의했다. === [include(틀:국기, 국명=산마리노, 출력=, 크기=40)] [[산마리노]]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탈리아-산마리노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튀르키예, 출력=, 크기=40)] [[튀르키예]]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탈리아-튀르키예 관계)] == [[아시아]]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크기=40)] [[대한민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이탈리아 관계)] 한국과는 1884년 조선 시절부터 수교하였으며, 대체로 우호적이다. === [include(틀:국기, 국명=북한, 출력=, 크기=40)] [[북한]]과의 관계 === [[북한]]과는 2000년에 수교하여 주한(駐韓) 이탈리아 대사관이 겸임하고 있다.[* 당초에는 주중 이탈리아 대사관이었지만, [[영어 위키백과]]에 따르면 북한 주재 이탈리아 대사관은 [[판문점]] 건너 남측의 [[서울특별시]]에 상주하고 있는 주한 이탈리아 대사관이 겸임하고 있단다.] 다만 이탈리아는 남한과의 관계가 가깝기에 그리 좋은 편은 아니다. 2001년에는 북한과 이탈리아가 친선관계를 확대하려고 약속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050847?sid=10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크기=40)] [[일본]]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탈리아-일본 관계)] 이탈리아와 일본은 19세기에 외교관계를 맺은 이후, 매우 우호적이다. 양국은 현재에도 교류와 협력이 실시되고 있다. 그리고 이탈리아에도 [[일본인]] 관광객들이 자주 오기도 한다. === [include(틀:국기, 국명=대만, 출력=, 크기=40)] [[대만]]과의 관계 === 이탈리아는 바티칸과 달리 대만과는 외교관계를 맺지 않았다. 하지만 이탈리아는 대만과의 교류가 존재하는 편이다. 2023년 6월 18일, 우자오셰 대만 외교부장이 이탈리아를 방문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009012?sid=104|#]]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크기=40)] [[중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탈리아-중국 관계)] [[중국]]과는 대체로 [[친중|우호적인 편]]이다. 중국과도 외교 관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민간에선 [[대만]]과의 교류가 활발한 편이다. 이탈리아는 중국과 가까운 편이라서 G7에선 처음으로 [[일대일로]]에도 참여했고 [[AIIB]]에도 가입했다. [[유커|중국인 관광객]]들도 이탈리아에 많이 오는 편이다. === [include(틀:국기, 국명=인도, 출력=, 크기=40)] [[인도]]와의 관계 === [[인도]]와는 대체로 우호적인 편이다. 그리고 두나라는 교류가 많은 편이다. === [include(틀:국기, 국명=이스라엘, 출력=, 크기=40)] [[이스라엘]]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탈리아-이스라엘 관계)] ===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height=16]] [[아랍 연맹]] 국가들과의 관계 === [[아랍]]국가들과는 대체로 우호적인 편이다. 그리고 중세시절에 [[우마이야 왕조]]가 이탈리아의 [[시칠리아]], [[사르데냐]]를 점령한 적이 있었고 문화에서도 남부 이탈리아는 아랍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유럽 난민 사태]]로 인해 아랍쪽의 난민들이 증가하면서 반감도 커지고 있다. == [[아메리카]] == 19세기부터 [[이탈리아인]]들은 남/북아메리카 국가들로 많이 이주했다. 특히,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에콰도르]], [[칠레]], [[멕시코]], [[미국]], [[캐나다]], [[페루]] 등으로 많이 이주해서 미국이나 캐나다, 멕시코, 남미 국가의 백인들중에는 이탈리아계통의 주민들이 많이 있다. 아르헨티나, 우루과이는 이탈리아 이민자들의 영향을 받아 다른 [[스페인어]] 사용 지역과는 다른 특이한 형태로 변화되어 있으며 이탈리아 요리인 피자와 파스타도 남/북미 국가에서 대중화되어 있다.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크기=40)] [[미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미국-이탈리아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출력=, 크기=40)] [[캐나다]]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탈리아-캐나다 관계)] 양국은 현재에도 매우 우호적이다. 그리고 양국은 [[주요 7개국 정상회담|G7]]에 가입되어 있고 협력하고 있다. === [include(틀:국기, 국명=멕시코, 출력=, 크기=40)] [[멕시코]]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탈리아-멕시코 관계)] 멕시코와는 19세기에 외교관계를 맺었다. 양국은 언어, 문화, 종교--, 국기-- 등에서 공통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멕시코내에는 이탈리아계 멕시코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 [include(틀:국기, 국명=브라질, 출력=, 크기=40)] [[브라질]]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탈리아-브라질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아르헨티나, 출력=, 크기=40)] [[아르헨티나]]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탈리아-아르헨티나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우루과이, 출력=, 크기=40)] [[우루과이]]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탈리아-우루과이 관계)] == [[아프리카]] == [[리비아]], [[에리트레아]], [[소말리아]] 등 과거 [[식민지]]였던 일부 [[아프리카]] 국가들과도 친분 관계를 어느 정도 유지하고 있고 문화적인 면(예컨대, 파스타 등의 이탈리아요리 등)에서 이탈리아는 영향을 많이 주었다. 그리고 과거에 [[북아프리카]]가 [[로마 제국]]의 영토였던 적이 있어서 역사적으로는 관련이 있지만, 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와 [[동로마 제국]]의 영토였던 북아프리카가 우마이아 왕조의 정복을 받으면서 중세이후부터 갈라지게 되었다. [[알제리]]와 [[튀니지]]는 이탈리아와는 고대때부터 관련이 깊은 편이라서 교류도 많은 편이고 알제리와 튀니지는 프랑스에 대한 반감으로 이탈리아와의 교류가 깊어지고 있고 이탈리아어를 배우는 경우도 많이 있다. [[제3차 포에니 전쟁]]의 경우, 1985년 1월에는 이탈리아의 로마 시장 유고 베텔레와 튀니지의 튀니스(현재의 카르타고) 시장 체드리 쿠리빈이 만나 공식적으로 전쟁 종결에 서명하면서 3차 포에니 전쟁은 공식적으로 2131년만에 끝난 셈이다. 19세기에 이탈리아는 리비아, 에리트레아, 소말리아를 식민지배한 적이 있었고, 20세기에 [[에티오피아]]를 침공한 적이 있었다. 역사적인 이유로 일부 반감이 있는 편이다. 이탈리아내에도 아프리카계 이탈리아인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편이지만, 이탈리아내에서 [[인종차별]]을 받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리고 [[리비아]]가 카다피 정권이 붕괴되면서 난민들이 이탈리아로 많이 이주하자 난민들에 대한 반감이 생기고 있다. === [include(틀:국기, 국명=이집트, 출력=, 크기=40)] [[이집트]]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탈리아-이집트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리비아, 출력=, 크기=40)] [[리비아]]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탈리아-리비아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튀니지, 출력=, 크기=40)] [[튀니지]]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탈리아-튀니지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에티오피아, 출력=, 크기=40)] [[에티오피아]]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탈리아-에티오피아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소말리아, 출력=, 크기=40)] [[소말리아]]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탈리아-소말리아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에리트레아, 출력=, 크기=40)] [[에리트레아]]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탈리아-에리트레아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알제리, 출력=, 크기=40)] [[알제리]]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탈리아-알제리 관계)] 프랑스와 사이가 나쁜 것과 달리 알제리는 이탈리아와는 매우 우호적이다. 양국은 고대에 [[로마 제국]]의 영토였다가 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 정체성이 달라지게 되었다. 알제리가 프랑스에서 독립한 뒤, 공식수교했고 양국은 교류와 협력이 확대되고 있다. 이탈리아는 알제리의 주요 무역 상대국중 하나이기도 하고 이탈리아측도 알제리를 주요 무역 상대국으로 규정하고 있다. 2020년 12월 5일에 이탈리아와 알제리는 양국의 정치문제 및 포괄적 안보문제에 대한 전략적 대화를 약속하는 MOU에 서명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10225815|#]] === [include(틀:국기, 국명=나이지리아, 출력=, 크기=40)] [[나이지리아]]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탈리아-나이지리아 관계)] == [[오세아니아]] == === [include(틀:국기, 국명=호주, 출력=, 크기=40)] [[호주]]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탈리아-호주 관계)] == 지역별 관계 == * [[한국-이탈리아 관계]] * [[이탈리아-일본 관계]] * [[이탈리아-중국 관계]] * [[러시아-이탈리아 관계]] * [[독일-이탈리아 관계]] * [[독일-이탈리아-오스트리아 관계]] * [[이탈리아-오스트리아 관계]] * [[이탈리아-스위스 관계]] * [[영국-이탈리아 관계]] * [[프랑스-이탈리아 관계]] * [[스페인-이탈리아 관계]] * [[이탈리아-바티칸 관계]] * [[이탈리아-산마리노 관계]] * [[이탈리아-슬로베니아 관계]] * [[이탈리아-크로아티아 관계]] * [[이탈리아-알바니아 관계]] * [[이탈리아-그리스 관계]] * [[미국-이탈리아 관계]] * [[이탈리아-캐나다 관계]] * [[이탈리아-멕시코 관계]] * [[이탈리아-브라질 관계]] * [[이탈리아-아르헨티나 관계]] * [[이탈리아-우루과이 관계]] * [[이탈리아-이집트 관계]] * [[이탈리아-리비아 관계]] * [[이탈리아-튀니지 관계]] * [[이탈리아-알제리 관계]] * [[이탈리아-에티오피아 관계]] * [[이탈리아-에리트레아 관계]] * [[이탈리아-소말리아 관계]] * [[이탈리아-나이지리아 관계]] * [[이탈리아-호주 관계]] * [[이탈리아-이스라엘 관계]] == 관련 문서 == * [[유럽연합]] * [[주요 7개국 정상회담]] * [[커피클럽]]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남유럽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탈리아, version=1407, paragraph=15, title2=이탈리아, version2=1358, paragraph2=14)] [[분류:이탈리아의 외교]][[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